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권호 목록

메타버스 기반 NFT 아트 작품 사례 연구 - <하이브리드 네이처>를 중심으로
김보슬(서울예술대학교 디지털아트전공) ; 김민지(카이스트 과학저널리즘대학원) pp.1-33 https://doi.org/https://doi.org/10.23086/trans.2023.14.01
초록보기
초록

최근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해 데이터 창작자에게 데이터 소유권을 부여하는 웹(Web) 3.0이 차세대 인터넷으로 부상하며 NFT를 매개로 가상경제를 구축하는 메타버스가 주목받고 있다. 웹3.0은 콘텐츠 생성자가 중개자의 역할을 하는 플랫폼에 종속되지 않고 참여에 따른 정당한 이익을 보상받는 가치를 지향한다. 웹 3.0 시대 메타버스에서 디지털 자산의 소유권을 보장하기 위해서는 블록체인 NFT 기술 적용이 필수불가결하다. 본 연구는 이러한 시대적 변화를 인지하며, 메타버스의 개념과 특징을 고찰한 이론에 기반해 NFT 아트와 연결할 수 있는 메타버스의 5가지 특징을 &#x2460;'연속성', &#x2461;'실재감', &#x2462;'동시성', &#x2463;'경제성', &#x2464; '첨단과학기술의 활용성'으로 도출했다. 그리고 이를 메타버스 기반 NFT 아트 <하이브리드 네 이처 Hybrid Nature> 작품 사례연구에 적용하여 메타버스 및 NFT 아트의 개념과 특징이 작품 내에 어떠한 식으로 반영되었는지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웹 3.0 기술과 예술, 시장과 산업의 접목 지점에서 기존의 예술시장과 다른 형태로 전개되고 있는 NFT 아트의 기본 개념을 파악하고, 경제적 투자 가치 이외에 NFT 아트의 예술적, 미학적, 문화적 가치를 연구하는 것의 필요성을 제기하고자 하였다. NFT 아트를 학술적으로 분석하고 미학적 특징을 고찰한 연구가 희소한 현 상황에서 향후 관련 분야 연구자 및 전문가들이 메타버스 기반 NFT 아트의 장르적 특성과 구체적인 면모를 파악해나갈 수 있는 초석을 다졌다는 것에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Abstract

In the Web 3.0 era, the third generation of web technologies that uses blockchain technology to give creators ownership of data, metaverse is a crucial trend for developing a creator economy. Web 3.0 aims for a value in which content creators are compensated from participation without being dependent on the platform. Blockchain NFT technology is crucial in metaverse, a vital component of Web 3.0, to ensure the ownership of digital assets. Based on the theory that investigates the concept and characteristics of metaverse, this study identifies five features of the metaverse based NFT art &#x2460;'Continuity', &#x2461;'Presence', &#x2462; 'Concurrency', &#x2463;'Economy', &#x2464; 'Application of technology'. By focusing on metaverse based NFT art &#x003C;Hybrid Nature&#x003E; case study, we analyzed how the concepts and characteristics of the metaverse and NFT art were reflected in the work. This study focuses on the concept of NFT art, which is emerging at the intersection of art, technology and industry, and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finding creative, aesthetic, and cultural values rather than the NFT art's potential for financial gain. It is still in its early stage for academic studies to focus on the aesthetic qualities of NFT art. Future academics and researchers can find this study to gain deeper understanding of the traits and artistic, creative aspects of metaverse based NFT art.

펠든크라이스 기법&#x00AE;을 적용한 신체 움직임 프로그램 설계 - 파킨슨병 환자를 중심으로
박소정(한국펠든크라이스 인스티튜드) pp.35-63 https://doi.org/https://doi.org/10.23086/trans.2023.14.02
초록보기
초록

파킨슨병은 신체 움직임을 담당하는 도파민의 부족으로 신체 기능의 장애로 기본적인 일상생활까지 영향을 미치는 퇴행성 신경질환이다. 현재 의술로는 완치가 힘들어 병의 지연과 예방 차원으로 운동치료에 관심을 모으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펠든크라이스 기법&#x00AE;을 파킨슨병 환자에게 적용하여 심신의 상태를 스스로 돌볼 수 있는 신체 움직임 프로그램을 설계하고 보급하는데 목적을 갖는다. 펠든크라이스 기법&#x00AE;은 신체 움직임을 이용한 심신 자각 학습 방법으로 신경가소성의 기능인 뇌와 행동을 연결하여 신경계를 재교육하는 방법론이다. 본 연구에서는 연구자가 개발하고 검증한 신체 움직임 프로그램을 펠든크라이스 기법&#x00AE;의 자각(⾃覺)에 초점을 맞추어 수정&#x00B7;보완하였다. 24회기의 신체 움직임 프로그램은 파킨슨병 환자의 자기관리능력을 향상하기 위해 5단계로 구성하였다. 첫 번째 단계는 자기 인식이고 두 번째 단계는 자기 관찰이다. 셋째, 자기조직화, 넷째, 자기 통제. 그리고 다섯 번째 단계는 자기 관리다. 전반적인 변화는 자신의 상태를 인식하고 내적 감각과 외적 환경의 변화를 감지하는 능력을 향상시킨다. 결론적으로 파킨슨병 환자에게 심신 기능의 향상과 자기관리가 가능한 신체 움직임 프로그램을 펠든크라이스 기법을 적용하여 설계하였다. 앞으로 설계된 프로그램을 현장 적용 가능성 여부는 후속과제로 남긴다. 나아가 노년층의 웰니스를 위한 움직임의 참고자료로 메타버스를 적용한 과학분야와의 융합적 협력을 통해 보다 폭넓게 확산될 수 있도록 체계적 구조를 구축할 필요가 있다.

Abstract

Parkinson's disease is a degenerative neurological disease that affects even basic daily life movements due to impairment of body function caused by a lack of dopamine, which is charge of the body movement. Presently, it is hard to cure Parkinson's disease entirely with medical technology, so movement therapy as a solution to delay and prevent disease is getting more attention. Therefore, this study aims at desiging and disseminating a body movement program that concentrates on individual self-care and balacing the state of body and mind by applying the Feldenkrais Method&#x00AE; to patients with Parkinson's disease. The Feldenkrais Method&#x00AE; is a mind-body perceptual learning method using body movements. It is a methodology that re-educates the nervous system by connecting the brain and behavior as a function of neuroplasticity. In this study, the body movement program developed and verified by the researcher was modified and supplemented with a focus on the self-awareness of the Feldenkrais Method&#x00AE;. A 24-session physical exercise program was composed of 5 stages to improve the self-management ability of patients with Parkinson's disease. The stages include self-awareness, self-observation, self-organization, self-control, and self-care. The overall changes recognize one's condition and improve one's ability to detect modifications in the internal sense and external environment. In conclusion, the body movement program improves the body movement program improves mental and physical functions and self-care for Parkinson's disease patients through the Feldenkrais method. The availability of the program's on-site applicability remains a follow-up task. Furthermore,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systematic structure to spread it more widely through convergent cooperation with the scientific field applied with metaverse as a reference for the wellness of the elderly.

Who knows what and to what extent - modeling the knowledge of the narrative agent
Hochang Kwon(Korea National University of Arts) pp.65-92 https://doi.org/https://doi.org/10.23086/trans.2023.14.03
초록보기
초록

Abstract

The knowledge of the narrative agent not only constitutes the content and meaning of the narrative itself, but is also closely related to the emotional response of the recipient. Also, the disparity of knowledge between narrative agents is an important factor in making a narrative richer and more interesting. But It tends to be treated as a sub-topic of narration theory or genre/style studies rather than an independent subject of narrative studies or criticism. In this paper, I propose a model that can systematically and quantitatively analyze the knowledge of narrative agents. The proposed model consists of the knowledge structure that represents a narrative, the knowledge state that expresses the knowledge of narrative agent as a degree of belief, and the knowledge flow that means changes in the knowledge state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of events. In addition, the formal notation of the knowledge structure and a probabilistic inference model that could obtain the state of knowledge were proposed, and the knowledge structure and knowledge flow were analyzed by applying the model to the actual narrative. It is expected that the proposed model will be of practical help in the creation and evaluation of narratives.

이란 영화 속에 나타난 어린이 시각에 관한 연구 - 마지드 마지디 감독 작품을 중심으로
만가의(성균관대학교 영상학과) ; 변혁(성균관대학교 영상학과) pp.93-122 https://doi.org/https://doi.org/10.23086/trans.2023.14.04
초록보기
초록

세계 모든 나라들에 '어린이를 위한' 혹은 '어린이가 주인공인' 영화들이 있다. 하지만 각각의 문화권마다 어린이 영화를 다루는 방식이나 시각의 차이가 존재한다. 예를 들어 미국의 어린이 영화를 대표하는 디즈니는 주로 어린이와 가족의 오락성과 즐거움을 만족시키는 것이 목적인 반면 중국에서의 어린이 영화는 아동의 교육적 역할을 더 중시하는 편이다. 문화권마다의 특색과는 관계없이 일반적 의미에서의 어린이 영화는 수용 대상이 어린이이며 어린이를 위해 창작되는 영화를 일컫는다. 하지만, 이란 영화에서 어린이를 소재, 주제 혹은 수용자로 상정하여 접근하는 방식은 또다른 특색이 있다. 주로 극중의 주요인물로서 어린이가 등장하여 그만의 독특한 시각으로 배경이 되는 사회현상과 영화를 관통하는 서사에 대한 해석과 관점을 제시한다. 어린이의 눈을 통해 어른의 세계를 바라보고 현실을 반영하고 창작자의 의도를 간접적으로 표현하며 어린이의 시각적 언어를 통해 창작자의 사상을 간접적으로 전달하는 것이다. 어린이 시각의 활용은 일종의 특별한 전략으로 이란 영화가 특수한 창작 환경 속에서 생존할 수 있는 길을 열어주었으며, 이란 영화만의 주요한 특징으로 자리매김하였다. 이러한 어린이 사각을 보여주는 이란 영화들 중에 대표적으로 마지드 마지디의 영화들이 있다. 그의 영화에서 어린이 시각은 그만의 연출양식으로 주목할만한 것인데 단편영화, 다큐멘터리와 해외 제작 영화 제외한 9편의 영화 중 어린이 영화가 5편으로 중요한 비중을 차지한다. 본 연구는 마지드 마지디의 영화들에서 보여지는 어린이 시각에 대해 고찰한다. 마지드 마지디의 영화 속 어린이 시각의 활용을 살펴보면서 이것이 어떻게 이란영화의 일반성으로 확대되어 이란 영화의 중요한 한 흐름을 자리잡게 되었는지 살펴본다.

Abstract

Children's films can be found by country and region within the scope of world films, but children's films have different definitions depending on the country and region. For example, American children's films represented by Disney are mainly aimed at satisfying the joys of children and families.Chinese children's films place more importance on the educational role of children. Although the purpose is different, children's films in the general sense are films that main audiences are children and are created for children. Children's films in Iran differ greatly from ordinary children's films. It indirectly expresses the creator's intention by reflecting reality while looking at the adult world through the eyes of children. This special function is a children's visual language that indirectly conveys the creator's thoughts. The use of children's perspective is a kind of special strategy, paving the way for Iranian films to survive in a special creative environment, and creating unique characteristics of Iranian films. Among the numerous Iranian directors who make children's films, Majid Majidi is one of the representative directors with personal characteristics. Of his nine Iranian films written and directed, five are children's films.At the same time, in his other Iranian films, we can more or less see the traces of children and children's perspective of the narrative and performance.Looking at the use of children's vision in Iranian films, the use of children's vision in Iranian films began with children's films and developed in Iranian children's films and other genres of Iranian films.

영화의 공동감상과 사회적 가치 창출 - 일본의 커뮤니티 시네마를 중심으로
장지은(성균관대학교 교육학과) pp.123-155 https://doi.org/https://doi.org/10.23086/trans.2023.14.05
초록보기
초록

본 논문은, 일본의 커뮤니티 시네마의 역사적 발전과정에 대한 문헌고찰을 바탕으로 영화공동감상을 기반으로 한 사회적 가치창출과정의 특징을 분석한다. 일본에서는 영상매체의 디지털화, 매체공간의 개인화가 증가한 21세기 현대사회에서도 비상업극장 및 비극장상영에서 공동감상의 문화가 유지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감상환경을, '커뮤니티 시네마'라는 이름으로 통합하여 지원하는 일본 커뮤니티 시네마 센터도 설립&#x00B7;운영되고 있다. 연구의 결과, 커뮤니티 시네마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비극장상영 단체나 감상단체가 시민과 협력하여 영화관을 설립&#x00B7;운영한다. 둘째, 공동 감상을 운영하는 단체나 기관의 대규모 연계를 통해 영화문화를 이해하고 영화문화운동에 참여할 관객을 육성하는 이론적 &#x00B7; 실천적 &#x00B7; 참여적 학습기회를 만든다. 셋째, 공동감상을 기반으로 하여 관객이 주도하는 영화문화 환경을 정비하여 공동성을 실감하는 사회적 장을 만들고 나아가 영화와 사회문제해결을 융합하는 영화의 사회적 활용을 도모한다.

Abstract

This study analyz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social value creation process through the collective appreciation of film. It focuses on the historical development of community cinema in Japan. In modern-day Japan, where digital video is easily accessible and the use of private, personalized media spaces widespread, a sub-culture of collective film appreciation is spreading, as more and more Japanese begin to attend movie screenings in non-commercial theaters. In addition, Japanese community cinema center has begun to integrate and support this viewing experience, which has come to be known as community cinema. A literature review revealed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of community cinema. First, local theater screening groups or appreciation groups cooperate with residents to establish and operate movie theaters. Second, these spaces create theoretical and practical participatory learning opportunities that foster understanding of and participation in film culture, through large-scale associations with organizations or institutions that offer viewings. Third, based on collective appreciation, the film culture created through repeated joint viewings produces a social arena in which community can be realized. In these communities film can be put to socially productive uses, such as problem solving.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