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권호 목록

청소년 마약류 중독 치료를 위한 디지털치료제 예술치료 적용을 위한 문헌연구
김지원(성균관대학교 실감미디어공학과) ; 변혁(성균관대학교 실감미디어공학과) pp.1-31 https://doi.org/10.23086/trans.2024.16.01
초록보기
초록

디지털 매체의 발전은 청소년들이 마약류 구매 환경에 쉽게 접근하며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와 메신저 서비스를 통한 마약류 구매 및 복용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환경에 노출된 청소년들은 마약류 중독으로 인한 신경학적 및 정신 건강 문제를 겪을 위험이 있으며, 이는 범죄에 노출될 위험을 증가시킨다. 따라서, 국가 차원에서의 관리와 지원이 절실히 필요하다. 마약에 노출된 청소년들을 위한 지속 가능한 치료 방안을 모색하는 것은 중대한 과제로 부상하고 있다. 재발 위험이 높은 마약류 중독 치료를 위해선 비용이 효율적이며 사용자 친화적인 치료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디지털 플랫폼을 활용하여 청소년들이 자발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치료 환경을 조성하고, 예술을 활용한 치료적 콘텐츠 개발을 목표로 하는 문헌 연구를 수행한다. 청소년 약물 중독에 대한 사회적 인식과 치료 현황을 검토하고, 마약류 중독이 청소년의 뇌 활동 및 인지 기능 저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중독된 뇌 기능의 재활을 촉진할 수 있는 디지털 치료제 개발에 관한 방안을 선행 연구 사례 분석을 통해 모색한다. 또한, 디지털 치료적 접근법과 예술치료의 통합이 치료 과정에 어떠한 이점을 제공할 수 있는지를 탐구하며, 연극 치료, 음악 치료, 미술치료 등 다양한 치료 프로그램이 청소년에게 미치는 치료적 효과의 증대 가능성을 제안한다. 예술 치료 요법의 적용은 도구의 확장, 표현의 다양화, 데이터의 확보, 동기 부여 측면에서 긍정적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러한 접근을 통해 청소년 마약류 중독 치료의 효과성이 증대될 것으로 예상된다. 종합적으로 볼 때, 본 연구는 청소년 마약류 중독에 대한 사회적 상황을 고려한 경제적이며 지속 가능한 치료 방안을 제공하는 디지털 치료제 및 관련 애플리케이션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를 수행하고자 한다.

Abstract

The advent of digital media has facilitated easy access for adolescents to environments conducive to the purchase of narcotics. In particular, there's an increasing trend in the purchase and consumption of narcotics mediated through Social Network Services (SNS) and messenger services. Adolescents, sensitive to such environments, are at risk of experiencing neurological and mental health issues due to narcotic addiction, increasing their exposure to criminal activities, hence necessitating national-level management and support. Consequently, the quest for sustainable treatment methods for adolescents exposed to narcotics emerges as a critical challenge. In the context of high relapse rates in narcotic addiction, the necessity for cost-effective and user-friendly treatment programs is emphasized. This study conducts a literature review aimed at utilizing digital platforms to create an environment where adolescents can voluntarily participate, focusing on the development of therapeutic content through art. Specifically, it reviews societal perceptions and treatment statuses of adolescent drug addiction, analyzes the impact of narcotic addiction on adolescent brain activity and cognitive function degradation, and explores approaches for developing digital therapeutics to promote the rehabilitation of the addicted brain through analysis of precedential case studies. Moreover, the study investigates the benefits that the integration of digital therapeutic approaches and art therapy can provide in the treatment process and proposes the possibility of enhancing therapeutic effects through various treatment programs such as drama therapy, music therapy, and art therapy. The application of art therapy methods is anticipated to offer positive effects in terms of tool expansion, diversification of expression, data acquisition, and motivation. Through such approaches, an enhancement in the effectiveness of treatments for adolescent narcotic addiction is anticipated. Overall, this study undertakes foundational research for the development of digital therapeutics and related applications, offering economically viable and sustainable treatment options in consideration of the societal context of adolescent narcotic addiction.

NFT 예술의 탈중앙화와 지식재산권 구축 전략에 관한 연구 : 중국 사례를 중심으로
LIN LI(Hubei Institute of Fine Arts, The School of Experimental Art) ; Rui Zhan(Hubei Institute of Fine Arts, The School of Experimental Art) pp.33-68 https://doi.org/10.23086/trans.2024.16.02
초록보기
초록

급성장하는 디지털 경제 환경 속에서 NFT가 예술계 내에서 화제의 중심으로 부상하였다. 그러나 중국에서는 NFT 예술이 중국의 정치경제, 사회문화적 상황과 관련된 제약으로 인해 발전이 더딘 상황이다. 엄격한 관리 및 통제로 인해 암호 화폐의 유통이 제한되어 있고, NFT 예술에 대한 대중의 인식 및 수용 수준, 시장의 성숙도도 아직 낮은 편이다. 이러한 한계에도 불구하고 본 논문에서는 중국 미술 창작자와 시장 참여자가 중국 시장의 특성에 맞는 온라인 개인 미술 IP 모델을 구축할 수 있다고 전망하여 그 현황과 가능성을 모색한다.

Abstract

In a rapidly growing digital economic environment, NFT has emerged as a hot topic in the art field. However, in China, NFT art is developing slowly due to constraints related to China's political economy and socio-cultural situation. Due to strict management and control, the circulation of cryptocurrency is limited, and the level of public awareness and acceptance of NFT art and market maturity are still low. Despite these limitations, this paper predicts that Chinese art creators and market participants can build an online personal art IP model that suits the characteristics of the Chinese market and explores the current status and possibilities.

라캉의 정신병 연구에 근거한 영화 속 주체의 증상 - 라스 폰 트리에의 <살인마 잭의 집>을 중심으로
한경지(성균관대학교 영상학과) pp.69-105 https://doi.org/10.23086/trans.2024.16.03
초록보기
초록

영화 <살인마 잭의 집 The House that Jack Built>은 주인공 잭이 12년간의 연쇄살인과정에서 점차 정신병 증상을 지닌 '광기의 예술가'로 재탄생되는 모습을 다룬다. 강박증 증상을 지니고 있는 엔지니어 잭은 한차 레의 우연한 살인으로 향락을 느끼면서 사람을 죽이는 것을 하나의 예술 형태로 간주하고 이 과정에서 강박증을 극복하게 된다. 본고에서 주목하는 문제는 과연 반복 살인이라는 행위로 강박증 증상이 극복될 수 있는가? 하는 질문이다. 따라서 본고는 잭의 강박증은 살인과정에서 극복 된 것이 아니라 신경증에서 안정화 된 정신병 상태로 이행하면서 그 증상이 사라졌다는 관점을 밝히는 것이다. 프랑스의 유명한 정신분석학자 라캉(Lacan)의 이론에 따르면 인간 주체가 현실적인 안정성을 잃을 때 경험하는 환각이나 망상은 상징계의 틈새로 비집고 들어오는 실재(The Real)와 직면할 때 나타나는 현상이다. 영화 속 잭의 망상으로 구축된 가짜현실과 같은 현상은 잭에게 부성은유의 부재로 인해 '아버지의 이름'(The Name-of-the- Father)이 제대로 자리 잡지 못한 원인으로 나타나는 병리적 증상이다. 따라서 본고는 라스 폰 트리에( Lars von Trier) 감독의 영화 <살인마 잭의 집>의 주인공 잭이 지닌 정신병 구조를 라캉의 정신분석을 통해 해독한다.

Abstract

The House that Jack Built (2018), a film about how the protagonist Jack is reborn as a "mad artist" with psychotic symptoms during a 12-year killing spree, provides an interesting opportunity to analyze the film in terms of psychoanalysis and religion. Jack, an engineer who suffers from OCD, finds pleasure in the accidental murder of a character and considers killing people as an art form, overcoming his OCD in the process. The question we are interested in is whether the symptoms of OCD are truly overcome by the act of repeated killing. The idea is that Jack's OCD is not overcome by killing, but rather that the symptoms disappear as he moves from neurosis to a stabilized psychotic state. According to the theory of the famous French psychoanalyst Lacan, the hallucinations or delusions that human subjects experience when they lose their realistic stability are a phenomenon that occurs when they are confronted with The Real, which penetrates through the cracks of the symbolic system. Phenomena such as Jack's illusory reality and delusions in the movie are pathological symptoms of the absence of a paternal figure in his life, causing the Name-of-the-Father to fail to take hold. This paper deciphers the psychotic structure of Jack, the protagonist of Lars von Trier's House of Jack, through Lacanian psychoanalysis.

인공지능의 서사 지능 탐구 : 새로운 서사 생태계와 호모 나랜스의 진화
권호창(한국예술종합학교 영상이론과) pp.107-133 https://doi.org/10.23086/trans.2024.16.04
초록보기
초록

내러티브는 인간의 인지와 사회 문화의 기본이며 개인과 사회가 의미를 구성하고 경험을 공유하며 문화적, 도덕적 가치를 전달하는 주요 수단으로 사용된다. 인간의 사고와 행동을 모방하려는 인공지능 분야에서는 오랫동안 스토리 생성과 스토리 이해에 관해서 연구해 왔으며, 오늘날 대규모 언어 모델은 발전된 자연어 처리 기술을 바탕으로 괄목할 만한 서사적 능력을 보여주고 있다. 이런 상황은 다양한 변화와 새로운 문제를 제기하지만 이에 대한 포괄적인 논의를 찾아보기는 어렵다. 본 논문은 인간과 AI의 서사 지능의 교차점과 상호작용을 살펴봄으로써 현재의 상태와 미래의 변화에 대한 전체적인 조망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먼저 호모 나랜스라는 용어로 대변되는 인간과 내러티브의 본질적 관계에 관한 다학제적 연구를 살펴보고, 인공지능 분야에서 내러티브에 관한 연구가 어떻게 이루어져 왔는지를 역사적으로 살펴본다. 그리고 오늘날 대규모 언어 모델이 보여주는 서사 지능의 가능성과 한계를 살펴보고, 서사 지능을 갖춘 AI가 갖는 함의를 파악하기 위한 세 가지 철학적 과제를 제시한다.

Abstract

Narratives are fundamental to human cognition and social culture, serving as the primary means by which individuals and societies construct meaning, share experiences, and convey cultural and moral values. The field of artificial intelligence, which seeks to mimic human thought and behavior, has long studied story generation and story understanding, and today's Large Language Models are demonstrating remarkable narrative capabilities based on advances in natural language processing. This situation raises a variety of changes and new issues, but a comprehensive discussion of them is hard to find. This paper aims to provide a holistic view of the current state and future changes by exploring the intersections and interactions of human and AI narrative intelligence. This paper begins with a review of multidisciplinary research on the intrinsic relationship between humans and narrative, represented by the term Homo narrans, and then provide a historical overview of how narrative has been studied in the field of AI. This paper then explore the possibilities and limitations of narrative intelligence as revealed by today's Large Language Models, and present three philosophical challenges for understanding the implications of AI with narrative intelligence.

누벨 당스와 농당스에 나타난 상호문화주의(Interculturalism)의 의미와 해석
정수동(서울예술대학교 공연학부) pp.135-162 https://doi.org/10.23086/trans.2024.16.05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상호문화주의에 대한 개념과 특성들을 살피면서 유럽의 컨템포러리 춤 흐름에 태동이 되는 누벨 당스(Nouvelle Danse)와 농당스(Non-Danse)에 나타난 상호문화적 성격들에서의 문화적 정체성에 대한 예술 표현들을 추출함으로써 공존과 인정의 발전 가능성을 밝히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러한 춤의 논의와 구성은 누벨 당스와 농당스를 대표하는 각각의 안무가들의 작품들을 선정하여 상호문화주의적 시각으로 분석하여 안무가들의 예술표현들을 심도 있는 이해로 읽어내면서 연구의 다층적인 시간을 더하여 해석하고자 한다. 연구 방법으로는 누벨 당스와 농당스와 관련된 논문과 평문들, 인터뷰, 그리고 선행연구를 참고하였으며 상호문화주의와 관련된 국내외에 저서와 학위논문, 학술지 논문들을 중심으로 진행하였다. 그리하여 예술에 나타난 서로 다른 문화 간의 충돌과 만남 속 가치와 이해를 기반으로 하여 어떠한 창조적인 수용들이 이루어졌는지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춤과 상호문화주의는 자문화와 타문화간의 교류와 만남을 중시한다. 더불어 세계화에 중심에 있어서의 문화 간의 교류에 따른 문화적 정체성과 다양성에 대한 논점들 또한 지니고 있다는 점에서 춤과 상호문화주의의 연구를 통해 인문학적 관점에 따라 무용학에 기여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갖고 있다.

Abstract

This study examines the concepts and characteristics of Interculturalism and extracts artistic expressions of intercultural characteristics shown in Nouvelle Danse and Non-Danse, which were the birthplace of the contemporary dance flow in Europe. The discussion and composition of these dances will be analyzed from an intercultural perspective by selecting three works by each choreographer representing Nouvelle Danse and Non- Danse. In doing so, we would like to examine what creative acceptance was achieved based on the values and understanding in the clash and encounter between different cultures in art. Dance and interculturalism emphasize exchanges and encounters between one's own culture and other cultures. In addition, it has the potential to contribute to dance studies through the humanistic perspective of dance, as it also contains issues about diversity and identity due to exchange between cultures at the center of globalization. Therefore,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read the artistic expressions of choreographers in Nouvelle d'Anse and Non-d'Anse through intercultural understanding with an in-depth understanding and to interpret them by adding multi-layered time to the study.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