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권호 목록

무용의 저작권 인식 활성화와 실효성 방안 연구
이서은(한국라반움직임연구소) pp.1-38
초록보기
초록

무용은 인간의 움직임으로 사상과 감정을 표현하는 예술로서 저작권법의 보호받아야 하는 저작물성을 가지며, 창작자인 안무가와 실연자인 무용수는 저작권법 안에 해당하는 창작자와 실연자로서의 그 권리를 행사할 수 있다. 그러나 아직 무용계에 종사하는 예술인들은 저작권에 대한 인식과 정보가 부족하고 그 활용이 지극히 적은 수준이다. 안무가의 경우 자신의 창작물에 대하여 그 권리를 행사하는 것에 익숙하지 않으며, 법적인 절차와 방법에 대하여 어려움을 가지기도 하고 적극적으로 대처 하지 못하고 있다. 무용수의 경우에는 더욱 그러한데 직접 작품 안에서 실연을 하는 주요한 위치에 있음에도 불구하고 실연자로서 그에 합당한 권리를 행사하지 못하고 있다. 본 논문의 목적은 무용 저작권에 대해 살펴보고 앞으로 무용계에서 저작권의 관심과 이용이 활성화되기 위한 대책 마련과 그 실효성 방안에 관하여 논하고자 한다. 주된 논점은 무용예술의 주제가 되는 안무가와 무용수, 무용 전공 학생들이 저작권에 대한 인식에 대해 살펴보아 무용 저작권 보호의 필요성에 대한 문제제기와 구체적으로 실현가능한 무용의 저작권 보호 방안에 대한 것이다. 연구방법으로는 먼저 무용 저작권에 대한 개념과 내용을 살펴보고 지금까지 무용과 관련한 저작권 사례를 검토하여 이론적 틀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다음으로 2015년 실시된 무용 전공생과 안무가, 무용수를 대상으로 저작권 인식에 관한 설문조사의 실증 분석 자료와 전문 무용가 3인의 무용 저작권과 관련한 심층면담의 채록분석 자료를 토대로 현 무용 저작권의 인식 현황에 대해 살펴보고 앞으로의 무용의 저작권 활성화를 위한 구체적인 방안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앞서 진행한 연구결과에 따른 무용 저작권의 실효성 있는 방안으로는 첫째, 무용계의 저작권 인식과 활용을 높이기 위해 우선적으로 선행교육이 필요하다. 교과수업과 같은 장기교육과 특강과 세미나 같은 단기교육이 병행되어 이루어져야 하며, 무용단과 안무가, 무용수, 무용 전공생을 위한 저작권 교육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둘째, 무용 저작권의 활성화를 위해 공연예술 저작물이라는 명칭과 이에 따른 개정이 필요하며, 이와 함께 체계적인 저작권 관리를 위하여 무용 저작권 협회의 설립과 무용 저작권의 전문가 양성이 필요하다. 셋째, 안무가와 무용수를 위한 저작권 보호 방안으로는 먼저 무용 작품 창작과 실연 시 권리이해관계의 확립이 필요하며, 무용 저작물 등록의 활성화가 이루어져야 한다. 또한 무용계도 안무·출연 계약서를 작성하고 계약문화가 활성화되어야 하며 기본적인 방법으로 안무·실연의 기록물을 체계적으로 보존, 관리해야 한다. 앞으로 무용계에서는 무용의 저작권 보호에 대해 관심을 가지고 지속적인 협의가 필요하다. 이로써 점차 무용의 저작권 인식을 함양시키고 무용 저작권이 활성화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할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Abstract

Dance, as an art which expresses thoughts and emotions by movement human, is included in work that its copyright has to be protected, choreographers who are creators and dancers who are performing can exercise their rights included in copyright laws. However, artists who work in the dancing scene have lack of awareness about copyrights and the application level is low.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look into the current status and issues about dance copyright and to discuss activation plans and effectiveness plans for dance copyrights. The main point is to check into the level of awareness for dance copyrights with choreographers, dancers and students majoring in dance who are in charge of the art of dancing, to present issues about the necessity of the dance copyrights protection plans by analyzing interviews-in-depth and to prepare the dance copyrights protection plans which are concretely realistic. For the research methods, first, I looked into ideas and contents about copyrights through a document research and then, wanted to prepare theoretical background by reviewing actual cases of performing art copyrights related to dance. Next, I carried out surveys about awareness of copyrights with students majoring in dance, choreographers and dancers then carried out analysis of actual proof. Also, I chose three famous dancers who are actively performing in the current dancing scene and did interviews-in-depth about dance copyrights then carried out a recording analysis. I tried to complement the analysis by discussing deeper which I couldn't deal with in the previous surveys and to contemplate awareness activation of dance copyrights and plans. As a result of the research, the level of the awareness about dance copyrights through age, major, education and career was very low. The level of awareness was almost same compared to the previous research 10 years ago. 'Music', which can be an element of copyright issue in dance, was the highest in rate, and dance was recognized as an art which is combined with various elements as a combination work. The way of protection for works of choreography and performance only used data preservation and contracts and didn't register copyrights or record in dace notation. Majority of responders answered that they couldn't have any education about copyrights while they were recognizing the necessity of education and management for copyrights. The analysis of interviews-in-depth was also matched to the result of the previous surveys and a deeper discussion about the status of dance copyrights and issues was carried out. The plans of effectiveness for dance copyrights through the result of previous research are as followings. First, an advanced education is necessary above all to increase the awareness and application of copyrights in dancing scene. Long-term education like study curriculums and short-term education like special courses and seminars should be combined, and education about copyrights for dance groups, choreographers, dancers and students majoring in dance should keep on going. Second, revision of performing art works is necessary for the activation of dance copyrights, and establishing a dance copyright association to manage copyrights systematically and training dance copyright experts are necessary as well. Third, as the way of copyright protection for choreographers and dancers, an establishment for relation gain and loss about copyrights is necessary when creating dance works and performing, and registration of dance works should be activated. Also, the dancing scene should sign contracts for choreography and performance and this contract culture should be activated, and it should systematically preserve and manage choreography and performance records through basic ways. Hereby, it is considered to prepare a foundation to foster the awareness of dance copyrights and activate dance copyrights.

한국영화 검열과 등급분류 제도 변천사에 담긴 비윤리성 탐구
정수진(성균관대학교 예술학협동과정) pp.39-58
초록보기
초록

본 소논문은 자크 데리다의 법과 윤리에 대한 철학들을 바탕으로 정부 검열 시스템에 담긴 한국 영화 정책을 연구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군사독재 시대 이후 우리나라의 영화 정책은 독재 정권의 프로파간디를 널리 알리고, 사회 통합과 안정을 내세우며 국가적 목표에 부합한 작품을 보호하는 데에 중점을 맞춰왔다. 그리하여 모든 영화 관련 정책은 정부의 엄격한 통제와 감시 안에 존재했다. 그러한 정책은 단순히 영화 선택의 자유만을 제한하는 것이 아니라 창작의 영역까지 침범한다. 자크 데리다는 정의와 폭력과 법에 대한 여러 가지 문제제기를 해왔다. 데리다의 주장들은 윤리적 고찰과 연결되어 있다. 이 소노문은 데리다의 관점에서 한국 정부의 영화 검열 정책에 담긴 폭력성을 짚어보고 윤리적 검열정책의 가능성에 대해 고찰해보고자 한다.

Abstract

This essay aims to examine Korean motion picture policy on the government censorship system from Jacques Derrida's thought associated with sense of ethics. Korean motion picture policy has focused on protection of domestic films to achieve a national goal from military dictatorship regime, so-called people unification or social stability. It also aimed to spread propaganda for despotic government. Thus, the government keeps tight control over all motion picture policy. It restricts not only freedom of choosing movies but also creativity from artist. Derrida used to talk about the justice and violence law. Derrida's thought is connected with the ethical consideration. This research concerned about the violence within film censorship policy of Korean government and explore possibilities of ethical censorship policy from Derrida's perspectives.

문화 및 예술 융·복합 지원 정책의 현황 및 과제
권은용(예술경영지원센터) pp.59-73
초록보기
초록

국내 문화와 예술 지원정책에서 융합이 중요한 안건으로 상정되고, 기술이 문화산업에 있어서 중요한 경쟁적 요소가 될 수 있다는 것에 주목한 것은 1990년대 중반 이후부터였다. 현 정부는 문화기술 정책을 문화정부의 핵심영역으로 설정하고 연계를 확장해 나갈 수 있는 지원 사업을 지속적으로 확대하고 있다. 문화와 예술 분야의 융복합은 개념의 등장 이래 지속적으로 화제가 되었고 다양한 정책적 지원이 확장되었지만 여전히 산적한 문제와 해결해야 하는 논의들을 가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국내외 문화예술 융복합 지원정책의 현황을 정리하고, 경향 및 사례들을 살펴본 후 향후 정책 및 지원 사업의 개발을 위한 제언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Abstract

It was after mid 1990s that convergence of art and technology had become a critical issue and governments set new support system for its enrichment. Since then, the government continues to expand support programs to extend integration of art, culture and other genre including technology because nexus, convergence has regarded important competitive factors in cultural policy. The concept of convergence and complexation in culture and art has been a very attracting issue since it appeared and accordingly various policies are supported. However, there are still numerous issues and problems to be solved along with discussion. This paper summarizes government policies to support convergence and complexation of culture and art in Korea and overseas and looks into their trends and cases and then suggests development of future policies and supporting businesses.

프랑스영화감독계약서에서 본 감독의 지위와 역할
노철환(부산아시아영화학교) pp.75-94
초록보기
초록

감독은 영화의 예술적 질을 책임지는 지휘자이다. 할리우드에서 감독은 주어진 시나리오를 영상화하는 일종의 기술자로 간주되었다. 1950년대 후 일 누벨바그의 중심이 되는 ≪카이에 뒤 시네마≫의 젊은 비평가들이 히치콕, 혹스, 포드 등 몇몇 할리우드 감독에 대해 재평가를 내리면서 감독의 위상에 대한 평가가 달라지기 시작한다. 알렉상드르 아스트뤽, 프랑수아 트뤼포, 앤드류 새리스 등을 거치며 확립된 감독-작가의 개념은 이후 오랜 시간에 걸쳐 확고한 자리를 차지한다. 작가로서 감독은 크게 두 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하나는 할리우드 감독들처럼 필모그래피 전체를 통해 독특한 연출 스타일을 보여주는 감독들이다. 또 하나는 시나리오에서부터, 촬영, 후반작업까지 영화 제작전반에 걸쳐 자신의 생각을 각인시키는 감독들이다. 본고는 프랑스에서 통용되고 있는 영화 감독의 개념에 집중한다. 감독-작가의 개념이 탄생한 나라일 뿐만 아니라, 작가로서 감독의 영향력이 현재까지 지속적으로 인정받는 나라이기 때문이다. 이와 함께 실제로 시용되고 있는 두 가지 종류의 감독계약서를 통해 감독이 영화 제작에 있어 갖는 권한에 대해 알아본다. 이는 감독-작가 그리고 감독-기술자로 요약되는 시나리오 집필한 감독이 맺은 저작권 양도 계약서와 감독의 연출행위에 대한 도급 계약서이다.

Abstract

The film director is the responsible for artistic quality of the film. In Hollywood, the director considered as a technician only visualizes the given scenario. In the 1950s, young critics of the Cahiers du cinéma, who were at the center of Nouvelle Vague, re-qualified some Hollywood directors, for example Alfred Hitchcock, Howard Hawks and John Ford. They are considered "auteurs(authors)" because their films have their own styles. In France, the word "auteur-directoir" is often used in the film production. It refers to the person who writes the original screenplay of a movie. Auteur's legal definition of copyright is set out in Article L.111-1 of the Intellectual Property Code: "the auteur of a work of the mind enjoys the work by reason only of its creation, of an exclusive intangible property right and opposable to all. On the other hand, in the definition of producer, it is the natural or legal person who takes the initiative and responsibility for the realization of the work according to Article L. 132-23 of the same code. We study here the competence and responsibility of the French director as an "auteur" by consulting the two types of contract: director-technician and author-director. We rant to offer a reflection on the position of the film director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irector and the producer.

문화콘텐츠의 글로벌경쟁력 강화를 위한 선(先)지원정책연구: 미드 시스템을 기초로 한 '스토리텔링 제작소'의 가능성
변혁(성균관대학교 예술학부 영상학과) pp.95-130
초록보기
초록

세계 각국과 글로벌 기업들은 21세기를 문화산업의 시대로 규정하고 글로벌시장을 선점하기 위한 콘텐츠 개발에 정책적인 지원과 투지를 아끼지 않고 있다. 문화산업의 중요성을 인식한 우리나라도 문화콘텐츠 경쟁력을 확보를 위한 국가적 차원의 적극적인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하지만 현실적인 글로벌시장 점유율을 생각하면 아직까지 국제적 경쟁력에서 취약한 상태라고 할 수 있다. 문화콘텐츠의 경쟁력 부재에는 여러 가지 요인이 있을 수 있겠으나, 창작력의 부재, 특히 스토리텔링의 취약성이 가장 큰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본 논문은 지금까지 정부 지원책의 현황을 살펴보고 향후 스토리텔링 경쟁력 강회를 위한 정책 수립의 필요성에 대해 논하고자 하며 소위 '선(先)지원', 즉 기획과 아이템 개발이라고 하는 콘텐츠 제작의 초기단계의 육성방안의 대안을 제시한다.

Abstract

In the 21st century, developing cultural industry is an important issue world-wide. Since the Kim Daejoong government, Korea has focused on cultural industry development and has thereby treated it as one of the basic, necessary industries. Therefore, the industry is being supported both financially and politically. This policy nurtured the development of quality and quantity within the cultural content industry. However, most of the reports and studies about Korean cultural content have shown it is still not strong enough to compete with leading countries in the field. Competitiveness of storytelling is especially weak.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best direction for the funding policy to strengthen competitiveness in storytelling. Analysing the policies of the No Moo-hyun and Lee Myoung-park governments, we can see that they primarily focused on developing infrastructure in investment and the distribution environment. Support for producing content and distribution follows after confirmation of results. Moreover, policies for the support of developing ideas within culture content are vertical. Currently in the industry, a person or company decides how and where to use the moneys available for investment in the development of content. However, we need to invest more directly, initial funding is required. We analysed the market, studying its activity, achievement and limitations. As a result, we suggest a 'Storytelling Factory' like the group writing system adopted by US TV Shows.

영화문화정책 연구: 프랑스와 한국의 영화정책 비교를 통해
전병원(전북대학교 인문영상연구소) pp.131-160
초록보기
초록

Abstract

Si on examine le bilan 2014 du CNC en France et celui du KOFIC en Corée du Sud, on peut s'apercevoir que l'éhelle industrielle cinématographique des deux pays est très similaire. On peut découvrir quelques chiffres à propos des résultats de l'industrie cinématographique dans ce bilan comme le nombre d'entrées, la recette des guichets, le nombre de production qui sont très similaires. La part de marché pour les films nationaux des deux pays augmente fortement en 2014. Mais ces chiffres de marché pour les films nationals sont les résultats obtenus dans les situations trés différentes des deux pays. En ce cas, la différence entre les deux pays vient d'où? Il en résulte de la politique de la culture cinématographique pour 'la sensibilisation du film comme une culture' des deux pays. Ceci est la partie la plus importante de la différence, qui est également visible dans la politique de la culture de France et de Corée du Sud. Depuis quelques années, le cinéma coréen se développe considérablement, à l'intérieur comme à l'extérieur du pays. Cependant, ce succès masque un certain déséquilibre de l'industrie cinématographique. On se rend compte également de la concentration du pouvoir par la monopolisation des grandes entreprises qui fonctionnent selon le principe de l'intégration verticale, et qui contrôlent toute la chaîne du marché cinématographique, de l'investisse111ent à la diffusion en passant par la production et la distribution. Il est impossible de trouver une solution dans des conditions défavorables où le phénomène du fort accaparement de l'industrie cinématographique coréenne est couplé avec à une logique industrielle de libéralisation du marché. Pour résoudre la monopolisation de l'industrie cinématographique coréenne, qui pose des problème décisifs et partials sur le marché, il va falloir une politique équilibrée de la promotion de la culture cinématographique menée par le KOFIC (Korean Film Council) qui est une organisation financée par le gouvemement. On voudrait proposer une politique de la culture cinématographique qui serait adaptée à la politique du cinéma de la Corée du Sud, à travers des recherches sur la situation actuelle ainsi que l'analyse comparée cles politiques du cinéma entre Corée du Sud et France.

윌리엄 포사이드(William Forsythe) 작품을 통해서 본 오브제(Object)의 활용과 표현 특성 연구
김태희(충남예술고등학교) pp.161-190
초록보기
초록

시대가 발전함에 따라 예술의 창조적 변화는 다양해지는 요구들을 수용하려는 시도들로 이루어지는데, 이러한 시도들은 예술의 장르적 벽을 허물고 다양한 요소들이 무용 작품 안에서 활용된 오브제의 형태로 표현되고 오늘날 오브제 특성이 표현되지 않은 작품은 찾아보기 힘들다. 본 연구는 오브제를 총체적인 관점에서 하나의 체계로 이해하고자 하며 오브제의 미학적 논의 과정을 고찰함으로써 오브제의 표현과 특성이 어떻게 무용 작품 안에서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어떠한 역할을 히는지 분석해보고자 한다. 또한 오브제들이 무용 작품 안에서 작품을 어떻게 자극하고 활성화시키는지 표현 특성을 연구함으로써, 본 연구가 무용예술 작품이 발전할 수 있는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고 본다. 윌리엄 포사이드(William Forsythe) 작품 중 오브제의 표현 특성이 명백하게 드러나는 작품 <Heterotopia> (2006), <The Fact of Matter> (2009), <Synchronous Objects for One Flat Thing, Reproduced> (2009)를 선정하였다. 작품에 나타난 오브제 표현 특성은 다양한 매체의 활용과 신체 행위, 비물질적 요소까지 활용하면서도 무용의 본질은 잃지 않고 자신만의 독창성을 극대화하였으며 무용 공연 표현의 확장을 가져왔다. 그 결과 기존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과 표현의 확장을 가져다주는 이론을 제공하고 관객과의 거리를 좁히며 관객과의 새로운 소통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Abstract

As times progress, creative change is achieved by attempts to embrace different needs. These attempts are expressed as the form of an Object which pulls down the barriers of genre between art. There is now in fact difficult to find a work that doesn't contain the characteristic of an Object. The necessity of this study is that it tries to approach an Object with a holistic perspective and understand it as a single system. It also tries to analyze the roles that an Object's characteristic and expression and the research ways they influence the dance work by contemplating the aesthetic discussion process of an Object in the art field. Also, by researching the characteristics of expression and how Objects stimulate a dance work, this study will take an important part in developing the dance works. Based on this necessity, this research choose the works of William Forsythe, <Heterotopia> (2006), <The Fact of Matter> (2009), <Synchronous Objects for One Flat Thing, reproduced> (2009) which clearly depicts the expression characteristics of an Object. It is noted that the usage of an Object maximized creativity and brought expansion of expressions in a dance performance by using diverse mediums, body actions and even nonmaterial components without losing the essence of a dance. As a result, this usage of an Object provides theories that bring the enlargement of expression and suggests various ways to overcome the limits of other existing dance works.

유럽현대무용에 나타난 융복합 작품 연구 : 빔 반데키부스(Wim Vandekeybus)작품 <블러쉬 Blush> 중심으로
우혜주(선화예술중학교) pp.191-210
초록보기
초록

'융복합'이란 현재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는 단어이며 현 시대의 가장 주된 키워드이다. 예술에까지 활발한 교류로 이어지고 무용분야에서도 다양한 융복합 현상을 보이고 있으며 과학기술과 타 장르의 융복합 장르로써 또 다른 가치를 만드는 새로운 형태로 지적할 수 있다. 춤에 표현에 있어 전달매체로써 역할과 특성의 효과를 찾고 변화를 가져올 수 있음을 확인함이 목적이다. 이에 따라 선행연구를 토대로 했을 때 빔 반데키부스의 대한 평가가 다양한 시각에서 연구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국내외를 비롯한 최근 활발하게 활동하는 유럽현대무용 안무가로서 예술 전반의 흐름에서 주목받는 빔 반데키부스를 선택하여 연구하였으며 작품 중 융복합이 명백히 들어나는 작품 <블러쉬>를 선택하였다. 작품에 나타난 융복합을 보면 무용에서 타 장르의 수용으로 새로운 창작의 시도와 영상의 활용으로 융복합성을 추출할 수 있으며, 안무의 독창성과 무대의 시&#x00B7;공간을 확장시키는 다양한 효과로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즉, 빔 반데키부스 작품을 조명하며 무용이 단순한 움직임에서 벗어난 실험적 요소로 새로운 시도를 볼 수 있고 작품안에서 융복합이 나타나는 바이다. 위와 같은 효과로 관객과의 새로운 소통을 마련하고 작품의 다양한 해석을 연상 할 수 있게 도와주고 있다. 따라서 그가 작품을 통해서 하고자 하는 말에 공감토록 만드는 융복합성 요소로 시대의 흐름에 따라 무용에서도 융복합 예술이 대중성을 가지고 더욱 활발하게 진행되기를 기대한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verifying whether convergence does its role as a transfer medium in dance expression or not, finding the effect of convergence characteristics and confirming whether it would bring change and new creation in performance art or not. This study suggests that studies on convergence in dance are required in accordance with the trend of time. This study believes that convergence is a modern art expression method, which can maximize the artistic expression in dance work and it will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advance of dance works. There are ongoing studies on convergence art genre by many creators; however, still academic study this matter is not sufficient. Therefore, it is believed that more studies on convergence genre from the viewpoint of human studies are required. Accordingly, this study took Blush, the dance art works of Wim Vandekeybus, as the subject of study because convergence is clearly visible in these works. It is possible to draw convergence from these works because the works attempt new creation and utilize image by accommodating other genre art in dance art. The convergence in these works maximizes the originality of choreography and expands the time and space of stage through various effects. In other words, it is possible to see that Wim Vandekeybus is doing new attempts in his dance works by experimental elements, which escaped from simple movement, and convergence appears in the works.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