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Impact Factor

2024 - 2024논문 발행년도

방문자 수

조회수

다운로드 수

전체 논문 목록
browse articles 바로가기

최신 논문

1권 1호

4개 논문이 있습니다.

Mijin Choo(연세대학교) ; Joowon Ahn(연세대학교) ; Soomin Ahn(연세대학교) ; 윤동근Dong Keun Yoon 윤동근(연세대학교) pp.0-0 https://doi.org/10.2326/JKURS.PUB.1.1.42329
초록보기
초록

도시의 쇠퇴화와 급격한 사회경제적 변화에 따른 도시공간의 취약성을 줄이고 사회경제적 수요에 탄력적인 대응이 가능한 도시로의 전환이 중요해지고 있다. 도시정비사업은 도시공간 환경을 개선하고 도시민의 삶의 질을 높이는 대표적인 사업 중 하나로서 2003년「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이 처음 시행된 이후, 도시의 쇠퇴와 환경적·정치적 여건의 변화에 맞춰 지속적으로 법·제도 개선 등이 이루어졌다. 그러나 여전히 정비사업을 둘러싼 다양한 분쟁이 발생하는 가운데 인구구조의 변화, 기후변화 및 재난 대비 등 새로운 도시 정비 수요에 대응해야 하는 전환기를 맞이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한국언론진흥재단의 뉴스 데이터베이스인 빅카인즈(BigKinds)에서 수집한 5,236건의 뉴스 기사에 대한 토픽 모델링 분석을 통해 도시정비사업을 둘러싼 사회적 이슈를 파악하고 도시정비에 관한 이슈 변화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수도권 정비사업 관련 이슈는 ‘정비사업 관련 이해관계자 간 갈등’, ‘신규 아파트 분양 및 부동산 시장변화’, ‘정비기반시설 확충 및 지역 문화·경제 발전’, ‘교육·안전·복지 등 정비사업 관련 주민 의견’, ‘제도 정비 및 법령 제·개정’, ‘철거 및 보상 문제’로 분석되었다. 법령 개정 전인 2013년 이전에는 갈등, 소송, 법적 분쟁 등 정비사업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 관련 이슈가 강조된 반면, 이후에는 개발 이익, 편리성, 집값 상승 등 기대 심리나 혜택과 같은 긍정적인 인식 관련 이슈들이 강조되었다. 본 연구는 양적인 데이터를 기반으로 도시정비사업 관련 사회적 이슈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사회적 이슈와 동향은 향후 도시정비사업을 위한 개선점과 보완점을 시사한다

Abstract

With the decline of cities and rapid socioeconomic changes, urban renovation projects are facing a new turning point as the transition to a city that can reduce the vulnerability and respond flexibly to socioeconomic demand.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changing social issues for Urban Improvement Projects (UIPs). This study analyzes social issues surrounding UIPs and tracks changes in these issues through Topic modeling analysis of 5,236 news articles collected from the BigKinds database. The analysis reveals that social issues in Seoul Metropolitan area can be categorized into ‘conflicts and legal issues’, ‘changes in the housing market and apartment sales’, ‘infrastructure improvement, regional cultural and economic development’, ‘ resident opinions on education, safety, and welfare’, ‘legal revisions’, and ‘demolition and compensation’. Prior to legislative amendments in 2013, there was an emphasis on negative perceptions of UIPs, such as conflicts, lawsuits, and legal disputes. However, subsequent to this period, positive perceptions related to development benefits, convenience, and rising property values have been emphasized. This study derives social issues related UIPs based on quantitative data, offering insights into future improvements and enhancements for UIPs.

초록보기
초록

주택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대규모로 단기간에 공급된 노후계획도시들은 준공 후 30년이 지나면서 건축물 노후화, 주차난, 기반시설 노후화 등의 문제에 직면해 있다. 그러나 현행 법제도 하에서는 체계적인 광역적 정비가 어려워 노후계획도시의 특성에 맞는 새로운 정비제도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자, 정부는 노후계획도시의 특성에 맞는 정비를 위해 특별법을 제정하였다. 특별법은 노후계획도시의 정비를 위해 법의 적용 범위, 규제 완화 등 각종 특례 부여, 공공기여 방식 등을 규정하고 있다. 그러나 여전히 특별법의 역할, 특례의 형평성 및 공공기여의 적정성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

Abstract

The new towns, which were built on a large scale and in a short period of time to solve the housing shortage, are facing problems such as aging buildings, parking shortages, and deteriorating infrastructure as 30 years after completion. However, under the current legal system, it is difficult to carry out systematic and wide-scale maintenance, so the government has enacted a special act for improvement that fits the characteristics of old new town. The special act stipulates the scope of application of the law, granting various special exemptions such as deregulation, and public contribution methods in order to improvement of old new town. However, there is still a need to discuss the role of the special law, the equity of the special exemptions, and the adequacy of public contributions.

Samsu LEE(LH 토지주택연구원) ; Byunghun Yoon(LH 토지주택연구원) pp.0-0 https://doi.org/10.2326/JKURS.PUB.1.1.42344
초록보기
초록

Abstract

This paper attempted to present the project progress status, housing supply characteristics, and improvement measures for the evaluation system for 557 urban regeneration projects promoted from 2014 to 2022.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are limitations in assessing the performance of the urban regeneration project as well as judging whether or not the project will be completed based on the completion of the priming budget. Second, in the case of metropolitan areas and metropolitan cities, there is a need to reorganize to focus on projects that can attract private investment, and in the case of small and medium-sized local cities, there is a need to prioritize government finances such as priming projects. Third, in order to revitalize the city center, it is necessary to secure a residential population, and as this leads to revitalization of local commercial districts and the economy, it is necessary to consider new housing supply methods linked to urban regeneration projects. Finally, performance evaluation and continuous ripple effect monitoring are necessary to ensure the sustainability of the urban regeneration project and to maintain positive ripple effects in the region even after project completion. However, this study has the limitation of not conducting a detailed analysis of the actual execution details of urban regeneration project costs, and more empirical research using performance evaluation data of urban regeneration projects is needed in the future.

초록보기
초록

이 연구는 서울시 정비사업의 공공성 차원에서 확보되는 재개발임대주택의 현안에 대해 살펴보고 정책제언을 하는 것이 주요 목적이다. 현재의 정비 사업은 대부분 조합에 의해 추진되는 민간사업으로 추진되고 있어 공공성을 담보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서울시의 다양한 임대유형 중 재개발임대주택을 선정한 이유는 공공의 노력만으로도, 민간의 단독추진으로 공급되는 것이 아니라 정비사업의 결과물로써 협업을 통해 제공되는 공급모델임을 감안할 때 시사 하는 바가 클 것이라 사료된다. 연구의 내용적 범위로는 정비사업 현황 및 여건에 대해 정책동향 등 문헌검토와 공급사례, 재개발임대주택 거주자의 실태조사를 통한 전반적 정책효과, 용적률 변화에 따른 사업성 변화 사례를 살펴보았다. 특히, 대상지의 입지여건 및 현 상황을 고려한 용적률의 제공은 조합의 사업성을 담보하면서 도시계획사업인 정비사업의 공공성을 확보할 수 있는 기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용적률의 증가는 적정수준의 용적률을 제공하여 일반분양가 대비 조합원 분양가를 일정수준으로 유지하는 것은 대상지의 입지조건에 따른 사업성의 격차를 완화할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 이 때 기반시설 확충, 임대주택의 추가 확보 등을 통하여 공익성과 조합의 사업성을 균형 있게 추구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이를 통해 얻은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서울의 미래세대를 위한 자원 확보 차원에서 재개발임대주택의 적극적인 공급이 필요하다. 둘째, 공공의 직접적인 시행 등 공익성 확보를 위한 노력이 요구된다. 셋째, 제도적 차원에서 재개발임대주택을 넘어 정비 사업을 통해 확보되는 공공임대주택으로 다양화 할 필요가 있다.

Abstract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urrent issues of redeveloped rental housing secured from the public aspect of Seoul's redevelopment project and make policy recommendations. The reason why redevelopment rental housing was selected among the various rental types in Seoul is thought to have significant implications considering that it is a supply model provided through collaboration as a result of a improvement project rather than being supplied through public efforts alone or through the private sector alone. The scope of the study includes review of literature including policy trends on the status and conditions of improvement projects, supply cases, overall policy effects through a survey of residents of redeveloped rental housing, and cases of changes in feasibility analysis due to changes in floor area ratio. In particular, the provision of a floor area ratio that takes into account the location conditions and situation of the target site is judged to be a standard that can ensure the feasibility analysis of the association and secure the publicness of the improvement project. The implications obtained through this are as follows. First, there is a need to actively supply redevelopment rental housing in order to secure resources for future generations in Seoul. Second, efforts are required to ensure public interest, such as direct public implementation. Third, from an institutional perspective, there is a need to diversify beyond redeveloped rental housing into public rental housing secured through improvement projects.

도시정비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