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논문 상세

Home > 논문 상세
  • P-ISSN 2671-8197
  • E-ISSN 2733-936X

삼태극(三太極)/삼원태극(三元太極) 문양의 기원에 대하여

On the origin of the Shape of 'Sam Taeguk(三太極)' or 'Sam-won Taeguk(三元太極 )'

한국학 / Korean Studies Quarterly, (P)2671-8197; (E)2733-936X
2006, v.29 no.2, pp.205-237
우실하 (한국항공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갑골문과 금문에 보이는 ‘囧’자는 ‘빛날 경(囧)’자와 ‘밝을 명(明)’자의 옛 글자이다. 그러나 이 ‘囧’자가 무엇을 상형한 것인가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견해들이 공존하고 있다. 첫째, 달빛이 비치는 ‘열린 창문’을 상형한 것이라는 설이 있다. 둘째, 12년 마다 제후들을 모아 ‘밝음의 신(明神)’에게 제사를 지내던 맹(盟)이라는 행사에서 제단에 올려졌던 ‘소의 귀’를 상형한 것이라는 설이 있다. 셋째, 빛을 발산하는 타오르는 ‘불꽃’을 상형한 것이라는 설이 있다. 이 글에서는 ‘囧’자와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는 경(囧), 명(明), 맹(盟), 일(日) 등의 갑골문과 금문에 보이는 이들 글자들의 변화를 통해서 위의 견해들을 비판적으로 검토한다. 이를 통해서 밝을 경(囧)자와 밝을 명(明)자의 공통 기원인 ‘囧’자가 태양 속에 타오르는 불꽃을 상형한 것이라는 점을 논증하였다. 특히 ‘밝다빛나다환하다’는 의미의 ‘囧’자는 ‘빛’을 발생시키는 ‘불(火)’ 곧 ‘태양 속에 소용돌이치며 타오르는 불꽃’을 상형한 것이다.이런 논의를 통해서 보면, (1) ‘囧’자의 갑골문과 금문에서 보이는 ‘태양을 상징하는 둥근 원 안에 3~4개의 선이나 C자형 곡선이 둘러져 있는 자 형상’에서 각종 파문(巴紋)이 발생하였고, (2) 이런 파문들 가운데 가장 많이 보이는 ‘원 안에 3개의 선이나 3개의 C자형 곡선이 둘러져 있는 자 형상’에서 우리나라에서 특히 많이 사용되는 삼태극(三太極) 혹은 삼원태극(三元太極)의 초기 형상이 기원하였다는 것을 밝혔다.

keywords
태극, 음양태극, 삼태극, 삼원태극, 샤머니즘, Taegǔk, Yin-yang Taegǔk, Sam Taegǔk, Sam-won Taegǔk, shamanism

Abstract

Chinese hieroglyphic character ‘囧’ is an old style letter of ‘冏(shine, be bright)’ and ‘明(light, bright).’ Hieroglyphic character ‘囧’ is seen in ‘Gapgol-mun(甲骨文: inscriptions on bones and tortoise carapaces)’ and ‘Gum-mun(金文: inscriptions on bronze ware).’ But, there are three different theories about what is the meaning of hieroglyphic letter ‘囧.’ The first one says that ‘囧’ represents ‘an open window’ exposed to the shinning moon. The second one says that ‘囧’ represents ‘the ear of cattle’ that had been used in the sacrificial rites for the ‘god of brightness(明神)’ every 12 years in ancient China. The third one says that ‘囧’ represents ‘a flame in the fire.’ In this paper, the author critically reviews the old style letters of ‘冏⋅明⋅盟⋅日’ that is closely connected with hieroglyphic character ‘囧.’ Through these critical review the author suggests that Chinese hieroglyphic character ‘囧’ represents ‘a flame’ that give rise to ‘a light.’ Especially, ‘囧’ represents ‘a flame flared up inside the sun.’ Moreover the author suggests that the shape of ‘Sam Taegǔk(三太極)’ or ‘Sam-won Taegǔk(三元太極)’that is frequently seen in Korean traditional culture is also related to hieroglyphic character ‘囧.’ That is to say, the shape of ‘Sam Taegǔk’ or ‘Sam-won Taegǔk’ has its origin in ‘a flame flared up inside the sun.’ So, the author concludes as follows; At the beginning the shape of ‘Sam Taegǔk’ or ‘Sam-won Taegǔk’ represents the figure of ‘a flame flared up inside the sun.’ Therefore, original design of ‘Sam Taegǔk’ or ‘Sam-won Taegǔk’ represents the shape of sun in which sun-flame is whirling strongly.

keywords
태극, 음양태극, 삼태극, 삼원태극, 샤머니즘, Taegǔk, Yin-yang Taegǔk, Sam Taegǔk, Sam-won Taegǔk, shamanism


참고문헌

1

권오엽(역주) , (2001) 고사기(古事記)(상중하). , 대전: 충남대학교출판부

2

소현성, (2005) 주희와 육구연 형제의 태극논변, 동양철학

3

우실하, (2006) 도교와 민족종교에 보이는 ‘3수 분화의 세계관(1-3-9-81)’, 도교문화연구

4

우실하, (2004a) 전통음악의 구조와 원리: 삼태극의 춤, 동양음악., 소나무

5

우실하, (2004b) 삼태극의 논리와 5音 12律의 산율 수리(數理) 체계. ,

6

우실하, (2004c) 동북아 성수(聖數: 3, 7, 9, 81)의 기원에 대하여.,

7

우실하, (2003) 최초의 태극 관념은 음양태극이 아니라 삼태극/삼원태극이었다, 동양사회사상

8

우실하, (1998) 전통 문화의 구성 원리, 소나무

9

임헌규, (2005) 사암(思庵) 율곡 태극논변과 율곡의 태극론.,

10

임헌규, (2005) 주,육태극논변(陸太極論辨)과 형이상학. ,

11

장윤수, (1997) 한국 성리학에서 ‘무극태극’ 논쟁,

12

지재희, (2002) 주례(周禮). , 자유문고

13

康殷, (1990) 古文字形發微, 北京出版社

14

高大倫蔡中民李映福(主編), (1997) 中國文物鑑賞辭典, 江出版社

15

杉浦康平(著) , (1999) 造型的誕生., 中國靑年出版社

16

謝海元顧望, (1999) 中國靑銅圖典, 浙江人民出版社

17

(1994) 田自秉吳淑生, 人民美術出版社

상단으로 이동

한국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