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논문 상세

Home > 논문 상세
  • P-ISSN 2671-8197
  • E-ISSN 2733-936X

20세기 '대중 오락'으로 새로 태어난 '야담'의 실체

The Substance of the Ya-dam new-born as ‘Popular Entertainment' in 20th century

한국학 / Korean Studies Quarterly, (P)2671-8197; (E)2733-936X
2008, v.31 no.1, pp.103-129
https://doi.org/10.25024/ksq.31.1.200803.103
고은지 (고려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20세기 야담은 조선역사에 대한 열풍을 배경으로 일어난 역사의 대중화 운동에서 출발하였다. 그 시작을 알린 것은 김진구로, 그에게 있어 야담운동은 역사의 대중화를 목적으로 하는 강연회를 의미했다. 때문에 김진구는 『청구야담』이나 『어유야담』 같은 조선의 야담들을 부정했다. 그러나 야담이 대중화되면서 김진구가 강조했던 계몽성은 사라지고, 윤백남의 참여로 흥미가 강조되면서 일시적 오락으로 인기를 얻어간다. 이러한 야담이 당대의 대중들에게 본격적으로 알려지기 시작한 것은 경성방송국의 야담 방송을 통해서였다. 이를 통해 윤백남 이외의 신정언, 유추강이라는 스타 야담가가 탄생하였다. 또한 『월간야담』과 『야담』이라는 잡지의 출현으로 ‘취미독물’로서 야담 역시 많은 인기를 끌었다. 내용적 측면에서 보자면 20세기 야담은 조선시대의 야담문헌은 물론, 『삼국유사』에서 『연려실기술』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문헌들에 수록된 ‘소설적 흥취’가 있는 이야기들을 한글로 복원하는 데 그 목적을 두고 있었다. 이를 기준으로 하여 역사적 사실을 바탕으로 허구가 가미된 것, 역사적 사실과 무관하게 허구 그 자체로만 이루어진 것 등 3가지 방식으로 20세기 야담이 창작되었다. 여기에는 다양한 통속성과 교훈성을 양 극단으로 하여 다양한 성향의 이야기들이 섞여 있다. 즉 20세기의 야담은 다양한 채널을 통해 생산되면서 건전한 취미독물에서 불온한 취미독물에 이르기까지 매우 다층적인 층위를 지니고 있었던 것이다.

keywords
야담(Yadam), 조선학(Learning of Chosun), 김진구(Kim Jin-Goo), 윤백남(Yoon Baek-Nam), 신정언(Shin Jeong-Un), 유추강(Yu Choo-Kang), 「월간야담」(Wolgan Ya-dam), 취미독물(reading subject for hobby), 경성방송국(Gyung-Sung Broadcasting System)

Abstract

Ya-dam in 20th century has begun in the campaign of the popularization that arose under the circumstance of strong wind for the history of Chosun Dynasty. Kim Jin-Goo informed its beginning, the campaign of Ya-dam means a lecture meeting that purposed the popularization of the history on him. So Kim Jin-Goo denied the historical stories of Chosun like Chung-goo Yadam. However, the enlightenment that Kim Jin-Goo intensified has disappeared as Ya-dam was popularized, it was gaining popularity as a temporary entertainment by the interest being intensified by Yoon Baek-Nam's participation. Ya-dam became generally known through the programme of Ya-dam in the Gyung-Sung Broadcasting System. Through this, except on Yoon Baek-Nam, the Star Ya-dam storytellers, such as Shin Jeong-Un and Yu Choo-Kang, came into the world. Furthermore, Ya-dam also gained a lot of popularity by the advent of Wolgan Ya-dam and Ya-dam as a reading subject for hobby. On the side of story, Ya-dam in 20th century had a purpose to restore the tasteful stories, that was included in various documents such as documents of historical story in Chosun Dynasty and Samkook-Yusa, in Korean. Ya-dam in 20th century was created by 3 types involving the thing that a fiction was added on the base of historical fact and the thing that was consist of a fiction itself without relation with historical fact. Ya-dam on multistory class exist in these, which involve a healthy reading subject for hobby to a improper reading subject for hobby.

keywords
야담(Yadam), 조선학(Learning of Chosun), 김진구(Kim Jin-Goo), 윤백남(Yoon Baek-Nam), 신정언(Shin Jeong-Un), 유추강(Yu Choo-Kang), 「월간야담」(Wolgan Ya-dam), 취미독물(reading subject for hobby), 경성방송국(Gyung-Sung Broadcasting System)


참고문헌

1

『월간야담』; 『야담』; 『별건곤』; 『삼천리』; ≪동아일보≫; ≪조선일보≫,

2

공임순, (2007) 재미있고 유익하게, ‘건전한’ 취미독물 야담의 프로파간다화, 민족문학사연구

3

김준형, (2006) 근대 전환기 <옥소선 이야기>의 개작 양상과 그 의미,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4

김준형, (2002) 야담운동의 출현과 전개 양상, 민족문학사연구

5

소래섭, (2005) 에로 그로 넌센스:근대적 자극의 탄생, 살림

6

신명직, (2003) 모던?이, 경성을 거닐다, 현실문화연구

7

이경돈, (2004) 별건곤과 근대 취미독물, 대동문화연구

8

임형택, (1976) 18ㆍ9세기 ‘이야기꾼’의 소설과 발달?. 고전문학을 찾아서, 문학과지성사

9

임형택, 야담의 근대적 변모, 한국한문학

10

정부교, (1998) 근대 야담의 전통 계승 양상과 의미, 국어국문학지

11

정출헌, (1995) 야담의 세계?. 민족문학사연구소(엮음), 『민족문학사 강좌(상)』. 서울: 창작과 비평사, 1995, 283~304쪽,

12

차혜영, (2004) 1930년대 ≪월간야담≫과 ≪야담≫의 자리?. 『1930년대 한국문학의 모더니즘과 전통연구』. 서울: 깊은샘, 2004, 205~232쪽,

13

이용남 ; 천정환, (2006) 근대적 대중문화의 발전과 취미, 민족문학사연구

상단으로 이동

한국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