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ticle Detail

Home > Article Detail
  • P-ISSN 2671-8197
  • E-ISSN 2733-936X

Facts, Figures, and Achievements from Research Conducted by North Korea on the Relics of the Goguryo Kingdom

Korean Studies Quarterly / Korean Studies Quarterly, (P)2671-8197; (E)2733-936X
2008, v.31 no.1, pp.327-358
https://doi.org/10.25024/ksq.31.1.200803.327
Baek, Jong-oh
  • Downloaded
  • Viewed

Abstract

북한 학계에서는 해방이후 최근까지 고구려유적에 대한 고고학적 발굴조사를 꾸준히 진행시키고 있으며 이들 성과는 고구려 고고학을 상당한 수준까지 올려놓았다고 평가할 수 있다. 이 글에서는 남북 분단이후 북한 학계의 고고학적 조사연구 성과를 성곽과 고분, 그리고 사찰 및 기타 분야로 나누어 정리하고 끝으로 출토 유물의 연구 경향을 살펴보았다. 먼저 성곽의 분포는 대부분 평안도 일대와 평양, 그리고 황해도일대의 고대 교통로 상에 집중하고 있다. 평양의 경우 안학궁성과 대성산성을 중심으로 동서남북에 이중으로 배치하여 새로운 도성방어체계를 구축하였고 그 외 지역은 남진루트를 확보하기 위한 산성들을 해안과 교통로 상에 축조하였다. 이렇듯 북한의 성곽 조사는 고조선과 고구려와의 계승관계, 고구려의 남진과 도성 방어체계 등을 밝히기 위해 실시되었으며 주요 성과로는 청암동토성과 덕산토성, 안학궁성과 대성산성, 그리고 장수산성과 그 일대의 도시유적의 발굴조사가 있다. 북한 학계의 고분 연구는 주로 적석총의 형식분류와 관련되거나 고구려 문화의 우수성을 강조하려는 의도에서 진행되었다. 무엇보다도 북한의 고분 연구에서 주목할 만한 성과는 초산 련무리고분과 운평리고분군 등의 발굴을 통해 일본 적석총계 전방후원분의 기원을 해명하는데 실마리를 제공하였다는 점이다. 출토 유물 중 기와 연구는 남한의 연구에 비해 평면적이라고 할 수 있으나 연구 성과에 최신 자료가 신속히 반영되는 점은 주목할 만하다. 그러나 토기 연구에 있어서는 대부분 개별적인 기술에 그치고 있다. 금속류는 형식분류를 통한 연대 추정과 편년, 삼국과의 비교연구 등을 통해 고구려 문화의 독자성과 우수성은 물론 고구려 문화가 북중국의 문화에 끼친 영향을 구체적인 논증을 통해 전개하는 점이 특징적이다. 최근들어 남한은 임진강유역을 중심으로 양주분지와 한강유역, 금강유역에 이르기까지 고구려 유적이 계속적으로 발굴되고 있다. 이러한 경향에 비추어 남북한이 함께 공유하고 고민할 수 있는 고구려 고고학의 제 분야 및 연구 성과가 어느 정도 축적되었다고 할 수 있다. 이를 계기로 남북한이 고구려 고고학에 대한 견해 차이의 극복과 보다 성숙된 학문적 자세를 이룩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keywords
북한(North Korea), 고구려(Gogurye Kingdom), 유적(Relics), 유물(Remains)


Reference

1

姜仁求, (1991) 平壤學界의 高句麗古墳 조사연구 성과 분석?. 『北韓의 韓國學 硏究成果 分析』. 성남: 韓國精神文化硏究院, 1991, 57~103쪽,

2

姜賢淑, (2000) 高句麗 古墳 硏究,

3

琴京淑, (1994) 北韓의 高句麗史 認識, 北韓硏究

4

金希燦, (2001) 北韓의 高句麗 遺蹟 發掘과 그 成果, 高句麗硏究

5

리승혁, (2004) 장수산성의 축조형식과 연대에 대하여 in: 북한의 최근 고구려사 연구, 고구려연구재단

6

朴京哲, (1995) 最近 北韓學界의 高句麗史 硏究動向에 관한 小考, 白山學報

7

朴京哲, (1998) 北韓의 古代ㆍ中世史 認識틀에 관한 一考察, 史叢

8

朴性鳳, (1990) 北韓의 高句麗史 硏究動向과 특성, 東方學志

9

백종오, (2006) 고구려 기와의 성립과 왕권, 주류성

10

백종오, (2006) 北韓學界의 古朝鮮 城郭 硏究 動向, 檀君學硏究

11

徐日範, (1999) 北韓地域 高句麗 山城 硏究,

12

윤광수, (2004) 기와를 통하여 본 삼국문화의 공통성 in: 북한의 최근 고구려사 연구, 고구려연구재단

13

李鮮馥, (1994) 北韓 考古學界의 動向, 北韓硏究

14

李成美, (1991) 北韓의 美術史 硏究現況: 古墳壁畵?. 『北韓의 韓國學 硏究成果 分析』. 성남: 韓國精神文化硏究院, 1991, 293~358쪽,

15

전호태, (2000) 고구려 고분벽화 연구, 사계절

16

차용걸, (1996) 高句麗의 都市와 城郭?. 『高句麗의 考古文物』. 성남: 韓國精神文化硏究院, 1996,

17

崔鍾澤, (1999) 高句麗 土器 硏究,

18

하문식, (2002) 북한의 유적답사와 고고학계 연구동향, 白山學報

19

하문식, (2005) 고조선의 무덤 연구-북한지역 고인돌을 중심으로, 단군학연구

20

하문식, (2006) 북한 학계의 고조선 연구 경향, 白山學報

21

하문식, (2006) 대동강문화론에서 본 북한 학계의 연구경향, 단군학연구

22

한창균, (1999) 1950년대의 북한 고고학 연구, 白山學報

23

한창균, (2000) 1960년대의 북한 고고학 연구, 白山學報

24

강세권, (2005) 고구려사연구론문집(1), 사회과학출판사

25

고고학 및 민속학연구소, 『문화유산』. 1957~1962,

26

고고학 및 민속학연구소, 『고고민속』. 1963~1967,

27

김경찬, (1992) ?황해남도 지방의 해안 방어성에 대하여?. 『조선고고연구』 1992-4, 사회과학출판사, 1992, 29~33쪽,

28

김경찬, (1993) 구월산 일대의 지역성방어체계, 김일성종합대학학보

29

김영진, (1995) 조선도자사연구, 사회과학출판사

30

김영진, (2002) 고구려유물, 사회과학출판사

31

김일성종합대학 고고학 및 민속학강좌, (1973) 대성산의 고구려유적,

32

김은택, (2004) 력사과학 in: 고구려는 고조선의 계승국, 과학백과사전출판사

33

김재용, (2005) 대성산일대의 유적을 통하여 본 고구려의 강성 in: 고구려의 목조건축물-대동강나무다리, 과학백과사전출판사

34

김현주, (2005) 고구려사연구론문집(2), 사회과학출판사

35

남일룡, (1995) 중세 우리나라 서북지방의 성 방어체계, 김일성종합대학출판사

36

남일룡, (1999) 대동강류역 고대성곽의 성격, 사회과학원출판사

37

리광희, (1990) 고구려 무덤을 통하여 본 유약바른 질그릇의 발생시기에 대하여?. 『조선고고연구』 1990-4, 사회과학출판사, 1990, 10~15쪽,

38

리광희, (1991) 조선고고연구 in : 고구려 시기 질그릇에 그려진 장식무늬에 대하여, 사회과학출판사

39

리광희, (2004) 조선고고연구 in : 청암동토성에서 새로 발견된 수기와의 년대, 사회과학출판사

40

리광희, (2005) 고구려유물연구, 과학백과사전출판사

41

리정남, (1989) 자강도 초산군 련무리2호무덤 발굴중간보고, 사회과학출판사

42

리정남, (1990) 운평리 고구려무덤떼 제4지구 돌각담무덤 발굴보고, 사회과학출판사

43

리창언, (1988) 동암리 벽화무덤 발굴보고, 사회과학출판사

44

리창언, (1989) 동암리 벽화무덤의 년대, 사회과학출판사

45

리창언, (1991) 최근에 조사발굴된 압록강류역의 돌각담무덤들에서 주목되는 몇가지 문제, 사회과학출판사

46

박창수, (1986) 평성시 지경도 고구려무덤 발굴보고, 사회과학출판사

47

사회과학원 고고학연구소, (1975) 고구려문화, 사회과학종합출판사

48

사회과학원 고고학연구소, (1977) 조선고고학개요, 사회과학종합출판사

49

사회과학원 고고학 및 민속학연구소, (1958) 안악제1ㆍ2호분발굴보고, 과학원출판사

50

사회과학원 고고학 및 민속학연구소, (1958) 안악제3호분발굴보고, 과학원출판사

51

사회과학원 고고학 및 민속학연구소, (1958) 평안남도 순천군 룡봉리 료동성총조사보고, 과학원출판사

52

사회과학원 고고학 및 민속학연구소, (1958) 평양역전2실분발굴보고, 과학원출판사

53

사회과학원 고고학 및 민속학연구소, (1962) 고구려 기와무늬, 과학원출판사

54

사회과학원 고고학 및 민속학연구소, (1966) 미천왕무덤, 과학원출판사

55

사회과학원 고고학 및 민속학연구소, (1976) 동명왕릉과 그 부근의 고구려 유적, 김일성종합대학출판사

56

사회과학원 역사연구소, (1991) 조선전사, 사회과학종합출판사

57

사회과학출판사, 사회과학출판사, 『조선고고연구』. 평양: 1986~2004,

58

손수호, (2001) 고구려고분연구, 사회과학출판사

59

손수호, (2002) 평양성, 고구려돌칸흙무덤발굴보고, 사회과학출판사

60

손영종, (1997) 고구려사(2), 과학백과사전종합출판사

61

윤광수, (2004) 고구려기와의 종류와 형태, 사회과학출판사

62

윤광수, (2005) 안학궁터의 기와에 대하여 in: 대성산일대의 유적을 통하여본 고구려의 강성, 과학백과사전출판사

63

전제헌, (1995) 정릉사 행궁건물의 원상복원에 대하여 in: 조선고고연구, 사회과학출판사

64

정찬영, (1973) 기원4세기까지의 고구려 묘제에 관한 연구, 고고민속논문집

65

정찬영, (1990) 압록강, 독로강유역의 고구려유적 발굴보고, 과학백과사전출판사

66

조선유적유물도감편찬위원회, (1990) 조선유적유물도감(2): 고구려편,

67

주영헌, (1985) 주요 고구려 벽화무덤의 주인공문제에 대하여 in: 高句麗 壁畵古墳, 朝鮮畵報社

68

지승철, (2001) 장수산의 력사와 문화, 사회과학출판사

69

채희국, (1963) 대성산-평양성, 조선로동당출판사

70

채희국, (1965) 대성산 일대의 고구려 유적에 관한 연구, 사회과학원출판사

71

채희국, (1985) 고구려역사연구, 과학백과사전출판사

72

최창빈, (1990) 4세기말~5세기초 고구려의 국남7성과 국동 6성에 대하여, 과학백과사전출판사

73

최희림, (1978) 고구려 평양성, 과학백과사전출판사

74

한인덕, (1989) 월정리 고구려벽화무덤 발굴보고, 사회과학출판사

75

한인호, (1989) 평정리 벽화무덤 발굴보고 in :조선고고연구, 사회과학출판사

76

한인호, (1995) 조선중세건축유적연구, 사회과학출판사

77

金日成綜合大學, (1985) 五世紀の高句麗文化, 雄山閣

78

東潮, (1995) 高句麗の歷史と遺跡, 中央公論社

상단으로 이동

Korean Studies Quarter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