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논문 상세

Home > 논문 상세
  • P-ISSN 2671-8197
  • E-ISSN 2733-936X

20세기 초반의 계몽담론과 한문

The Enlightenment Discourses and Chinese Literature in the early 20th Century

한국학 / Korean Studies Quarterly, (P)2671-8197; (E)2733-936X
2008, v.31 no.4, pp.275-299
https://doi.org/10.25024/ksq.31.4.200812.275
김진균 (성균관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이 논문은 근대계몽기의 계몽담론과 한문의 관계에 대해 고찰한 것이다. 한문에 대한 지속적인 타자화를 시도한 계몽담론의 대표적인 경우를 ≪대한매일신보≫에 실렸던 「한국의 서적」이나 김갑순의 「부유(腐儒)」, 황희성의 「여여하정선생족하서(與呂荷亭先生足下書)」 등에서 볼 수 있다. 그러나 계몽담론의 생산자들은 실상 구문명의 한문 교육을 받은 사람들로서, 과감한 청산을 주장하면서도 한문에 대해 복잡한 감정을 품을 수밖에 없었다. 이기의 「습관생애연 애연생완고(習慣生愛戀愛戀生頑固)」와 윤효정의 「문자쾌락(文字快樂)」에서 그 착종된 감정을 읽을 수 있다. 한문문장에 계몽담론을 담는 경우도 있었다. 변영만이나 유길준의 이 시기 한문문장이 그에 해당하는 경우라 하겠는데, 구문명의 한문지식인들을 계몽의 대상으로 삼아 근대 국민의 범주에 포함시키려 한 시도라 하겠다. 또한 직접적으로 주변의 한문지식인들을 대상으로 계몽을 시도한 이상룡과 유인식과 같은 경우도 있었다. 그러나 지도적 계급이라는 자부심을 갖고 있는 유림을 계몽의 교육 대상으로 격하했기 때문에 이상룡 등의 계몽사업은 대단히 격렬한 저항에 직면해야 했다. 이처럼 이 시기의 계몽담론과 한문의 관계를 더 탐구해 들어가면 ‘구문명의 한문/신문명의 국문’처럼 단순한 이분법적 사유로 설명될 수 없는 예들이 발견된다.

keywords
Modern Sino-Korean literature, modern media, transition of civilization, modern enlightenment period, 근대 한문학, 근대매체, 문명적 전환, 근대계몽기

Abstract

The present study examined the relation between enlightenment discourses and Sino-Korean literature during the modern enlightenment period. In the early 20th century, enlightenment intellects produced enlightenment discourses maintaining that the crisis of Chosun should be understood based on the world ruled by the logic of power, namely, the survival of the fittest and that modernization should be achieved to the level of world powers. As the enlightenment discourses were aware that Sino-Korean literature containing the medieval order should be cleared off in the urgent task of modernization, they steadily attempted the otherization of Sino-Korean literature along with attacking old civilization. Representative examples of such discourses are Korean Books in Daehan Maeil Sinbo, Kim Gap‐sun’s Corrupted Scholars, and Hwang Hee‐seong’s To Dr. Gyu‐hyeong Yeo. On the other hand, the producers of such enlightenment discourses containing the logic of otherizing Sino-Korean literature were in fact those who had learned the Sino-Korean literature of old civilization. While they insisted on decisive clearing off, they had to have a complicated feeling about Sino- Korean literature. In Love Comes from Habit and Stubbornness from Love, Lee Gi confessed that he had a subtle attachment to scholarly learning, and furthermore, in The Pleasure of Letters Yoon Hyo‐jeong criticized the climate of regarding scholarship as an obstacle and maintained that there was something obtainable from it. Enlightenment discourses in this period usually used Korean‐Chinese style, aiming at modern citizens, but in some special cases enlightenment discourses were carried in scientific sentences. Some examples are the learned sentences written by Byeon Yeong‐man and Yoo Gil‐jun, which attempted to include the intellects of old civilization in the category of modern citizens as the targets of enlightenment. They were different from enlightenment discourses that tried to otherize and exclude old civilization and Sino-Korean literature. In addition, there were people like Lee Sang‐ryong and Yoo In‐sik who attempted to enlighten learned intellects around directly. Enlightenment programs by Lee Sang‐ryong, etc. were faced with extremely violent resistance. It was because they looked down on Confucian scholars, who were proud of themselves as a leading class, as the subjects of enlightenment education. After all, the direction was set in a way of clearing off scholarship as a language of old civilization and the modern Korean style was settled as a language of new civilization. This is regarded as the general frame of the modern enlightenment period, but when we inquire deeper into the relation between enlightenment discourses and Sino-Korean literature, we can find examples that cannot be explained simply by dichotomous reasoning like ‘Sino-Korean literature of old civilization/Korean style of new civilization.’

keywords
Modern Sino-Korean literature, modern media, transition of civilization, modern enlightenment period, 근대 한문학, 근대매체, 문명적 전환, 근대계몽기


참고문헌

1

嶠南敎育會雜誌,

2

畿湖興學會月報,

3

大東學會月報,

4

大韓每日申報,

5

大韓留學生會學報,

6

大韓自彊會月報,

7

大韓協會會報,

8

독립신문,

9

湖南學報,

10

申采浩, (1908) 乙支文德, 廣學書

11

柳寅植, 東山文稿,

12

李相龍, 石洲遺稿,

13

卞榮晩, (2006) 변영만전집, 성균관대 대동문화연구원

14

강명관, (1985) 한문폐지론과 애국계몽기의 국한문 논쟁, 한국한문학연구

15

김시업, (1996) 한문학에 있어서의 민족적 자아, 한국한문학연구

16

김시업, (2001) 근대전환기 한문학의 세계인식과 민족적 자아, 대동문화연구

17

김진균, (2004) 변영만의 비판적 근대정신과 문예추구,

18

김희곤, (1997) 동산 유인식의 생애와 독립운동, 한국근현대사연구

19

박노자, (2005) 우승열패의 신화, 한겨레신문사

20

박원재, (2004) 석주 이상룡의 현실인식과 유교적 실천론, 오늘의 동양사상

21

박원재, (2006) 동산 유인식의 계몽운동과 유교개혁론, 동양철학

22

섭건곤, (1979) 양계초와 구한말 문학,

23

신귀현, (2000) 석주 이상룡 선생의 서양철학 수용과 그의 개혁사상, 철학

24

안건호, (1998) 1910년 전후 이상룡의 활동과 사회진화론, 역사와현실

25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1998) 한말 영남 유학계의 동향,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6

우림걸, (2002) 한국 개화기 문학과 양계초, 박이정

27

윤순갑 ; 김명하, (2004) 석주 이상룡의 사회진화론 수용과 국가주의, 대한정치학회보

28

이광린, (1980) 구한말 신학과 구학과의 논쟁, 동방학지

29

이응호, (1975) 개화기의 한글운동사, 성청사

30

임상석, (2006) 근대계몽기 잡지의 국한문체 연구,

31

임형택, (2002) 한국문학사의 논리와 체계, 창작과비평사

32

전복희, (1996) 사회진화론과 국가사상, 한울아카데미

33

정순목, (1981) 영남유림에 있어서 교육개화운동-동산유인식을 중심으로, 교육철학

34

최기영, (2003) 한국근대계몽사상연구, 일조각

35

황호덕, (2005) 근대 네이션과 그 표상들, 소명출판

상단으로 이동

한국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