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논문 상세

Home > 논문 상세
  • P-ISSN 2671-8197
  • E-ISSN 2733-936X

탈구조주의 수사학 연구-청각은유의 가능성-

An Essay on the Post-structural Rhetoric: A Possibility of “Sound-metaphor”

한국학 / Korean Studies Quarterly, (P)2671-8197; (E)2733-936X
2008, v.31 no.4, pp.51-77
https://doi.org/10.25024/ksq.31.4.200812.51
윤지영 (동의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지난 수년 동안 한국현대시에서 언어유희는 주변적인 위치를 점해왔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는 문학을 의미와 가치로 평가하는 인본주의적 관점에서 기인하는 바 큰데, 기표와 기의의 자의성을 적극적으로 사유하는 탈구조주의적인 관점에서 보자면 언어유희는 적어도 시의 내재적인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이 연구는 바로 언어유희를 현대시의 주요한 시적 특질로 자리매김하고자 탈구조주의적 관점에서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여기에서 특히 주목한 것은 기표의 청각적 유사성을 기준으로 언어기호를 교체하는 현상인데, 이를 “청각은유”라고 명명할 수 있다. 왜냐하면 이러한 현상은 언어기호의 교체와 그 대상들 간의 유사성이라는 은유의 핵심적 조건을 공유한다는 점에서 은유의 일종이라고 볼 수 있기 때문이다. 이 청각은유는 안현미나 김민정 같은 현대 시인의 작품에서도 많이 발견되지만 동시대에 널리 퍼져있던 허무 개그에서는 주된 기제이기도 하다. 농담에 대한 프로이트의 분석을 참조하여 볼 때, 이러한 청각은유는 상징계로 통칭되는 질서와 규율에 의해 억압된 욕망을 경제적으로 충족시키는 효과를 갖는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청각은유는 특정한 기의로부터 기표들을 자유롭게 하여 기표를 텅 비게 만듦으로써 오히려 다양한 맥락들을 공존할 수 있게 하는 기능을 한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점에서 청각은유는 무한한 의미작용의 무대를 만들어주는 탈구조주의적인 전략으로서 가치가 있다고 하겠다.

keywords
언어유희, 청각은유, 은유, 탈구조주의, 인본주의, verbal play, sound metaphor, metaphor, post-structuralism, humanism

Abstract

Related with the Korean poetry, the verbal play has been estranged for a long time, because of evaluating literature with meaning and value from a humanistic perspective. But from a post-structural point of view, verbal play would be an inherent feature in poetry. This study attempted to revaluate of verbal play, specially through paying attention to signifier more than signified. From the traditional linguistics, signified has been the crucial element to language process to select and connect linguistic units. As metaphor, it is the same. New critics suggested that metaphor was made of tenor and vehicle, primary meaning and secondary meaning, And Jakobson defined that metaphor was substitution based on a certain kind of similarity. All of them put stress on signified than signifier, which was a result of the perspective. But we can found the similarity between two signifiers, sound images, not signifieds. In that case, it is a metaphor too. To distinguish that from the metaphor based on a semantic lever, we can call it “sound- metaphor”. We can find the sound-metaphor frequently in contemporary poetry like An, Hyun-me's and Kim, Min-jung's, and nonsense wit. From Freud, it is similar to a joke. The first, because there is the superior of signifier in joke, and the second, it can set free the desire which repressed by humanistic order and reasonal rule of language. Also, sound-metaphor can be a 'point de caption' by making the same signifier to pull different contexts. So there are equal coexistence of different contexts. Therefore, sound-metaphor is empty and full signifier at the same time. As the result, the sound-metaphor could be a post-structural strategy to make poetry a playground of infinity signification.

keywords
언어유희, 청각은유, 은유, 탈구조주의, 인본주의, verbal play, sound metaphor, metaphor, post-structuralism, humanism


참고문헌

1

김욱동, (2002) 수사학이란 무엇인가, 민음사

2

김종도, (2004) 은유의 세계, 한국문화사

3

유종호, (1995) 일탈의 시학, 민음사

4

로만 야콥슨, (1994) 언어학과 시학, 민음사

5

로제 카이와, (1994) 놀이와 인간, 문예출판사

6

슬라보에 지젝, (1995) 삐딱하게 보기, 시각과 언어

7

월터 J. 옹, (1996) 구술문화와 문자문화, 문예출판사

8

조너선 컬러, (1999) 문학이론, 동문선

9

줄리아 크리스테바, (2000) 시적 언어의 혁명, 동문선

10

지그문트 프로이트, (2003) 농담과 무의식의 관계, 열린책들

11

테리 이글턴, (2006) 문학이론입문, 창작과 비평사

12

피터 배리, (2001) 현대문학이론 입문, 시유시

13

필립 휠라이트, (1999) 은유와 실재, 한국문화사

14

Atkins,G.Douglas, (1985) Writing and Reading Differently, Kansas: the University Press of Kansas

상단으로 이동

한국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