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논문 상세

Home > 논문 상세
  • P-ISSN 2671-8197
  • E-ISSN 2733-936X

성리학 전통에 비친 대한민국의 건국

한국학 / Korean Studies Quarterly, (P)2671-8197; (E)2733-936X
2009, v.32 no.2, pp.31-57
https://doi.org/10.25024/ksq.32.2.200906.31
이영훈 (서울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일제로부터 해방된 뒤 한반도 남부의 주민들은 민주주의와 공산주의라는 정치이념으로 분열하였다. 남한에서 대한민국의 성립은 민주주의의 승리를 의미하였다. 이 논문은 이 같이 단순화되어 온 건국기(1945~1948)의 정치사 이해를 극복하기 위해 ‘전통’이라는 제3의 집단을 상정하였다. 양적으로 오히려 다수였을 이들 제3의 집단은 조선성리학을 기본이념으로 하였다. 건국기의 정치사는 이들 집단에 대한 이해를 통해 보다 풍부하게 재구성될 것이다. 이 논문은 이러한 기대에서 건국기에 치재(致齋)와 정강(定岡)이란 호를 가진 두 농촌 선비가 한문으로 쓴 일기를 분석하였다. 두 성리학자의 생활방식, 인간관계, 역사관, 철학은 19세기까지의 전통 성리학자와 동일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들의 정치의식은 근대적 민족주의 또는 민주주의와 거리가 있었다. 그들이 보기에 해방 후 일본을 대신하여 찾아온 미국은 일본보다 더 나쁜 짐승과 같은 존재들이었다. 그들은 1948년에 세워진 나라의 국호는 물론 새로운 정치이념을 이해하지 못했다. 제3의 집단이 보인 이 같은 정치의식을 확인한 위에 이 논문은 이미 일부 정치학자들이 제기한, 대한민국은 사회로부터 도출되었기보다 사회를 위로부터 덮는 방식으로 성립한 국가라는 가설을 지지하였다. 이후에도 전통주의의 역사적 역할은 사라지지 않았다. 1960년대 이후 전통주의는 민족주의 역사학의 이름으로 부활하여 대한민국을 비판하는 이데올로기로 작용하였다. 건국이후 60년이 지났음에도 대한민국이 자신에 적합한 건국사라는 기억을 확보하고 있지 못한 것은 그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keywords
Confucian tradition, historical role of tradition, national identity, history of nation building, 성리학적 전통, 전통의 역사적 역할, 국민적 일체성, 건국사


참고문헌

1

致齋日記 (一)ㆍ(二). 성남: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4.

2

定岡日記 . 성남: 한국학중앙연구원, 미간행자료.

3

金英喜, 「일제 말기 향촌 儒生의 ‘日記’에 반영된 현실인식과 사회상」. 한국근현대사연구 14, 2000, 91~130쪽.

4

琴章泰ㆍ高光稙, 儒學近百年 . 서울: 博英社, 1984.

5

김기승ㆍ오문환ㆍ이승현ㆍ임형진ㆍ장현근ㆍ조현수ㆍ홍원표, 국가건설사상Ⅱ . 서울: 인간사랑, 2006.

6

김한종ㆍ홍순권ㆍ김태웅ㆍ이인석ㆍ남궁원ㆍ남정란, 고등학교 한국근ㆍ현대사 . 서울: 금성출판사, 2007.

7

김희태, 「 定岡日記 : 일제말~광복 직후 장흥 유생의 일기」. 역사문화학회(편), 지방사와 비장문화Ⅰ . 서울: 학연문화사, 1998, 359~373쪽.

8

다나카 류우지(田中隆二), 「일제하 해방후 농촌 지방유생 金麟洙의 시대인식」. 釜大史學 22, 1998, 335~358쪽.

9

尹學準(著), 나의 양반문화 탐방기Ⅰ . 서울: 길안사, 1994.

10

이영훈, 「국사 교과서에 그려진 일제의 수탈상과 그 신화성」. ‘한일. 연대21’(엮음), 한일 역사인식 논쟁의 메타히스토리 . 서울: 뿌리와 이파리, 2008, 99~129쪽.

11

주진오ㆍ신영범ㆍ김진규ㆍ민병관ㆍ조동근, 고등학교 한국근ㆍ현대사 . 서울: 중앙교육진흥연구소, 2005.

상단으로 이동

한국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