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논문 상세

Home > 논문 상세
  • P-ISSN 2671-8197
  • E-ISSN 2733-936X

동아시아의 맥락에서 본 안중근과 동양평화론 : 열린 민족주의와 보편주의로의 지평

한국학 / Korean Studies Quarterly, (P)2671-8197; (E)2733-936X
2009, v.32 no.4, pp.193-219
https://doi.org/10.25024/ksq.32.4.200912.193
김경일 (한국학중앙연구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안중근에 관한 주류적 연구들에 대한 비판적 인식에서 이 글은 안중근의 사상에서 민족주의와 동아시아의 두 가지 개념에 주목한다. 안중근의 민족주의와 동양평화론을 일국사의 틀에서 이해해 온 학계의 편향이 완전히 해소되지 않은 채로 여전히 영향을 미치고 있는 현실에서 안중근이 쓴 텍스트와 기존 연구들에 대한 징후적 해독(symptomatic reading)을 통하여 그에 대해 형성되어 온 기존의 이해를 해체하는 한편, 이 두 주제에 관한 안중근 자신의 생각과 비전이 어떠한 것이었는지를 탐색한다. 원초적 민족주의의 원형들을 안중근에게서 찾아볼 수 있는 개연성을 충분히 인정한다 하더라도, 안중근의 사후 형성되어 오늘날 우리에게 전래된 바로서의 폐쇄적 민족주의 상은 안중근과는 거리가 멀었다. 그는 국가와 민족의 벽을 초월하는 열린 민족주의의 자세를 죽을 때까지 잃지 않았다. 이러한 열린 민족주의는 그의 동아시아 상과 밀접한 관련을 가지고 있었다. 그는 이 시기 아시아주의와 인종주의 일반의 일정한 부정적 속성들을 반영하는 시대적 제약에 의해 구속되면서도 동시에 그것을 비판하고 극복하는 동아시아 인식과 동양평화론을 발전시킬 수 있었다.

keywords
안중근, 민족주의, 동양평화론, 아시아주의, 동아시아, 세계평화, AhnJung-Keun, nationalism, theory of Eastern Peace, Asianism, East Asia, World Peace


참고문헌

1

강동국, 「동아시아의 관점에서 본 안중근의 동양평화론」. 안중근의사기념사회업회 편, 안중근과 그 시대 ‒ 안중근 의거 100주년 기념연구논문집1 , 경인문화사, 2009, 399-439쪽.

2

국가보훈처·광복회, 「청취서」. 21세기와 동양평화론 , 1996, 51-71쪽.

3

김경일, 「아시아연대의 역사적 교훈: 아시아민족회의와 아시아연맹의 사례」. 정신문화 연구 제96호(제27권 제3호), 2004, 211-247쪽.

4

김경일·강창일. 「동아시아에서 아시아주의: 1870-1945년의 일본을 중심으로」. 역사 연구 제8호, 2000, 269-332쪽.

5

김민환, 「동양3국공영론」. 개화기 민족지의 사회사상 , 나남, 1988, 64-78쪽.

6

김삼웅, 안중근 평전 . 시대의 창, 2009.

7

김영호, 「동북아 중심국가론의 기대와 우려 ‒동북아개발은행과 동북아판 신마셜 플랜을 촉구하며」. 시민과 세계 제3호, 참여사회연구소, 2003, 259-273쪽.

8

김윤희, 「대한제국기 서울지역 금융시장의 변동과 상업 발전 ‒대한천일은행 및 대자본가의 활동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대학원 사학과 박사학위논문, 2002.

9

김현철 「개화기 한국인의 대외인식과 ‘동양평화구상’」. 평화연구 11, 2002, 5-34쪽.

10

림종상, 안중근, 이등박문을 쏘다 . 자음과 모음, 2006.

11

박영재, 「근대 일본의 한국 인식」. 역사학회 편, 일본의 침략정책사 연구 , 일조각, 1984, 81-111쪽.

12

박은식, 한국통사 . 상해: 대동편집국, 1915.

13

백영서, 동아시아의 귀환 ‒ 중국의 근대성을 묻는다 . 창작과 비평사, 2000.

14

신운용, 「안중근 의거의 사상적 배경」. 안중근의사기념사회업회 편, 안중근과 그 시대 ‒ 안중근 의거 100주년 기념연구논문집1 , 경인문화사, 2009, 233-282쪽.

15

신운용, 「안중근의 동양평화론 연구와 실천을 위한 방안」. 안중근의사기념사회업회 편, 안중근과 그 시대 ‒안중근 의거 100주년 기념연구논문집1 , 경인문화사, 2009, 497-510쪽.

16

신운용, 「안중근의 ‘동양평화론’과 이등박문의 ‘극동평화론’」. 안중근의사기념사회업회 편, 안중근과 그 시대 ‒안중근 의거 100주년 기념연구논문집1 , 경인문화사, 2009, 511-556쪽.

17

신채호, 「동양주의에 대한 비평」.《대한매일신보》1909년 8월 8일 및 10일자, 최원식·백영서 편, 동아시아인의 ‘동양’ 인식: 19-20세기 , 문학과 지성사, 1997, 216-220쪽.

18

안경수, 「일청한동맹론」. 일본인 제121호, 23-25쪽 및 123호, 23-26쪽, 1900.

19

안중근, 「동양평화론」. 최원식·백영서 편, 동아시아인의 ‘동양’ 인식: 19-20세기 , 문학과 지성사, 1997, 205-215쪽.

20

嚴安生, 日本留學精神史‒近代中國知識人の軌跡 . 岩波書店, 1991(옌안성 저, 한영혜 역, 신산을 찾아 동쪽으로 향하네 ‒근대 중국 지식인의 일본 유학 , 일조각, 2005).

21

윤경로, 「사상가 안중근의 생애와 활동」. 한국 근대사의 기독교사적 이해 , 역민사, 1992, 291-338쪽.

22

윤병석, 「안중근 의사의 하얼빈 의거와 ‘동양평화론’」. 안중근의사기념사회업회 편, 안중근과 그 시대 ‒ 안중근 의거 100주년 기념연구논문집1 , 경인문화사, 2009, 381-398쪽.

23

이광린, 「개화기 한국인의 아시아연대론」. 한국사연구 제61·62집, 1988, 285-299쪽.

24

이기웅 편, 안중근 전쟁 끝나지 않았다 . 열화당, 2000.

25

이승원, 「전장의 시뮬라크르: 박영희의 전선기행 을 중심으로 . 정신문화연구 109호, 2007, 223-249쪽.

26

이인직, 혈의 누(외) . 을유문화사, 1969.

27

조재곤, 「한말 조선 지식인의 동아시아 삼국제휴 인식과 논리」. 역사와 현실 제37호, 2000, 149-174쪽.

28

주요한, 안도산 전 . 삼중당, 1978.

29

최서면, 새로 쓴 안중근 의사 . 집문당, 1994.

30

팔봉, 「대아세아주의와 김옥균 선생」. 조광 1941년 11월호, 64-73쪽.

31

한기형, 「근대 초기 한국인의 동아시아 인식 ‒ 청춘 과 개벽 의 자료를 중심으로」. 대동문화연구 제50집, 2005, 167-198쪽.

32

함동주, 「명치기 아시아주의의 ‘아시아’상」. 일본역사연구 제5집, 1997, 65-86쪽.

33

현광호, 「안중근의 동양평화론과 그 성격」. 아세아연구 제46권 3호, 2003, 155-261쪽.

34

나카노 토무, 동양평화의 사도 안중근 . 하소, 1995(中野泰雄, 日韓關係の原像 , 東京: 亞紀書房, 1984).

35

사이토 다이켄, 이송은 역, 내 마음의 안중근 . 집사재, 2002(齊藤泰彦, わが心の安重根 , 東京: 五月書房, 1994).

36

사키 류조, 이성범 역, 안중근과 이토오 히로부미 . 제이앤씨, 2003(佐木隆三, 伊藤博文と安重根 , 東京: 文藝春秋, 1996).

37

市川正明, 安重根と朝鮮独立運動の源流 . 原書房, 2005.

38

박 보리스, 신운용, 이병조 역, 하얼빈 역의 보복 ‒ 이토 히로부미에 대한 안중근의 총성 . 채륜, 2009(Пак, Б. Д. (Борис Дмитриевич), Возмездие на харбинском вокзале: документально- исторический очерк).

상단으로 이동

한국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