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ticle Detail

Home > Article Detail
  • P-ISSN 2671-8197
  • E-ISSN 2733-936X

Korean Studies Quarterly / Korean Studies Quarterly, (P)2671-8197; (E)2733-936X
2009, v.32 no.4, pp.193-219
https://doi.org/10.25024/ksq.32.4.200912.193
Kim Keong-il
  • Downloaded
  • Viewed


Reference

1

강동국, 「동아시아의 관점에서 본 안중근의 동양평화론」. 안중근의사기념사회업회 편, 안중근과 그 시대 ‒ 안중근 의거 100주년 기념연구논문집1 , 경인문화사, 2009, 399-439쪽.

2

국가보훈처·광복회, 「청취서」. 21세기와 동양평화론 , 1996, 51-71쪽.

3

김경일, 「아시아연대의 역사적 교훈: 아시아민족회의와 아시아연맹의 사례」. 정신문화 연구 제96호(제27권 제3호), 2004, 211-247쪽.

4

김경일·강창일. 「동아시아에서 아시아주의: 1870-1945년의 일본을 중심으로」. 역사 연구 제8호, 2000, 269-332쪽.

5

김민환, 「동양3국공영론」. 개화기 민족지의 사회사상 , 나남, 1988, 64-78쪽.

6

김삼웅, 안중근 평전 . 시대의 창, 2009.

7

김영호, 「동북아 중심국가론의 기대와 우려 ‒동북아개발은행과 동북아판 신마셜 플랜을 촉구하며」. 시민과 세계 제3호, 참여사회연구소, 2003, 259-273쪽.

8

김윤희, 「대한제국기 서울지역 금융시장의 변동과 상업 발전 ‒대한천일은행 및 대자본가의 활동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대학원 사학과 박사학위논문, 2002.

9

김현철 「개화기 한국인의 대외인식과 ‘동양평화구상’」. 평화연구 11, 2002, 5-34쪽.

10

림종상, 안중근, 이등박문을 쏘다 . 자음과 모음, 2006.

11

박영재, 「근대 일본의 한국 인식」. 역사학회 편, 일본의 침략정책사 연구 , 일조각, 1984, 81-111쪽.

12

박은식, 한국통사 . 상해: 대동편집국, 1915.

13

백영서, 동아시아의 귀환 ‒ 중국의 근대성을 묻는다 . 창작과 비평사, 2000.

14

신운용, 「안중근 의거의 사상적 배경」. 안중근의사기념사회업회 편, 안중근과 그 시대 ‒ 안중근 의거 100주년 기념연구논문집1 , 경인문화사, 2009, 233-282쪽.

15

신운용, 「안중근의 동양평화론 연구와 실천을 위한 방안」. 안중근의사기념사회업회 편, 안중근과 그 시대 ‒안중근 의거 100주년 기념연구논문집1 , 경인문화사, 2009, 497-510쪽.

16

신운용, 「안중근의 ‘동양평화론’과 이등박문의 ‘극동평화론’」. 안중근의사기념사회업회 편, 안중근과 그 시대 ‒안중근 의거 100주년 기념연구논문집1 , 경인문화사, 2009, 511-556쪽.

17

신채호, 「동양주의에 대한 비평」.《대한매일신보》1909년 8월 8일 및 10일자, 최원식·백영서 편, 동아시아인의 ‘동양’ 인식: 19-20세기 , 문학과 지성사, 1997, 216-220쪽.

18

안경수, 「일청한동맹론」. 일본인 제121호, 23-25쪽 및 123호, 23-26쪽, 1900.

19

안중근, 「동양평화론」. 최원식·백영서 편, 동아시아인의 ‘동양’ 인식: 19-20세기 , 문학과 지성사, 1997, 205-215쪽.

20

嚴安生, 日本留學精神史‒近代中國知識人の軌跡 . 岩波書店, 1991(옌안성 저, 한영혜 역, 신산을 찾아 동쪽으로 향하네 ‒근대 중국 지식인의 일본 유학 , 일조각, 2005).

21

윤경로, 「사상가 안중근의 생애와 활동」. 한국 근대사의 기독교사적 이해 , 역민사, 1992, 291-338쪽.

22

윤병석, 「안중근 의사의 하얼빈 의거와 ‘동양평화론’」. 안중근의사기념사회업회 편, 안중근과 그 시대 ‒ 안중근 의거 100주년 기념연구논문집1 , 경인문화사, 2009, 381-398쪽.

23

이광린, 「개화기 한국인의 아시아연대론」. 한국사연구 제61·62집, 1988, 285-299쪽.

24

이기웅 편, 안중근 전쟁 끝나지 않았다 . 열화당, 2000.

25

이승원, 「전장의 시뮬라크르: 박영희의 전선기행 을 중심으로 . 정신문화연구 109호, 2007, 223-249쪽.

26

이인직, 혈의 누(외) . 을유문화사, 1969.

27

조재곤, 「한말 조선 지식인의 동아시아 삼국제휴 인식과 논리」. 역사와 현실 제37호, 2000, 149-174쪽.

28

주요한, 안도산 전 . 삼중당, 1978.

29

최서면, 새로 쓴 안중근 의사 . 집문당, 1994.

30

팔봉, 「대아세아주의와 김옥균 선생」. 조광 1941년 11월호, 64-73쪽.

31

한기형, 「근대 초기 한국인의 동아시아 인식 ‒ 청춘 과 개벽 의 자료를 중심으로」. 대동문화연구 제50집, 2005, 167-198쪽.

32

함동주, 「명치기 아시아주의의 ‘아시아’상」. 일본역사연구 제5집, 1997, 65-86쪽.

33

현광호, 「안중근의 동양평화론과 그 성격」. 아세아연구 제46권 3호, 2003, 155-261쪽.

34

나카노 토무, 동양평화의 사도 안중근 . 하소, 1995(中野泰雄, 日韓關係の原像 , 東京: 亞紀書房, 1984).

35

사이토 다이켄, 이송은 역, 내 마음의 안중근 . 집사재, 2002(齊藤泰彦, わが心の安重根 , 東京: 五月書房, 1994).

36

사키 류조, 이성범 역, 안중근과 이토오 히로부미 . 제이앤씨, 2003(佐木隆三, 伊藤博文と安重根 , 東京: 文藝春秋, 1996).

37

市川正明, 安重根と朝鮮独立運動の源流 . 原書房, 2005.

38

박 보리스, 신운용, 이병조 역, 하얼빈 역의 보복 ‒ 이토 히로부미에 대한 안중근의 총성 . 채륜, 2009(Пак, Б. Д. (Борис Дмитриевич), Возмездие на харбинском вокзале: документально- исторический очерк).

  • Downloaded
  • Viewed
  • 0KCI Citations
  • 0WOS Citations

Recommanded Articles

상단으로 이동

Korean Studies Quarter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