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논문 상세

Home > 논문 상세
  • P-ISSN 2671-8197
  • E-ISSN 2733-936X

1960년대 광주 지방의 지역개발담론과 아래로부터 지역주의

한국학 / Korean Studies Quarterly, (P)2671-8197; (E)2733-936X
2009, v.32 no.4, pp.247-279
https://doi.org/10.25024/ksq.32.4.200912.247
김동완 (서울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이 글은 1960년대 광주의 토착 자본과 엘리트들이 상상했던 지역의 공동체를 미시적으로 추적함으로써 국가를 중심으로 논의된 기존의 지역주의 연구를 보완하려는 시도이다. 그 동안의 지역주의 연구는 국가 수준에서 작동하는 요인과 메커니즘을 통해 지역주의에 접근해 온 탓에, 지방 행위자의 행태와 역할을 체계적으로 조명하지 못했다. 이 글에서 다루는 내용은 경계 내부에서 지방행위자들이 지역을 구성하려는 힘과 담론에 관한 이야기이다. 즉 1960년대 광주 지방의 토착자본과 지방 엘리트들이 박정희 정부의 국가 계획에 반응하는 과정에서 호남지역이 어떻게 구성되는지를 물리적, 제도적, 상징적 경계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광주를 중심으로 형성된 영역동맹의 지역주의 담론은 호남을 “근대화의 세례를 받지 못한” 소외지역으로 구성했다. 또한 지역 내/외의 언론과 국가로부터 이러한 상징에 대한 승인과정을 겪게 된다. 본 연구에서 확인한 광주 지방의 “아래로부터 지역주의”는 기존의 국가중심 설명방식을 보완하고, 지역주의 이해에 새로운 틀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keywords
regionalism, regional development, develop-mental state, Gwangju, territorial coalition, 지역주의, 지역개발, 발전국가, 광주, 영역동맹


참고문헌

1

《국회 건설위원회 회의록》.

2

《경향신문》;《동아일보》;《전남매일신문》;《전남일보》;《조선일보》.

3

광주상공회의소, 광주경제 . 창간호, 1956.

4

광주상공회의소, 광주상공회의소40년사 . 전남일보출판국, 1976.

5

광주시사편찬위원회 광주시사 3 . 광주광역시, 1995.

6

금호박인천선생기념사업회, 아직 우리 곁에 남아계십니다: 금호선생 탄신 100주년 추모문집 . 다지리, 2001.

7

김만흠, 「지역주의 문제의 재인식과 당면 정치쟁점」. 한국정치학회 기획학술회의 ‒ 지역패권과 지역갈등, 서울, 한국정치학회, 1997. 12. 4.

8

오원철, 한국형 경제건설(4) . 기아경제연구소, 1996.

9

이상철, 「박정희 시대의 산업정책」. 이병천 편, 개발독재와 박정희 시대: 우리시대의 정치경제적 기원 , 창비, 2003, 111-112쪽.

10

정근식, 「한국사회의 지역지배이데올로기」. 경제와사회 제10권, 1991, 56-81쪽.

11

최영진, 한국 지역주의와 정체성의 정치 . 오름, 1999.

12

허은, 「‘5ㆍ16 군정기’ 재건국민운동의 성격」. 역사문제연구 제11호, 2003, 11-51쪽. 호남지방근대화촉진위원회, 호남의 소외 . 1968.

13

Agnew, J., “The territorial trap: the geographical assumptions of international relations theory”. Review of International Political Economy , Vol .1, 1994, pp. 53-80.

14

Anderson, B., Imagined Communities: Reflections on the Origin and Spread of Nationalism. Rev. ed., London: Verso, 1991, 윤형숙 역, 상상의 공동체: 민족주의의 기원과 전파에 관한 성찰 , 서울: 나남출판, 2002.

15

Cox, K., “Spaces of dependence, spaces of engagement and the politics of scale, or: looking for local politics”. Political Geography , Vol. 17, 1998, pp. 1-23.

16

Hassner, P., “Obstinate and Obsolete: non-territorial transnational forces versus the European territorial state”. in Tunander, O., Baev, P. and Einagel, V. (eds.) Geopolitics in the Post-Wall Europe: Security, Territory and Identy, London: Sage, 1997.

17

Keating, M., The New Regionalism in Western Europe: Territorial Restructuring and Political Change . Edward Elgar, 1998.

18

Paasi, A., Territories, Boundaries and Consciousness. The Changing Geographies of the Finnish-Russia Border . Chichester: Wiley, 1996.

19

Paasi, Anssi, “Territory”. Agnew, J., Mitchell, K. and Toal. G., A Companion to Political Geography , Oxford: Blackwell, 2003, pp. 109-122.

20

Park, Bae-Gyoon, The Territorial Politics of Regulation under State Capitalism: Uneven Regional Development, Regional Parties, and The Politics of Local Economic Development in South Korea , Ohio State University, 2001.

21

Sack, R. D., Human Territoriality. Its Theory and History. Cambredge University Press, 1986.

상단으로 이동

한국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