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논문 상세

Home > 논문 상세
  • P-ISSN 2671-8197
  • E-ISSN 2733-936X

조선시대 釋迦說法圖의 범본 일본 四天王寺 소장 1587년 <석가설법도>

A Norm of the Paintings of Shakyamuni’s Preaching in the Joseon Dynasty

한국학 / Korean Studies Quarterly, (P)2671-8197; (E)2733-936X
2012, v.35 no.2, pp.163-196
https://doi.org/10.25024/ksq.35.2.201206.163
신광희 (동국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Abstract

일본 大阪 四天王寺 소장 釋迦說法圖는 釋迦牟尼와 6位의 菩薩, 十大第子, 帝釋天과 梵天, 四天王과 八部衆으로 구성된 靈山會 형식의 불화이다. 宣祖代인 1587년에 高世寒 등 6인에 의해 발원되었으며 화승 雲門, 雲黙, 그리고 性淳比丘 세 명이 동참하여 그린 것으로 현존하는 조선전기 불화 중 화면의 크기가 가장 큰 작품이다. 세로 325.0cm, 가로 245.5cm의 비단 바탕에 朱와 綠靑을 주조색으로 하고 일부 群靑과 白色, 褐色系 안료, 金泥를 사용하여 그려졌으며 채색의 운용과 세부 표현이 상당히 치밀하고 우수하다. 이 석가설법도는 畵記에 奉安處가 기록되어 있지 않고 畵僧들의 화적이 전혀 알려져 있지 않아 원 제작·봉안처를 명확히 알 수는 없다. 하지만 16세기 후반 불화 중 화기에 봉안처가 기록되어 있는 작품들, 그리고 17세기 불화들과의 화풍 비교를 통해 이 작품이 미약하나마 전라도 혹은 충청도 지역에서 제작·봉안되었을 가능성을 엿볼 수 있었다. 한국의 석가설법도는 현재 고려시대의 사례는 거의 남아 있지 않은 상황이며 조선시대의 작품만이 확인된다. 조선시대에 들어와서도 16세기에 와서 본격적으로 성행하기 시작한 듯한데, 초기에는 佛·菩薩과 弟子들 중심으로 표현되다가 점차 四天王과 八部衆, 그리고 帝釋天과 梵天 등 護法神衆이 추가되면서 좀 더 구체적으로 靈山會의 내용이 도설되는 경향을 보인다. 그중 일본 四天王寺 소장 <석가설법도>는 이전에 그려진 석가설법도의 화면 구성요소를 수용하기는 하였지만 존상의 위계와 성격에 대한 인식이 명확하여 존상의 배치가 좀 더 유기적이면서 합리적이라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그리고 이렇게 일본 四天王寺本에서 확립된 석가설법 도상은 이후 조선후기에 적극적으로 계승되므로 일본 四天王寺本이 조선조 석가설법도 도상의 중요한 範本 역할을 하였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도상 계승 경향은 석가설법도 외에 비슷한 시기에 그려진 타 주제의 불화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이를 통해 조선 불화의 연구에서 16세기 후반 불화가 상당히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다.

keywords
朝鮮時代(the Joseon Dynasty), 朝鮮前期(the first half of the Joseon Dynasty), 釋迦說法圖(the painting of the Shakyamuni’s Preaching), 日本 四天王寺(Sitennoji Temple of Japan), 奉安處(the hall and the region), 圖像(Iconography), 範本(Norm), the Joseon Dynasty, the first half of the Joseon Dynasty, the painting of the Shakyamuni’s Preaching, Sitennoji Temple of Japan, the hall and the region, Iconography, Norm


참고문헌

1

妙法蓮華經 .

2

佛說觀無量壽經 .

3

新增東國輿地勝覽 .

4

韓國의 佛畵 1 40. 성보문화재연구원, 1995 2008.

5

高麗·李朝の佛敎美術展 . 山口縣立美術館, 1997.

6

朝鮮王朝の繪畵と日本 . 読売新聞社, 2008.

7

菊竹淳一·鄭于澤, 高麗時代의 佛畵 . 시공사, 1996.

8

권진영, 「朝鮮時代 後期 靈山會相圖의 硏究」. 홍익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3.

9

김수영, 「朝鮮 16 17세기 釋迦說法圖 硏究」. 동아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8.

10

김정희, 「文定王后의 中興佛事와 16世紀의 王室發願 佛畵」. 미술사학연구 231, 한국미술사학회, 2001.

11

김정희, 「조선후기의 불화 특징과 양식, 그리고 연구과제」. 불교미술사학 5, 불교미술사학회, 2007.

12

`김정희, 찬란한 불교미술의 세계, 불화 . 돌베개, 2009.

13

김창균, 「朝鮮朝 仁祖 肅宗代 佛畵 硏究」. 동국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6.

14

김현정, 「석가여래 설법도상의 연원과 전개」. 상명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4.

15

노명신, 「조선후기 사천왕상에 대한 고찰」. 미술사학연구 202, 한국미술사학회, 1994.

16

문명대, 「조선조 석가불화의 연구 법화경 미술 연구」. 조선조 불화의 연구 삼불회도 , 정신문화연구원, 1985

17

문명대, 「신라 사천왕상의 연구」. 불교미술 5, 동국대학교박물관, 1980.

18

문명대, 「조선조 석가불화의 연구 법화경 미술 연구」. 조선조 불화의 연구 삼불회도 , 정신문화연구원, 1985.

19

문명대, 「항마촉지인석가불 영산회도(靈山會圖)의 대두와 1578년작 운문(雲門)필 영산회도(日本大阪 四天王寺 소장)의 의미」. 講座美術史 37, 한국미술사연구소, 2011.

20

박도화, 「조선 전반기 불교 판화의 연구」. 동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7.

21

박도화, 「봉정사 대웅전 영산회후불벽화」. 한국의 불화 17, 성보문화재연구원, 2000.

22

박은경, 「麻本佛畵의 出現: 周防 國分寺의 <지장시왕도>를 중심으로」. 미술사학연구 199·200, 한국미술사학회, 1993.

23

박은경, 「朝鮮 前期의 기념비적인 四方四佛畵: 일본 寶壽院 소장 <약사삼존도>를 중심으로」. 미술사논단 7, 한국미술연구소, 1998.

24

박은경, 「조선전기 불화의 연구 동향과 과제」. 불교미술사학 5, 통도사성보박물관 불교미술사학회, 2007.

25

박은경, 조선전기 불화 연구 . 시공사, 2008.

26

박은경, 「일본 소재 조선전기 釋迦說法圖 연구」. 석당논총 51, 동아대학교 석당학술원, 2011.

27

박은경·한정호, 「사천왕상 배치형식의 변화 원리와 조선시대 사천왕 명칭」. 미술사논단 30, 한국미술연구소, 2010.

28

박정원, 「조선전기 수륙회도 연구」. 미술사학연구 270, 한국미술사학회, 2011.

29

신광희, 「朝鮮前期 明宗代의 社會變動과 佛畵」. 미술사학 24, 미술사교육학회, 2009.

30

신광희, 「미국 L. A. County Museum of Art 소장 香林寺 <나한도>」. 동악미술사학 11, 동악미술사학회, 2010a.

31

신광희, 「韓國의 羅漢圖 硏究」. 동국대학교대학원 미술사학과 박사학위논문, 2010b.

32

신광희, 「조선전기 민간발원 불화의 일례: 일본 曹源寺 소장 <석가설법도>」. 불교미술사학 13, 통도사성보박물관·불교미술사학회, 2012.

33

신은영, 「조선시대 영산회상탱의 연구」. 경주사학 21, 경주사학회, 2002.

34

유마리·김승희, 불교회화 . 솔, 2004

35

이동은, 「朝鮮時代 熾盛光如來圖 硏究」. 동국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

36

이승희, 「조선후기 신중도 도상 연구」. 홍익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9.

37

이승희, 「고려말 조선초 사천왕도상 연구」. 미술사연구 22, 미술사연구회, 2008.

38

임영애, 「조선시대 사천왕상 존명의 변화」. 미술사학연구 265, 한국미술사학회, 2010.

39

정승연, 「朝鮮時代 三藏菩薩圖 硏究」. 동국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0.

40

정우택, 「조선왕조시대 전기 궁정화풍 불화의 연구」. 미술사학 13, 한국미술사교육학회, 1999.

41

정우택, 「조선시대 석가설법도 일례」. 문화사학 27, 한국문화사학회, 2007.

42

정우택, 「日本 四國地域 朝鮮朝 前期 佛畵 調査 硏究」. 東岳美術史學 9, 東岳美術史學會, 2008.

43

정우택, 「朝鮮前期 金線描 阿彌陀三尊圖 一例」. 미술사연구 22, 미술사연구회, 2008.

44

정우택, 「日本 아이치현[愛知縣] 지역 조선시대 전기 불화의 조사 연구」. 미술사논단 33, 한국미술연구소, 2011.

45

장충식, 「한국 불화 사천왕의 배치형식」. 미술사학연구 211, 한국미술사학회, 1996.

46

한국미술사학회, 朝鮮 前半期美術의 對外交涉 . 예경, 2006.

47

홍윤식, 「靈山會相幀畵와 法華經 信仰」. 한국불교학 3, 한국불교학회, 1977.

48

熊谷宣夫, 「朝鮮佛敎徵」. 朝鮮學報 , 1967.

49

熊谷宣夫, 「九州所在大陸傳來佛畵」. 佛敎藝術 76, 每日新聞社, 1970.

50

熊谷宣夫, 「朝鮮佛畵資料拾遺」. 佛 敎藝術 83, 每日新聞社, 1972.

51

山本泰一, 「文定王后所願の佛畵について」. 金鯱叢書 2, 德川黎明會, 1975.

52

山本泰一, 「新出の年紀銘のある李朝佛畵」. 金鯱叢書 25, 德川黎明會, 1999.

53

山本泰一, 「九州朝鮮佛畵」. 西日本文化 100, 九州大學文學部, 1974.

상단으로 이동

한국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