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논문 상세

Home > 논문 상세
  • P-ISSN 2671-8197
  • E-ISSN 2733-936X

고전소설 속 긍정적 가부장의 형상화를 통해 본 담당층의 인식 차이

A Study on Differing Perception of Charging croup through the Embodiment of Positive Patriarch in the Korean Classical Novel

한국학 / Korean Studies Quarterly, (P)2671-8197; (E)2733-936X
2014, v.37 no.4, pp.191-220
https://doi.org/10.25024/ksq.37.4.201412.191
이지하 (성균관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고전소설 중에서 상층지향적 의식을 강하게 드러내는 가운데 긍정적 가부장상을 형상화하는 대표적 유형으로 국문장편소설과 단편군담소설을 꼽을 수 있다. 이 두 소설 유형은 표면적으로 체제 옹호적 성향을 드러낸다는 공통점을 지니고 있다. 그러나 구체적 가부장상의 형상화를 살펴보면 유의미한 상이점들이 포착되는바 이를 통해 두 소설 유형 담당층의 인식 차이를 가늠할 수 있다. 국문장편소설의 경우 능력과 인품 등 모든 면에서 타의 모범이 되는 이상적 가부장상을 제시하며 집권층 사대부들의 정치적 입장을 구체적으로 드러내는데 이러한 가부장의 형상화 속에는 유교 이념에 대한 강한 신뢰와 자신감이 내포되어 있으며, 지배 이념을 바탕으로 한 기득권의 유지와 확대를 지향하는 의식이 결부되어 있는 것으로 보인다. 그런데 이들이 이념적 차원에서 미화됨으로써 현실성을 결여한 채 추상적으로 그려지기만 하는 것이 아니라 가족관계 속의 자상하고 세심한 인물로 육화되고 있다는 점 역시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이는 유교에 입각한 지배 이념에 대한 경도 이면에 인간의 본성을 긍정하고 현실적 차원의 문제들에 구체적인 관심을 가지고 접근하고자 하는 담당층의 의식을반영하는 것이라 하겠다. 단편군담소설의 경우 가부장의 형상화가 추상적 차원에 머물며 권위있는 가부장상에 어울리는 행위를 보여주지 못함으로써 작품 초반에 제시한 위상과 명실(名實)이 일치하지 않는 모습을 보인다. 또한 가부장들이 유교적 이념이나 체제에 크게 구속받지 않고 때로는 이를 위반하기도 한다. 이는 힘 있는 가부장과 그를 기반으로 한 가문의 번영을 꿈꾸면서도 권위 있는 가부장의 실상을 그려내지 못하고 부분적으로 유교적 가부장제와 이에 기반한 지배체제에 대해 회의적인 시각을 노출하는 담당층의 실존과 인식의 한계 및 특수성을 반영하는 것이다.

keywords
가부장, 유교적 가부장제, 긍정적 가부장상, 국문장편소설, 단편군담소설, 담당층의 인식, patriarch, confucian patriarchy, positive image of patriarch, Korean classical long novel, war novel, recognition of charging group

Abstract

Among the Korean classical novels, there are Korean classical long novel and War novel as the representative type, which expose inclination for the upper level and embody positive patriarch as well. The types of these two novels have the same point showing a tendency to promote the regime. However, we can find meaningful dissimilarities when examine the embodiment of concrete patriarch. Through this we can estimate differing perception of charging group for the types of theses two novels. In the case of Korean classical long novel, the image of ideal patriarch with exemplary ability and personality is presented, and the political position of ruling clique high officials is concretely exposed. In this embodiment of patriarch, strong trust and self‒nconfidence about Confucian ideology are implied, also the consciousness, which intends to maintain and extend vested rights based on ruling ideology, seems to be related. However, we need to pay attention to the point which the ruling clique high officials are not only described abstractly lacking of actuality, which are derived from glamorization in the ideological view, but also embodied as the thoughtful and conscientious character in family relationships. This indicates the reflection of consciousness which charging group is inclined toward the ruling ideology based on Confucianism, on the contrary has positive mind about human nature and tries to approach the practical problems having concrete interest. In the case of War novel, remaining in the abstract level, the embodiment of patriarch doesn’t mach the image of authoritative patriarch. Therefore, real reality of novel does not agree with the name. Also the patriarch sometimes deviates from Confucian system and violates Confucian ideology. This indicates the refraction of the limitation of existence and recognition, particularity, which charging group can not describe the reality of authoritative patriarch, dreaming of prosperity of the family based on powerful patriarch, and is doubtful about Confucian patriarchy and domination based on it.

keywords
가부장, 유교적 가부장제, 긍정적 가부장상, 국문장편소설, 단편군담소설, 담당층의 인식, patriarch, confucian patriarchy, positive image of patriarch, Korean classical long novel, war novel, recognition of charging group


참고문헌

1

김두헌, 한국가족제도연구 . 서울대학교출판부, 1969.

2

김은아, 「전근대 중국의 가족공산제와 가부장의 권능에 관한 고찰」. 한양법학 12, 한양법학회, 2001, 253‒267쪽.

3

김종철, 「19세기 중반기 장편영웅소설의 한 양상 ‒옥수기, 옥루몽, 육미당기를 중심으로」. 한국학보 40, 일지사, 1985, 88‒108쪽.

4

박병호, 「한국의 전통가족과 가장권」. 한국학보 2, 일지사, 1976, 67‒93쪽.

5

박병호, 「한국에 있어서의 가부장제의 형성」. 한일 법학연구 , 한일법학회, 1988, 43‒54쪽.

6

서대석, 군담소설의 구조와 배경 .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1985.

7

설석규, 조선 중기 사림의 도학과 정치철학 . 경북대학교출판부, 2009.

8

송성욱, 「명주기봉에 나타난 규방에 대한 관심」. 고전문학연구 7, 한국고전문학회, 1992, 378‒404쪽.

9

엄태웅, 「<방한림전>에 나타난 가부장의 부재와 재현의 양상」. 우리어문연구 39, 우리어문학회, 2011, 89 ‒117쪽.

10

이광규, 한국가족의 구조분석 . 일지사, 1984.

11

이순형, 「조선시대 가부장제의 유학적 재해석」. 韓國學報 71, 일지사, 1993, 92‒119쪽.

12

이승복, 「<옥환기봉> 연작의 여성 담론과 소설사적 의미」. 고전문학과 교육 12,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2006, 283‒322쪽.

13

이지하, 옥원재합기연 연작 연구 .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1.

14

이지하, 「여성주체적 소설과 모성 이데올로기의 파기」.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10, 한국고전여성문학회, 2004, 137‒168쪽.

15

이지하, 「고전장편소설과 여성의 효의식 ‒<유효공선행록>과 <옥원재합기연>을 중심으로」.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10, 한국고전여성문학회, 2005, 171‒199쪽.

16

임형택, 「17세기 규방소설의 성립과 <창선감의록>」. 동방학지 57,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1988, 103‒176쪽.

17

장시광, 조선시대 동성혼 이야기 방한림전 . 한국학술정보, 2006.

18

장시광, 「<성현공숙렬기>에 나타난 부부갈등의 성격과 여성 독자」. 동양고전연구 27, 동양고전학회, 2007, 7‒37쪽.

19

정병설, 완월회맹연 연구 . 태학사, 1998.

20

정병설, 「조선 후기 정치현실과 장편소설에 나타난 소인의 형상 ‒완월회맹연과 옥원재합기연을 중심으로」. 국문학연구 4, 국문학회, 2000, 231‒259쪽.

21

조혜정, 한국의 남성과 여성 . 문학과 지성사, 1988.

22

최기숙, 「<현씨양웅쌍린기>에 나타난 “부부 관계”와 “결혼 생활”의 상상적 조율과문화적 재배치 ‒ “현경문 ‒주소저” 부부 관련 서사분석 중심으로」. 한국고전여 성문학연구 20, 한국고전여성문학회, 2010, 301‒337쪽.

23

한길연, 「<백계양문선행록>의 작가와 그 주변 ‒전주이씨 가문 여성의 대하소설 창작 가능성을 중심으로」. 고전문학연구 27, 한국고전문학회, 2005, 329 ‒361쪽.

24

한길연, 조선 후기 대하소설의 다층적 세계 . 소명출판, 2009.

상단으로 이동

한국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