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ticle Detail

Home > Article Detail
  • P-ISSN 2671-8197
  • E-ISSN 2733-936X

Current Status of Research and Tasks on Traditional ‘Hyangyak’ Terminology

Korean Studies Quarterly / Korean Studies Quarterly, (P)2671-8197; (E)2733-936X
2014, v.37 no.4, pp.95-136
https://doi.org/10.25024/ksq.37.4.201412.95
Lee Eun-kyu
  • Downloaded
  • Viewed

Abstract

From an angle of lexicology, based on the realization that establishing Hyangyak terminology as a sort of vocabulary system is needed, this paper set a goal on looking back at the studies on Hyangyak terminology that forms clear lexical class, and predicting direction of research in the future. The focus of discussion is to build database on vocabulary of Hyangyak terminology and suggest future research contents. The concept of Hyangyak terminology is not only the native Korean that correspond to Sino terminology. It needs to be reestablished comprehensively as a native Korean or Sino Korean that indicates medicinal ingredients which appear in the prescription and its related text or category. The status of Hyangyak terminology can be founded as subclass of daily word and everyday language according to Korean vocabulary system. Limiting to Korean linguistics, it is within bounds to say that no study so far made an attempt over decoding borrowed Sino characters writing,description of some vocabulary change process, and analyzing morpheme etc. In consequence, lexical systemic approach was not made on Hyangyak Terminology. So lexical analysis was not profoundly, and a description on history of word and lexicon system is still in the beginning step. Also, interdisciplinary study could not be accomplished due to each Hyangyak terminology‒nrelated academic field limited research focus on academic characteristics of each field. In the future studies, constructing Hyangyak terminology database is urgent. This database should be composed of things for ‘future research’ but at the same time, it should reflect ‘past research results.’ In other words, the database should be an information‒oriented DB which includes all Hyangyak terminology data reflecting diachronic change process and word family composition. It also should include all information on individual vocabulary. Based on information‒oriented Hyangyak terminology database, digging documents with Hyangyak terminology, compilation of Hyangyak terminology vocabulary, and cataloging Hyangyak terminology vocabulary should be preceded. Also, precise reexamination of medical book catalog and prescription, morpheme analysis and etymological analysis on individual Hyangyak terminology should be accomplished systematically. Data on another name should be collected and included, too. At the same time, accurate corresponding relation of Sino terminology and Hyangyak terminology should be identified, and collection of dialectic form and Hyangyak terminology vocabulary class system should be reviewed through interdisciplinary study. History of individual word and history lexicon system should be described in this process. Surely, these work are not a task of one particular academic field. It can be accomplished through interdisciplinary study only.

keywords
Hyangyak Terminology, Medical Book, Hyangyak Terminology Database, Diachronic Change of Vocabulary, History of Lexicon System, History of Word, 향약명, 의서, 향약명 어휘 DB, 어휘의 변천, 어휘체계사, 어휘사


Reference

1

강유리, 「 구급간이방언해 와 동의보감 탕액편 의 약재명에 대한 비교」. 공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4.

2

권영배 외, 「 본초정화 ‘인부’에 대한 고찰」. 한국한의학연구원논문집 11‒2, 한국한의학연구원, 2005, 1‒22쪽.

3

김남경, 「 구급간이방언해 의 서지와 어휘 연구」. 대구가톨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0.

4

김남경, 구급방류 언해서의 국어학적 연구 . 대구가톨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5.

5

김동소, 한국어의 역사 . 정림사, 2007.

6

김두종, 한국의학사 . 탐구당, 1979.

7

김두찬, 「차자표기 향명의 통시적 연구‒향약집성방을 중심으로」.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83.

8

김문오, 「 동의보감 탕액편 소재 고유어 어휘의 조어법 연구」. 언어과학연구 18, 언어과학회, 2000, 49‒82쪽.

9

김신근, 한의약서고 . 서울대학교출판부, 1989.

10

김영신, 「 구급방언해 상·하의 어휘 고찰」. 수련어문논집 4, 부산여자대학교, 1976, 133‒164쪽.

11

김원표, 「‘벼[滔]’와 ‘쌀 [米]’의 어원에 대한 고찰」. 한글 104호, 한글학회, 1948, 165‒169쪽.

12

김원표, 「‘누에[蠶]’의 기원과 그 어원고」. 한글 108호, 한글학회, 1949a, 468‒480쪽.

13

김원표, 「‘보리[麥]’의 어원과 그 유래」. 한글 107호, 한글학회, 1949b, 404‒407쪽.

14

김유범, 「 언해태산집요 의 국어학적 특징에 대하여」. 국어사연구 9, 국어사학회, 2009, 173‒210쪽.

15

김종학, 「향약문헌에 나타난 약재명 어휘 연구」.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88.

16

김종학, 「향약 약재명 어휘의 변천고」. 어문논집 22, 중앙대학교 국어국문학과, 1992, 91‒114쪽.

17

김주원, 「구개음화와 과도교정」. 국어학 29, 국어학회, 1997, 33‒49쪽.

18

김홍균, 「 본초정화 의 해제에 관한 의사학적 접근」. 한국의사학회지 24‒2, 한국의사학회, 2011, 25‒55쪽.

19

김홍석, 「 향약채취월령 에 나타난 향약명 연구(상)」. 한어문교육 9, 한국언어문학교육학회, 2001, 87‒107쪽.

20

김홍석, 「 향약채취월령 에 나타난 향약명 연구(중)」. 한어문교육 10, 한국언어문학교육학회, 2002, 93‒115쪽.

21

김홍석, 「 향약채취월령 에 나타난 향약명 연구(하)」. 한어문교육 11, 한국언어문학교육학회, 2003, 133‒151쪽.

22

남광우, 「향약채취월령 해독 고찰」. 국어학논문집 , 일조각, 1962, 411‒424쪽.

23

남성우, 「 창진방촬요 의 동의어 연구」. 국어사연구 13, 국어사학회, 2011, 7‒57쪽.

24

남풍현, 차자표기법 연구 . 단국대학교출판부, 1986.

25

남풍현, 「 향약집성방 의 향명에 대하여」. 진단학보 78, 진단학회, 1999, 171‒194쪽.

26

민은숙, 「향약 명칭의 이두표기와 어형변천 연구」. 대구가톨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82.

27

박지연, 「문헌별 한약 ‘약명’ 사용 양상 연구」. 어문학 113, 한국어문학회, 2011, 25‒71쪽.

28

방종현, 「향약명 연구」. 일사 국어학논집 , 민중서관, 1963, 90‒114쪽.

29

백승창, 물명고 류에 대한 국어학적 연구 . 단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8.

30

성환갑, 「 창진방촬요 의 한자음 연구」. 논문집 25, 중앙대학교, 1981, 233‒261쪽.

31

성환갑 , 「 창진방촬요 의 어휘 연구(Ⅰ)」. 인문학연구 21, 중앙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1994, 3‒32쪽.

32

손병태, 「 우역방 의 이두문 연구」. 한민족어문학 16, 한민족어문학회, 1989, 409‒420쪽.

33

손병태 , 「 촌가구급방 의 향약명 연구」. 한민족어문학 17, 영남어문학회, 1990, 73‒112쪽.

34

손병태 , 「경북 동남방언의 산채류명에 대하여」. 영남어문학 19, 영남어문학회, 1992. 239‒259쪽.

35

손병태 , 「 향약채위월령 의 약재명 어휘에 대하여」. 외골 권재선 박사 화갑논문집 , 간행위원회, 1994.

36

손병태 , 향약 약재명의 국어학적 연구 . 영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6.

37

송창선, 「마경초집언해의 어휘 연구」. 경산어문학 1, 경산대학교 국문과, 1995.

38

신경철, 「물명고의 어휘 고찰」. 한국언어문학 25, 한국언어문학회, 1987, 41‒66쪽.

39

신영일, 향약구급방에 대한 연구‒복원 및 의사학적 고찰 . 경희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5.

40

신전희·신용욱, 향약집성방의 향약본초 . 계명대학교출판부, 2006.

41

신중진, 「 연경재전집 에 실린 <稻벼> 곡물명에 대한 어휘사적 연구」. 동아시아문화연구 52, 한양대학교동아시아 문화연구소, 2012, 83‒118쪽.

42

, 「동아시아 인문학의 계보학‒곡물명 수록 어휘 자료집의 계보와 그 어휘목록 분석을 위한 기초 연구」. 동아시아 문화연구 54, 한양대학교동아시아문화연구소, 2013, 67‒95쪽.

43

, 「 연경재전집 에 실린 잡곡명에 대한 어휘체계사 연구」. 동아시아문화연구 56, 한양대학교동아시아문화연구소, 2014, 101‒134쪽.

44

안대현, 「 창진방촬요 의 서지와 언어」. 국어사연구 7, 국어사학회, 2007, 71‒105쪽. 안덕균, 향약채취월령 . 세종대왕기념사업회, 1983.

45

안덕균, 향약채취월령 . 세종대왕기념사업회, 1983.

46

안병희, 「양잠경험촬요와 우역방의 이두의 연구」. 동양학 7,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소, 1977, 3‒22쪽.

47

안병희 , 「 촌가구급방 의 향명에 대하여」. 언어학 3, 한국언어학회, 1978, 191‒199쪽.

48

여찬영, 「우리말 동물 명칭어에 대하여」. 국문학연구 13, 대구가톨릭대학교, 1990, 1‒28쪽.

49

여찬영 , 「식물 명칭어 연구」. 한국전통문화연구 7, 대구가톨릭대학교 한국전통문화연구소, 1991, 11‒33쪽.

50

연규동, 근대국어 어휘집 .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6.

51

옥영정, 「 重修政和經史證類備用本草 의 조선간본과 그 배경」. 서지학보 40, 한국서지학회, 2012, 175‒196쪽.

52

원순옥, 「 구급방언해 의 어휘 연구」. 대구가톨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6.

53

유재영, 「이름 표기의 고찰‒ 구급간이방언해 를 중심으로」. 선오당 김형기 선생팔질 기념 국어학논총 , 창학사, 1985, 293‒310쪽.

54

유재영 , 「물명의 한 연구 ‒ 동의보감 탕액편을 중심으로」. 국어국문학연구 12, 원광대학교출판부, 1987, 1‒45쪽.

55

윤장규, 향약채취월령 의 국어학적 연구: 차자표기음과 한·중 한자음의 비교를중심으로 . 성균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4.

56

윤혜정, 「 언해구급방 의 어휘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6.

57

이경미, 「남북한 한의학 전문용어 비교‒국역 향약집성방 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2.

58

이기문, 「13세기 중엽의 국어 자료」. 동아문화 1, 서울대학교 동아문화연구소, 1963.

59

이기문, 국어 어휘사 연구 . 동아출판사, 1991.

60

이덕봉, 「향약구급방의 방중향약목 연구」. 아세아연구 6‒1, 고려대학교 아세아문제연구소, 1963, 339‒364쪽.

61

이덕봉, 「향약구급방의 방중향약목 연구(완)」. 아세아연구 6‒2, 고려대학교 아세아문제연구소, 1963, 169‒217쪽.

62

이덕호 외, 「 본초정화 초부 향약명에 관한 연구」. 한국한의학연구원논문집 11‒1, 한국한의학연구원, 2005, 1‒18쪽.

63

이병근, 어휘사 . 태학사, 2004.

64

이유기, 「마경초집언해의 어휘 연구(1)」. 한국어문학연구 43, 한국어문학연구학회, 2004.

65

이은규, 향약구급방 의 국어학적 연구 . 대구가톨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3.

66

, 「향약명 차자표기 해독상의 몇 문제」. 국어교육연구 26, 국어교육연구회, 1994a, 133‒157쪽.

67

, 「 촌가구급방 이본의 차자표기 비교 연구」. 한국전통문화연구 9, 대구가톨릭대학교 한국전통문화연구소, 1994b, 91‒128쪽.

68

, 「 향약구급방 차자표기 용자례」. 소곡 남풍현 선생 회갑기념논총 , 태학사, 1995, 333‒384쪽.

69

, 「향약명 차자표기의 통시적 연구(1)」. 어문학 57, 한국어문학회, 1996, 257‒279쪽. , 「소창문고본 우역방 에 대하여」. 국어교육연구 36, 국어교육학회, 2004, 171‒190쪽.

70

「소창문고본 우역방 에 대하여」. 국어교육연구 36, 국어교육학회, 2004, 171‒190쪽.

71

, 「향약명 어휘의 변천 연구」. 국어교육연구 45, 국어교육학회, 2009, 475‒520쪽.

72

, 「구급방류 의서의 병명 번역 양상」. 한국말글학 27, 한국말글학회, 2010a, 77‒119쪽.

73

, 「필사본 두역신방 의 국어학적 연구」. 언어과학연구 55, 언어과학회, 2010b, 191‒216쪽.

74

, 「 구급신방 의 어휘 분석」. 한국말글학 28, 한국말글학회, 2011a, 169‒227쪽.

75

, 「 백병구급신방 의 어휘 연구」. 민족문화논총 49,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2011b, 253‒278쪽.

76

이철용, 「온역에 관한 의서의 국어학적 연구」. 한국언어문화 9, 한국언어문화학회, 1991, 127‒160쪽.

77

, 의약서 어휘의 국어사적 연구 . 한양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2a.

78

, 「동의보감 이본들에 대한 국어학적 고찰」. 동아시아문화연구 20, 한양대학교 한국학연구소, 1992b, 5‒39쪽.

79

임지룡, 「국어 분류어휘집의 체제와 상관성」. 국어학 19, 국어학회, 1989, 395‒425쪽.

80

장영길, 「동국대 경주도서관본 《언해두창집요》에 대하여」. 『불교어문논집』 9, 한국불교어문학회, 2004, 121‒137쪽.

81

장영길, 「《언해두창집요》의 희귀어 고찰」. 『어문학』 87, 한국어문학회, 2005, 235‒252쪽.

82

정우영, 「 신선태을자금단 의 국어학적 연구」. 한국어문학연구 28, 동악어문학회, 1993, 67‒104쪽.

83

정태현 외, 조선식물향명집 . 조선박물연구회, 1937.

84

정혜린, 「 벽온신방 에 대한 국어학적 고찰」. 관악어문연구 34, 서울대학교국문과, 2009, 231‒256쪽.

85

조성오, 「향약채취월령의 차자표기체계 연구」.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83.

86

채인숙, 「17세기 의서 언해의 국어학적 고찰」.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86.

87

최미현, 「 언해태산집요 에 반영된 한자음의 변화 양상에 대하여」. 새얼어문논집 19, 새얼어문학회, 2007, 127‒145쪽.

88

, 「 구급간이방 에 반영된 한자음의 변화 양상」. 우리말연구 22, 우리말학회, 2008, 83‒108쪽.

89

, 「 동의보감 탕액편에 반영된 한자음 연구」. 한말연구 24, 한말연구학회, 2009, 267‒286쪽.

90

최범훈, 「고려시대 차자법 연구 ‒ 향약구급방 을 중심으로」. 한국학논고 , 통문관, 1976a, 329‒344쪽.

91

, 「고려시대 차자법 연구(2)‒ 향약구급방 을 중심으로」. 연민 이가원 박사송수기념 논총 , 범학도서, 1976b, 367‒382쪽.

92

, 「고려시대 차자법 연구(3)‒ 향약구급방 을 중심으로」. 성봉 김성배 박사회갑기념 논문집 , 형설출판사, 1976c, 163‒176쪽.

93

최영순, 「 마경초집언해 연구」. 대구가톨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5.

94

최중호, 「 언해태산집요 의 약재명 한자음 연구」. 한말연구 22, 한말연구학회, 2008, 317‒348쪽.

95

하동호, 「 동의보감 에 보인 국어 어휘고」. 열므나 이응호 박사 회갑기념 논문집 , 논문집 간행위원회, 1987, 119‒149쪽.

96

허재영, 「국어 어휘 분류체계의 역사적 흐름」. 겨레어문학 48, 겨레어문학회, 2012, 431‒460쪽.

97

현평효, 「‘나물’ 어사에 대한 어원적 고찰」. 제주도 37, 1968, 180‒189쪽.

98

, 「제주도 방언에서의 ‘나무’와 ‘나물’ 어사에 대하여」. 국어국문학 논문집 7·8, 동국대학교 국어국문학과, 1969, 19‒35쪽.

99

홍순탁, 「 향약구급방 어사고」. 호남문화연구 2, 전남대학교, 1964, 61‒73쪽.

100

, 「혜암심서 방약합편색인」. 한국언어문학 3, 한국언어문학회, 1965, 143‒154쪽.

101

홍윤표, 근대국어 연구(1) 」. 1984, 태학사.

102

, 「국어 어휘 문헌자료에 대하여」. 소당 천시권 박사 화갑기념 국어학논총 , 간행위원회, 1985, 747‒773쪽.

103

, 국어사 문헌자료 연구 . 1993, 태학사. , 살아 있는 우리말의 역사 ‒ 어떻게 다르고 언제부터 생긴 말일까 . 태학사, 2009.

104

살아 있는 우리말의 역사 ‒ 어떻게 다르고 언제부터 생긴 말일까 . 태학사, 2009.

105

, 「 치종비방부언해(治腫秘方附諺解) 해제」. 한국어연구 9, 한국어연구회, 2012, 181‒193쪽.

106

, 「 물명고 에 대한 고찰」. 진단학보 118, 진단학회, 2013, 167‒211쪽.

107

, 「국어 어휘사 연구 방법」. 2013년 겨울 구결학회·국어사학회 공동 전국학술대회 , 구결학회·국어사학회, 2014, 9‒36쪽.

108

황선엽, 「‘명아주’(藜)의 어휘사」. 국어학 55, 국어학회, 2006, 213‒238쪽.

109

, 「금단의 꽃 양귀비」. 문헌과 해석 43, 문헌과해석사, 2008.

110

, 「“강아지풀(莠)”의 어휘사」. 한국어학 45, 한국어학회, 2009, 421‒446쪽.

111

橘井淸五郞, 「韓板 鄕藥救急方」. 서지학 6‒6, 東京: 汲古書院, 1936, 210‒219쪽

112

三木榮, 朝鮮醫書誌 . 학술도서간행회, 1956.

113

森爲三, 朝鮮植物名彙 . 조선총독부학무국, 1922.

114

小倉進平, 「本草綱目啓蒙に 引用せられたる 朝鮮動植鑛物名」. 靑丘學叢 10, 1932, 108‒213쪽.

115

, 「‘鄕藥採取月令’及ひ ‘鄕藥集成’に 現はれた 朝鮮語動植鑛物名 解釋 補遺」. 靑丘學叢 14, 1933, 84‒95쪽.

116

王圻, 三才圖會 (영인본). 성문출판사유한공사, 1607.

상단으로 이동

Korean Studies Quarter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