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ticle Detail

Home > Article Detail
  • P-ISSN 2671-8197
  • E-ISSN 2733-936X

A Study on the Adverbials Attached ‘Neun’ to Select Negative Sentences

Korean Studies Quarterly / Korean Studies Quarterly, (P)2671-8197; (E)2733-936X
2017, v.40 no.2, pp.103-128
https://doi.org/10.25024/ksq.40.2.201706.103

  • Downloaded
  • Viewed

Abstract

보조사 ‘는’은 일부 부사에 결합되어 문장에서 부사어로 쓰이면서 부정문을 가려잡는 기능을 한다. 이 글에서는 ‘는’이 결합되기 전의 부사는 긍정문과 부정문에서 수식어로 쓰이지만 ‘는’이 결합되면서 부정문에서만 수식어로 쓰이는 것들을 연구 대상으로 삼았다. 부정문만 가려잡는 ‘는’ 결합형 부사어로는 ‘다시는’과 ‘더는’, ‘일부러는’, ‘다는’, ‘그냥은’이 있고, 부정문을 주로 가려잡는 것으로는 ‘자주는’, ‘많이는’, ‘멀리는’ 등이 있다. 이들은 단지 해당 부사의 기능에 ‘는’이 결합된 것이 아니라 합쳐서 부정문만 가려잡는 새로운 통사적 특성과 의미적 기능을 지닌다. ‘는’ 결합형 ‘다시는’, ‘더는’, ‘그냥은’, ‘일부러는’은 단순 부정문이나 능력 부정문을 가리지 않고 수식어로 쓰이는 부사어에 해당한다. 이들 부사어가 수식어로 쓰이기 위해서는 반드시 부정문이어야 하지만, 부정문을 구성하는 데 필수 요소는 아니다. ‘다는’은 삭제됨으로써 삭제 전과 후의 의미가 크게 달라지므로 문장 구성의 필수 요소이다. ‘자주는’과 ‘많이는’, ‘멀리는’은 주로 부정문을 가려잡아 수식어로 쓰이며, 표면적으로는 부정문이지만 내면적으로는 일부 긍정의 의미를 나타내게 하는 특성을 지닌다. 문장에서 이들 부사어가 삭제되면 삭제 전과 의미와 용법이 달라지므로 문장 구성의 필수 요소이다.

keywords
adverb, adverbial, grammatical category, negation, negative sentence, auxiliary particle, 부사, 부사어, 문법 범주, 부정법, 부정문, 보조조사


Reference

1

고려대학교민족문화연구원 편, 『고려대 한국어대사전』.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09.

2

국립국어연구원 편, 『표준국어대사전』. 두산동아, 2001.

3

금성판, 『국어대사전』. 금성출판사, 1991.

4

김석득, 『우리말 형태론』. 탑출판사, 1992.

5

남기심, 『현대국어 통사론』. 태학사, 2001.

6

박선자, 『한국어 어찌말의 통어의미론』. 세종출판사, 1996.

7

서정수, 『국어문법』. 뿌리깊은나무, 1994.

8

서정수, 『한국어의 부사』. 서울대학교출판부, 2005.

9

손남익, 『국어 부사 연구』. 도서출판 박이정, 1995.

10

신기철·신용철 편, 『새우리말큰사전』. 삼성출판사, 1977.

11

연세대학교 언어정보개발원 편, 『연세한국어사전』. 두산동아, 2001.

12

이희승, 『국어대사전』. 민중서림, 1982.

13

임유종, 『한국어 부사 연구』. 한국문화사, 1999.

14

최현배, 『우리말본』. 정음사, 1971.

15

한글학회 편, 『우리말큰사전』. 어문각, 1992.

16

한길, 『현대 우리말의 형태론』. 역락, 2006.

17

한길, 『우리말 어찌씨의 짜임새 연구』. 역락, 2014.

18

한길, 『우리말의 통사 어찌씨 연구』. 역락, 2016.

19

김경훈, 『현대 국어 부사어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6.

20

김영희, 「셈숱말로서의 정도부사」. 『한글』 190, 한글학회, 1985, 133‒161쪽.

21

김택구, 「우리말 부사어의 통어 기능」. 『두메 박지홍 선생 회갑기념논문집』, 1984, 63‒86쪽.

22

박선자, 『한국어 어찌말 연구』. 부산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83.

23

서상규, 「부사의 통사적 기능과 부정의 해석」. 『한글』 186, 한글학회, 1984, 73‒113쪽.

24

손남익, 「국어 부사의 수식 대상」. 『한국어학』 제4집, 한국어학회, 1996, 47‒66쪽.

25

손남익, 「서법부사와 호응어」. 『인문학보』 제23집, 강릉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1997, 187‒207쪽.

26

손남익, 「국어 상징부사어와 공기어 제약」. 『한국어 의미학』 3, 한국어 의미학회, 1998, 119‒134쪽.

27

손남익, 「국어 부사어와 공기어 제약」. 『한국어학』 제9집, 한국어학회, 1999, 157‒179쪽.

28

한길, 「정도어찌씨에 관한 의미론적 연구」. 『새국어교육』 37·38, 한국국어교육학회, 1983, 372‒391쪽.

29

한길, 「정도부사 ‘훨씬’, ‘가장’, ‘더/덜’의 용법」. 『인문과학연구』 제35집,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2, 184‒205쪽.

30

한길, 「보충어를 요구하는 통사 부사의 용법」. 『인문과학연구』 제39집,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3, 224‒249쪽.

31

한길, 「문장 구성을 제약하는 통사 부사의 용법」. 『국어학과 국어교육학』, 채륜, 2015a. 205‒232쪽.

32

한길, 「부정문을 가려잡는 ‘도’ 결합 부사어 연구」. 『인문과학연구』 제46집,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5b, 147‒171쪽.

33

한길, 「부정문을 가려잡는 필수 부사의 통사적 특성」. 『정신문화연구』 제143호, 한국학중앙연구원, 2016, 153‒178쪽.

34

허웅, 『20세기 우리말의 통어론』. 샘문화사, 1999.

상단으로 이동

Korean Studies Quarter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