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ticle Detail

Home > Article Detail
  • P-ISSN 2671-8197
  • E-ISSN 2733-936X

Settlement Process of Overseas Chinese in the North Korea after Liberation from Japanese Colonial Rule

Korean Studies Quarterly / Korean Studies Quarterly, (P)2671-8197; (E)2733-936X
2019, v.42 no.3, pp.263-296
https://doi.org/10.25024/ksq.42.3.201909.263
Park, Young Sil
  • Downloaded
  • Viewed

Abstract

There were about 60,000 overseas Chinese living in the North Korea right after the liberation from Japanese colonial rule. Moreover, the overseas Chinese in the North Korea thought their mother country was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at the beginning during the Chinese civil war. However, the Soviet army resided in the North Korea and Chinese communist party enhanced its influence on the overseas Chinese because the North Korea was close to the northeastern region of China. In particular, the establishment of the North Korea People’s Committee and organization of the North Korea Overseas Chinese Federation changed the tendency of overseas Chinese. The North Korea Overseas Chinese Federation implemented the ideology education and political propaganda of the North Korean authority to overseas Chinese and requested the North Korean authority to give the same rights as the North Korean to the overseas Chinese. The North Korea Overseas Chinese Federation also asked the North Korean authority to allow the overseas Chinese to participate in economic and social projects implemented in the North Korea by sending the messages to each relevant organization under the North Korea People’s Committee as well as its chairman Kim il‒sung. The North Korean authority also executed the policies under the judgment that overseas Chinese were the members in its community. After all, the overseas Chinese could secure almost the same treatment as the North Korean in the projects executed by the North Korean authority including the field of economic and the field of education.

keywords
북한 화교(overseas Chinese in the North Korea), 북조선인민위원회(the North Korea People’s Committee), 북조선화교연합회(the North Korea Overseas Chinese Federation), 국공내전(Chinese civil war)


Reference

1

국사편찬위원회, 『북한관계사료집』 5. 과천: 국사편찬위원회, 1987.

2

국사편찬위원회, 『북한관계사료집』 30. 과천: 국사편찬위원회, 1988.

3

김광운, 『북한정치사 연구』 1. 서울: 선인, 2003.

4

김동하, 『화교 역사・문화 답사기』 1. 서울: 마인드랩, 2017.

5

김성보, 『남북한 경제구조의 기원과 전개』. 서울: 역사비평사, 1988.

6

김일성, 『김일성전집』 6. 평양: 조선로동당출판사, 1993.

7

김일성종합대학 편, 『국제법 및 해운법 참고서』. 평양: 김일성종합대학, 1985.

8

박영실, 『중국인민지원군과 북・중관계』. 서울: 선인, 2012.

9

박영실, 『8월 종파사건』. 서울: 백년동안, 2015.

10

서동만, 『북조선사회주의체제 성립사 1945‒1961』. 서울: 선인, 2005.

11

이종석, 『조선로동당연구』. 서울: 역사비평사, 1995.

12

이종석, 『북한‒중국관계 1945‒2000』. 서울: 중심, 2001.

13

정설송 엮음, 『(중국인민해방군가의) 작곡가 정률성 1 그의 삶』. 서울: 형상사, 1992.

14

『1947年度 北朝鮮華僑聯合總會 發出公文底』. 국사편찬위원회 소장자료.

15

『中華人民共和國國籍法』. 北京: 法律出版社, 1980.

16

杨昭全・孙玉梅 著, 『朝鲜华侨史』. 北京: 中国华侨出版公司, 1991.

17

楊韻平, 『汪政權與朝鮮華僑(1940‒1945): 東亞秩序之一硏究』. 臺北: 稻鄕出版社, 2007.

18

谭天星・沈立新 撰, 『海外华侨华人文化志』. 上海: 上海人民出版社, 1998.

19

송우창, 「북한의 산업집단화와 북한화교(1954‒1966)」. 송승석・이정희 편저, 『동남아화교와 동북아화교 마주보기』, 서울: 학고당, 2015, 206‒214쪽.

20

이승엽, 「북한화교의 형성과 역할에 관한 연구: 북한화교의 경제․사회적 역할을중심으로」. 『북한의 경제개혁과 통일・평화의 상상력』, 북한연구학회 정치추계학술회의, 2012.

21

李宣和, 「中国侨务政策之研究」. 한국외국어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4.

22

이옥련, 「연변지역의 귀국화교사회와 북한화교사회의 상관관계 및 역사성」. 『한국학연구』 30, 2013, 325‒355쪽.

23

조원일, 「동남아시아 지역 화교 이민사에 관한 소고: 신중국 수립 이후를 중심으로」. 제105차 중국학연구회 학술발표회, 2017. 10.

24

째르치즈스키 표도르(이휘성), 「북한 (華僑)의 사회적 지위에 관한 연구」. 북한대학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4.

25

Tertitskiy Fyodor, 「북한 화교 교육제도의 역사」. 『Journal of North Korea Studies』 3, 2017, 5‒21쪽.

26

Charles Kraus, “Bridging East Asis’s Revolutions: The Overseas Chinese in North Korea, 1945‒1950.” The Journal of Northeast Asian History , Vol. 11, No. 2, 2014, pp. 37‒70.

27

幕德政, 「朝鲜华侨教育的历史回顾」. 『华侨华人历史研究』, 2001年 12月 第4期, pp. 59‒61.

28

孙玉梅, 「朝鲜华侨在抗美援朝战争中的贡献」. 『社会科学战线』, 1992年 1期, pp. 221‒223.

29

王海龙, 「朝鲜华侨的社会变迁」. 『世界知识』, 2012年 7期, pp. 26‒27.

30

朱慧玲, 「东北亚华侨社会的现状及其未来」. 『华侨华人历史研究』, 1997年 1期, pp. 51‒57.

31

丁雪松 口述, 杨德华 整理, 『第一位女大使丁雪松回忆录』. 亦凡公益图书馆(http://www.shuku.net), 검색일: 2018년 9월 5일.

32

《매일신보》, 1938년 1월 5일자.

33

《로동신문》, 1947년 11월 27일자.

34

《로동신문》, 1949년 6월 8일자.

35

《로동신문》, 1949년 10월 4일자.

36

《로동신문》, 1949년 10월 5일자.

37

《로동신문》, 1950년 3월 22일자.

38

《로동신문》, 1951년 4월 28일자.

39

《민주조선》, 1948년 7월 2일자

40

「북조선인민회의 특별회의 회의」. 제1일 1948년 4월 28일.

41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내각결정 제30호, 중국인학교 관리에 관한 결정서 (1949년 3월 11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내각공보 제4호, 1949년 3월 31일』, NARA, RG 242, Captured Korean Documents, Doc No. SA 2007 III:Series.

42

NARA, RG 242, Korean‒Language Publications and Records Captured in Pyongyang, Box. 12.

상단으로 이동

Korean Studies Quarter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