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백만순(서울대학교) ; 홍현주(서울대학교) ; 김우호(서울대학교) ; 이춘택(서울대학교) ; 유철규(서울대학교) ; 한성구(서울대학교) ; 심영수(서울대학교) ; 김영환(서울대학교) ; 홍석균(의학연구원 폐연구소) ; 엄상원(서울대학교) ; 이계영(의학연구원 폐연구소) pp.253-264
초록보기
초록

연구 배경 : 세포 주기에 영향을 주는 단백질들의 발현이 암의 발생, 진행, 치료 반응 및 생존에 중요하게 관련되어 있다는 보고가 있다. 세포 분열을 촉진하는 CDK4와 이를 억제하는 p27의 발현 정도가 예후와 관련이 있다는 보고가 있고, 최근 새롭게 암억제 유전자로 밝혀진 uteroglobin과 세포 주기와의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생각되며, 이의 발현 여부와 예후와의 관련성에 대한 보고는 아직 없는 실정이다. 그래서 세포 주기와 관련된 단백질의 발현 정도가 비소세포암의 임상 지표와 생존율과의 관련성을 알아 보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방 법 :수술적 절제를 시행한 110예의 비소세포암 조직을 formalin-fixed, paraffin-embedded tissue 4μm section에서 avidin-biotinylated hooseradish pero xidase complex를 이용한 immuno-peroxidase를 이용한 면역조직화학 염색을 시행하였다. 발현 정도는 양성 염색부위의 면적과 염색 강도에 따라 0:none, 1:weak, 2: moderate, 3:strong로 구분하여 점수로 판정하였다. 염색의 정도에 따라 0,1을 음성군으로, 2와 3을 양성군으로 나누었다. 단백질 각각의 발현과 여러 가지 임상적, 조직학적 지표들과 연관성은 chi-square test를 이용하여 비교하였다. 생존율은 Kaplan-Meier 방법을 이용하였다.

Abstract

Immunohistochemical Analysis for the Expression of p27, CDK4,and Uteroglobin in Resected Non-small Cell Lung Cancer

육동승(고신대학교) ; 박종욱(계명대학교) ; 전창호(대구가톨릭대학교) ; 장태원(고신대학교) ; 정만홍(고신대학교) ; 신호식(고신대학교) ; 최바울(고신대학교) ; 김지혜(고신대학교) ; 신성훈(고신대학교) ; 옥철호(고신대학교) ; 조현명(고신대학교) pp.265-274
초록보기
초록

배 경 :종양 특이 항원인 MAGE 유전자는 여러 종류의 암조직에서 발현되지만 정상조직에서는 고환의 생식 세포를 제외하고는 발현이 없다. 본 연구에서는 MAGE 유전자의 암 특이적 발현을 폐암의 진단에 활용할 수 있는지를 유도객담을 이용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방 법 :조직학적으로 폐암으로 진단된 환자 30명, 대조군으로 기타 폐질환 환자 14명에서 얻은 유도객담을 3cc의 보존제(guanidinium isothiocyanate, Triton X-100)와 잘 섞어 냉장보관 후 당일 MAGE A 1 -6를 동시에 발견할 수 있도록 고안된 2종류의 primer(MAGE common primer C1/C2, C3/C4)를 이용하여 nested PT PCR를 실시하여 MAGE 유전자의 발현 유무를 조사하였다.

Abstract

Expression of MAGE in the Induced Sputumof Lung Cancer Patients

김도형(단국대학교) ; 박재석(단국대학교) ; 지영구(단국대학교) ; 배강우(단국대학교) ; 용화심(단국대학교) ; 최은경(단국대학교) ; 김윤섭(단국대학교) ; 이계영(단국대학교) pp.275-284
초록보기
초록

연구배경: Gemcitabine은 폐암에서 임상적 유용성이 큰 새로운 항암제이다. 저자들은 폐암세포에서 Gemcita bine에 의한 세포 사멸과 p53의 역할을 규명하고자 하였다.방 법 : 폐암 세포주로 A549와 H358 세포주를 이용하였고 세포 독성 검사는 MTT assay를 이용하였으며 Gemcitabine 농도는 10nM, 100nM, 1uM, 10uM, 100uM을 사용하였다. 세포 주기 검사는 FACScan을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p53 활성화 여부는 western blot을 사용하였다. p53 단백질 분해를 촉진시키는 안정적 세포주 A549-E6과 H358-E6을 제조하고 대조 세포주 A549-neo와 H358-neo 세포주와 비교하여 p53의 기능적 knock-out 실험을 시행하였다. p53의 기능적 knock-out은 p53 유도 약제인 doxorubicine 1 M을 사용하여 western blot으로 확인하였다.

Abstract

Gemcitabine-induced Cell Death in Lung Cancer Cells : the Role of p53

김도훈(연세대학교) ; 정재호(연세대학교) ; 박무석(연세대학교) ; 김세규(연세대학교) ; 장준(연세대학교) ; 김성규(연세대학교) ; 김영삼(연세대학교) ; 정재희(연세대학교) pp.285-293
초록보기
초록

배 경 : 폐는 악성 종양이 흔히 전이되는 장소로 흔히 폐실질, 흉막, 혹은 임파선으로 주로 전이되며, 기관지내 전이는 흔하지 않아 악성 종양의 기관지내 발생율은 2%정도로 알려져 있다. 저자들은 굴곡성 기관지경 검사로 확인된 증례들을 대상으로 기관지내 전이암에 대한 임상적 특징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Abstract

류연주(이화여자대학교) ; 김수현(이화여자대학교) ; 천선희(이화여자대학교) ; 서주영(이화여자대학교) ; 유금혜(이화여자대학교) ; 이종수(이화여자대학교) pp.294-309
초록보기
초록

연구배경 :결핵은 세포 매개성 면역반응이 병태생리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감염성 질환이다. 결핵균 항원으로 T 림프구가 활성화되면 여러 종류의 cytokine을 분비하며 T 림프구의 분화와 증식, 대식세포의 활성화를 촉진한다. 본 연구에서는 결핵의 중증도, 숙주의 면역상태 및 예후를 반영하는 지표로서 활성화된 T 림프구에서 만들어지는 IL-2의 수용성 수용체인 sIL-2R와 IFN- 를 측정하였고 활성화된 대식세포에서 분비되는 neopterin을 측정하여 임상적 유용성을 판정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활동성 폐결핵 환자 39명, 결핵성 림프절염 환자 6명의 치료전과 정상 대조군 10명에서 혈청 sIL- 2R, neopterin, IFN- 를 측정하였고, 결핵성 흉막염 환자 22명에서 치료전 혈청과 흉막액에서 각각 sIL-2R, ADA, neopterin을 측정하였다. 폐결핵 환자 39명을 ATS guidelines에 따라 중증도를 분류하였고, 사망한 1명과 결핵요양소로 전원된 2명을 제외한 36명에서 초치료 2개월 후 혈청 sIL-2R, neopterin과 IFN- 를 측정하였다.

Abstract

Soluble IL-2R, IFN- and Neopterin as Immunologic Markers in Patients with Tuberculosis

박용범(울산대학교) ; 고윤석(울산대학교) ; 김우성(울산대학교) ; 김동순(울산대학교) ; 심태선(울산대학교) ; 임채만(울산대학교) ; 이상도(울산대학교) ; 김원동(울산대학교) ; 강길현(울산대학교) ; M.Kitaichi(교토대학교) pp.309-318
초록보기
초록

연구배경 :통상성 간질성 폐렴(UIP)은 일반적으로 생존기간 중앙값이 약 3년이하로 보고되는 치명적인 질환이나 환자들간에 예후에 차이가 많다. UIP의 조직학적 소견은 늑막 직하부의 국소적(patchy) 섬유화병변으로 여러 시기의 섬유화 병변이 같이 공존하는 것이 특징이다. 섬유모세포 병소(fibroblastic foci: FBF)는 활발히 증식하는 근-섬유모세포들이 모여있는 급성 폐병소 부위로서 UIP의 활동성 및 예후를 반영할 가능성이 많으나 UIP의 예후인자로서 FBF의 유용성에 관해서는 서로 상반된 결과가 보고되어 논란이 많다. 이에 저자들은 UIP에서 FBF의 예후인자로서의 유용성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0년 7월부터 2000년 4월까지 서울중앙병원에서 수술적 폐생검검사로 진단되고 일년이상 경과가 관찰된 UIP환자 46명(연령 59±12, 남:여=33:13)으로 모든 조직표본을 재검토하여 ATS/ERS 분류에 의한 IPF-UIP로 확인된 환자들만을 대상으로 하였다. FBF 정도는 폐생검조직에서 0에서 3 (absent:0, mild:1, moderate:2, severe:3)까지 반정량적인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Abstract

Prognostic Value of Fibroblastic Foci in Patientswith Usual Interstitial Pneumonia

정지헌(경희대학교) ; 강홍모(경희대학교) ; 최천웅(경희대학교) ; 유지홍(경희대학교) ; 성동욱(경희대학교) ; 김장하(경희대학교) ; 이병호(경희대학교) ; 소정은(경희대학교) ; 이승준(경희대학교) pp.319-324
초록보기
초록

저자들은 장기간의 흡연력이 있는 60세 남성흡연자에서, 방사선소견상 다발성의 공동을 지니는 병변을 보여 흉부 전산화 단층촬영과 기관지 내시경을 통해 큰 공동을 형성한 원발성 폐암의 다발성 공동 형성 전이로 확진한 1예를 경험하였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였다.

Abstract

A Case of Cavitary Pulmonary Metastases of Primary Cavitary Lung Cancer

정성현(아주대학교) ; 오윤정(이화여자대학교) ; 황성철(아주대학교) ; 원제환(아주대학교) ; 신승수(아주대학교) ; 박광주(아주대학교) ; 박경주(아주대학교) ; 조혜진(아주대학교) ; 이형노(아주대학교) ; 이형숙(아주대학교) pp.325-331
초록보기
초록

전폐절제술후 증후군은 우측 전폐절제술 후 기도폐쇄가 발생하는 드문 합병증으로 기관지연화증이 동반되는 경우는 수술적인 치료로 교정이 어렵다. 저자 등은 기관지연화증을 동반한 전폐절제술후 증후군 환자를 기관지내 스텐트삽입으로 성공적으로 치료한 경험을 하였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Abstract

A Case of Postpneumonectomy Syndrome Treated with Endobronchial Stent

임재민(울산대학교) ; 고윤석(울산대학교) ; 김정호(울산대학교) ; 정헌녕(울산대학교) ; 김은경(울산대학교) pp.332-337
초록보기
초록

흔히 응급상황에서 이루어지는 기관내삽관의 경우 무균적 조작의 중요성이 간과되어왔다. 특히 발관 후 발생하는 흡기성 천명음이 있을 때 먼저 발관 후 기관부종이나 기관협착을 고려하게 되고 세균성 기관염은 성인에서 보고된 예가 드물므로 간과되기가 쉽다. 그러나 저자들은 스테로이드 사용과 기관내삽관후 발생한 세균성 기관염을 경험하였으며 기관협착에 연관된 여러가지 후유증들을 고려할 때 기관내삽관시 무균적 조작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Abstract

A Case of Bacterial Tracheitis Associated withEndotracheal Intubation and Corticosteroid

정재희(연세대학교) ; 박무석(연세대학교) ; 김영삼(연세대학교) ; 장준(연세대학교) ; 김성규(연세대학교) ; 김세규(연세대학교) ; 김희만(연세대학교) ; 박정탁(연세대학교) ; 정재호(연세대학교) ; 최병욱(폐질환연구소) pp.337-343
초록보기
초록

저자들은 어렸을 때부터 간헐적인 호흡곤란이 있어 기관지 천식으로 치료를 받아온 과거력이 있는 20세 남자에서 군입대 신체검사를 위해 시행한 흉부전산화단층촬영과 굴곡성 기관지내시경 검사상 우연히 발견된 양측성 상대정맥 기형을 동반한 기관성 기관지 1예를 경혐하였기에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Abstract

A Case of Tracheal Bronchus Associated with BilateralSuperior Vena Cava Anomaly

김경묵(서울대학교) ; 송병철(제주대학교) ; 이홍섭(제주대학교) ; 장안수(제주대학교) ; 김선욱(제주대학교) ; 염충호(제주대학교) ; 정주영(제주대학교) ; 황진수(제주대학교) ; 최국명(제주대학교) pp.344-348
초록보기
초록

저자 등은 자리돔 가시를 먹고 흉부통증과 호흡곤란을 호소하여 내원한 환자에서 흉부전산화단층촬영에서 종격동염을 진단하고 보존적 치료에 의해 호전된 급성종격동염 1예를 경험 하였기에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Abstract

A Case of Acute Mediastinitis Associated with Fish Bone withSuccessful Conservative Treatment

김대한(원자력병원) ; 권용주(전북대학교) ; 서요안(원자력병원) ; 김상일(원자력병원) ; 최귀성(원자력병원) ; 손현배(원자력병원) ; 김성호(원자력병원) ; 김철현(원자력병원) ; 이재철(원자력병원) pp.349-353
초록보기
초록

여러 국내외 논문에서 hormone 치료는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었으나 치료 종료 후 객혈이 다시 발생하여 추가적인 수술을 받는 경우가 많았으며, GnRH analogue의 장점에도 불구하고 hormone 치료로 완치된 예는 대부분 danazol에 의한 경우가 많았다.

Abstract

A Case of Catamenial Hemoptysis Treated successfully withGonadotropin-releasing Hormone (GnRH) Analogue

Tuberculosis & Respiratory Diseas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