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박명희(서울대학교) ; 한성구(서울대학교) ; 심영수(서울대학교) ; 송은영(서울대학교) ; 권성연(서울대학교) ; 박혜진(서울대학교) pp.367-377
장승훈(한림대학교) ; 정승현(한림대학교) ; 엄광석(한림대학교) ; 신태림(한림대학교) ; 김철홍(한림대학교) ; 반준우(한림대학교) ; 김동규(한림대학교) ; 박명재(한림대학교) ; 현인규(한림대학교) ; 정기석(한림대학교) pp.378-385
이양근(전북대학교) ; 이양덕(을지대학교) ; 이용철(전북대학교) ; 이흥범(전북대학교) ; 인병현(전북대학교) pp.386-394
초록보기
초록

연구배경 : 만성폐쇄성폐질환과 기관지 천식은 만성 기도 염증과 기류 장애를 특징으로 하고 있으며, 일부에서는 합병되어 나타나기도 한다고 알려져 있으나 그 정도에 대한 연구는 미미한 실정이다. 저자는 두 질환의 병태 생리의 차이와 합병 정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방 법 : 만성폐쇄성폐질환과 기관지 천식의 진단은 미국 흉부학회의 지침서 기준에 의하였고, 대상 환자들에게는 폐기능 검사, 최대호기유속 측정, 속효성 2-항진제에 대한 기관지 반응성, methacholine 유발 반응 검사, 객담내 호산구치 및 ECP, 혈청내 총 IgE치, 알레르기 피부반응 검사 등을 시행하였다.

Abstract

Prevalence of Combined Bronchial Asthma with COPD in Patientswith Moderate to Severe Air flow Limitation

배윤오(을지의과대학교) ; 조용선(을지대학교) ; 한민수(을지대학교) ; 이성규(을지대학교) ; 김진호(한국체육대학교) ; 이양덕(을지대학교) ; 김정념(을지의과대학교) ; 김정식(을지의과대학교) pp.395-402
초록보기
초록

연구배경 :만성폐쇄성폐질환 환자들은 여러 요인들에 의해 골다공증의 발생이 증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골다공증으로 인한 척추골절은 폐기능 및 신체적 활동을 더욱 감소시키고 사망률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연구자들은 극히 제한된 환자들이지만 남자 만성폐쇄성폐질환 환자들의 골다공증 및 골밀도에 관련이 있는 요인들을 알아보기 위해 본 예비연구를 시행하였다.방 법 :2002년 1월부터 8월까지 을지대학병원 호흡기내과에 내원한 남자 만성폐쇄성폐질환 환자 44명을 대상으로 골밀도를 측정하였다. 환자들은 폐기능에 따라 세 군으로 나누어 FEV1 예측치의 65%이상, 예측치의 50-64%, 예측치의 49%이하로 세분하여 나이, 흡연, 음주, 운동, 스테로이드사용 누적량, 신체질량지수, 골밀도 등을 비교하여 보았다.

Abstract

A Pilot Study of Bone Mineral Density in Men with Chronic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김철현(서울대학교) ; 이춘택(서울대학교) ; 김영환(서울대학교) ; 한성구(서울대학교) ; 심영수(서울대학교) ; 유철규(서울대학교) ; 이경희(서울대학교) pp.403-414
초록보기
초록

연구배경 : Proteasome 억제가 세포의 apoptosis에 미치는 영향은 세포 종류에 따라 차이를 보이고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폐암 세포에서 proteasome 억제가 미치는 효과 및 그 기전에 관해서는 확실하게 규명되어 있지 못한 상태이다. 본 연구에서는 폐암 세포주에서 proteasome 억제에 의한 apoptosis의 유도 유무를 관찰하고, 그 기전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방 법 :폐암 세포주인 A549와 NCI-H157 세포에 proteasome 억제제인 MG132와 PS-341을 투여하고 세포의 생존율을 MTT 분석으로 평가하였고, apoptosis 유무를 PARP 단백에 대한 Western 분석으로 확인하였다. Proteasome 억제가 caspase 3와 JNK의 활성화에 미치는 효과를 각각 Western 분석과 immunocomplex kinase 분석으로 평가하였다. Proteasome 억제제를 투여하고 항 apoptosis 경로인 ERK와 cIAP1에 미치는 효과를 Western 분석으로 평가하였다.

Abstract

The mechanism of proteasome inhibitor-induced apoptosis in lung cancer cells

박경화(전남대학교) ; 박경옥(전남대학교) ; 김유일(전남대학교) ; 임성철(전남대학교) ; 김영철(한중대학교) ; 조계중(전남대학교) ; 주진영(전남대학교) ; 손창영(전남대학교) ; 위정욱(전남대학교) ; 김규식(전남대학교) pp.415-428
초록보기
초록

연구배경 :소세포폐암에 대한 항암화학치료에 etoposide와 cisplatin(EP) 또는 etoposide와 carboplatin(EC)이 가장 흔히 사용되는 병합요법인데, 전반적인 관해율은 75-85%(제한기 65-90%), 완전관해율은 20- 30%(제한기 45-75%)로 보고되고 있다. 치료후 재발되는 소세포폐암환자에 대하여 구제(salvage)화학요법제로 topotecan을 사용하였을 때 90일 이내에 재발되는 불응성 재발(refractory relapse, RR)인 경우 관해율이 6.4%인 반면에, 90일 이후에 재발되는 감수성 재발(sensitive relapse, SR)에서는 37.8%의 관해율이 보고되고 있다. 저자는 EC요법과 2차 구제화학요법으로 topotecan요법의 치료효과와 부작용을 조사하여 기존의 성적들과 비교하고자 하였다.대상 및 방법 :1996년부터 2002년 6월까지 전남대병원 내과에서 소세포 폐암으로 치료를 받았던 환자들 중에서 EC요법과 재발되어 topotecan구제 화학요법을 받은 환자를 대상으로 임상경과를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일차치료로서 etoposide 100 mg/m2 (day 1-3), carboplatin 300 mg/m2(day 1)을 3주 이상의 간격을 두고 투여하여, 3주기 이상 화학요법을 받은 경우들을 대상으로 하였고, 이차치료로 topo tecan을 투여한 경우에는 1.5 mg/m2을 제 1일에서 제 5일까지 3주 간격으로 2주기 이상 받은 환자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치료에 대한 반응의 평가는 완전관해(complete remission, CR), 부분관해(par tial remission, PR), 불변(stable disease, SD), 진행(progressive disease, PD)으로 구분하였고 생존기간은 치료시작일로부터 중앙생존기간(median survival time, MST)으로 표기하였다.

Abstract

Clinical Response to Etoposide Plus Carboplatin and TopotecanChemotherapy in Small Cell Lung Cancer

전익수(성균관대학교) ; 서지영(성균관대학교) ; 고원중(성균관대학교) ; 정만표(성균관대학교) ; 김호중(성균관대학교) ; 권오정(성균관대학교) ; 편유장(성균관대학교) ; 강은해(성균관대학교) ; 위미숙(성균관대학교) pp.429-438
초록보기
초록

배 경 :후기 ARDS로 스테로이드를 투여 받은 환자들에서 어느 시점까지의 반응의 유무가 기계환기에서의 이탈 여부를 예측할 수 있는지 시간경과에 따른 생리학적 지표의 변화를 기준으로 살펴보았다.방 법 :1999년 12월부터 2002년 7월까지 내과계 중환자실에서 ARDS로 7일 이상 기계환기치료를 받은 후에도 심한 저산소증(PaO2/FiO2 ratio<200)이 지속되어 스테로이드 치료를 시행하였던 28명(남 : 여 24 : 4, 중앙연령 64세)을 대상으로 후향적 연구를 시행하였다. 스테로이드는 Meduri 등의 방법11을 사용하여 투여하였다. 스테로이드 투여 후 기계환기에서 이탈이 가능하였던 환자들을 이탈군(n=14)으로, 기계환기 중 사망하였거나 이탈에 실패했던 환자들을 실패군(n=14)으로 나누어 기저특성과 기계환기 시작일(Dmv), 스테로이드 투여 3일전(D-3), 투여 당일(D0), 그리고 투여 후 3일(D3), 7일(D7)의 생리학적 지표들을 비교하였다.

Abstract

The Changes of Physiologic Parameters with Time in Steroid treated-Late Acute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Patients

박익수(한양대학교) ; 손장원(한양대학교) ; 윤호주(한양대학교) ; 신동호(한양대학교) ; 박성수(한양대학교) pp.439-448
초록보기
초록

연구배경 :SP는 표면활성물질의 물리적 성상의 결정 및 대사를 결정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SP-B와 SP-C는 배수성 단백이며 공기액체계면에 지질 수포를 결합하게 하여 인지질의 흡착과 표면활성을 증강시킨다. 글루코코르티코이드는 폐의 형태학적 발생을 촉진시키며, 표면활성물질 인지질의 생산을 증가시키고, SP-B와 SP-C의 축적 및 폐탄성을 향상시킨다. 시험관 내 실험을 통하여 관찰한 바에 의하면 글루코코르티코이드를 투여한 후에 SP-B mRNA와 SP-C mRNA가 증가한다. 그러나 동물실험에서 SP-B mRNA와 SP-C mRNA에 대한 스테로이드제의 효과에 관한 보고는 드물다.방 법 :

Abstract

Effect of Dexamethasone on Gene Expression of Surfactant Protein Band Surfactant Protein C

윤호일(서울대학교) ; 이창훈(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이희석(서울대학교) ; 이춘택(서울대학교) ; 김영환(서울대학교) ; 한성구(서울대학교) ; 심영수(서울대학교) ; 유철규(서울대학교) pp.449-458
초록보기
초록

연구배경 : Cyclosporin A(CsA)와 tacrolimus(FK506)은 현재 임상에서 널리 쓰이는 면역억제제이다. CsA와 FK506이 IκB/NF-κB 경로에 미치는 영향에는 세포에 따라 다양한 효과가 알려져 있다. 그러나 CsA와 FK506이 기관지 상피세포에서 IκB/NF-κB 경로에 미치는 효과에 관해서는 알려져 있지 않고, 각종 염증 세포에서의 차이에 관해서도 보고가 미미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비염증세포인 기관지상피세포와, 폐의 염증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염증 세포(폐포대식세포, 단핵구, 림프구)에서 CsA와 FK506이 IκBα의 분해에 미치는 영향과 그 기전을 평가하였다.방 법 : 비염증세포로는 BEAS-2B 와 A549 세포주를 이용하였다. FK506 또는 CsA 전처치 후 TNF-α로 자극하고 anti-IκBα 항체를 이용한 Western blot으로 IκBα의 분해 여부를 관찰하였다. 염증세포로는 폐포대식세포, 말초혈액 단핵구 및 림프구를 이용하였고, 역시 FK506 또는 CsA 전처치 후 TNF-α, IL-1β, LPS로 자극하고 anti-IκBα 항체를 이용한 Western blot으로 IκBα의 분해 여부를 관찰하였다. IKK의 활성도는 GST-IκBα를 기질로 이용한 in vitro immune complex kinase assay로 평가하였다.

Abstract

Effect of FK506 and Cyclosporin A on IκBα Degradationand IKKα Pathway in Bronchial Epithelial Cells, Monocytes, Lymphocytesand Alveolar Macrophages

고원중(성균관대학교) ; 권오정(성균관대학교) ; 서지영(성균관대학교) ; 정만표(성균관대학교) ; 김호중(성균관대학교) ; 배길한(대한결핵협회 결핵연구원) ; 이남용(성균관대학교) ; 이경수(성균관대학교) ; 박은미(대한결핵협회) ; 박영길(대한결핵협회) pp.459-466
초록보기
초록

M. kansasii는 M. avium complex에 이어 NTM 폐질환의 원인균 중 두 번째로 흔하다고 외국에서는 보고되었다. M. kansasii는 M. avium complex와 마찬가지로 과거부터 잘 알려진 상엽공동형의 형태와 함께 기관지확장증에 다발성 결절이 동반된 형태가 새롭게 알려지고 있다. 다른 NTM 폐질환과 달리 M. kansasii 폐질환은 INH, RFP, EMB 등 항결핵제에 치료반응이 매우 좋기 때문에 정확한 진단과 함께 적절한 약제와 치료기간의 선택이 중요하다. 국내에서는 임상검체에서 M. kansasii가 분리되는 빈도가 매우 낮으며, 아직까지 정상면역을 가진 성인에서 M. kansasii 폐질환으로 진단된 증례가 보고되지 않았다. 저자들은 1997년 미국흉부학회의 NTM 폐질환 진단기준에 따라 M. kansasii 폐질환을 진단하고 치료한 3명의 환자를 경험하여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

Abstract

A Case Report of Three Patients with Nontuberculous MycobacterialPulmonary Disease Caused by Mycobacterium kansasii

Tuberculosis & Respiratory Diseas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