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임재준(서울대학교) ; 한성구(서울대학교) pp.431-437
고원중(성균관대학교) ; 권오정(성균관대학교) pp.438-451
이재승(울산대학교) ; 지현숙(울산대학교) ; 홍상범(울산대학교) ; 오연목(울산대학교) ; 임채만(울산대학교) ; 이상도(울산대학교) ; 고윤석(울산대학교) ; 김우성(울산대학교) ; 김동순(울산대학교) ; 김원동(울산대학교) ; 심태선(울산대학교) pp.452-458
초록보기
초록

Abstract

Background : In Korea,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test for M. tuberculosis has been used for the diagnosis of acid-fast bacilli (AFB) smear-negative tuberculosis in order to increase diagnostic sensitivity. However, there have been no data dealing with the clinical utility of PCR in AFB smear-positive patients to differentiate between M. tuberculosis and nontuberculous mycobacteria. Method : We retrospectively analyzed the PCR test results which have been performed in patients who had AFB smear-positive sputum but had ambiguous clinical manifestations of active tuberculosis. PCR test was done using AMPLICOR M. tuberculosis kit. The sensitivity, specificity, and positive and negative predictive values of the PCR test were calculated based on culture and final clinical diagnosis result.Results : Fifty-six consecutive patients (62 PCR tests) were included in the study. Active tuberculosis was diagnosed in 23 patients (41.0%), while 9 patients had NTM infection (16.0%). The sensitivity, specificity, positive- and negative-predictive value of PCR test were 88.8%, 86.8%, 76.1% and 94.3%, respectively, according to the culture result. In comparison, they were 91.3%, 100%, 100%, 94.3%, respectively, according to the final clinical diagnosis. All 15 patients with NTM isolates, including 6 patients who had other lung diseases but expectorated NTM isolate, were negative for PCR test. Conclusion : Even though tuberculosis is still prevalent in Korea, PCR test is useful to differentiate between M. tuberculosis and NTM in patients with AFB-smear positive sputum but with ambiguous clinical manifestations of active tuberculosis. (Tuberc Respir Dis 2005; 58: 452-458)

문진욱(연세대학교) ; 박무석(연세대학교) ; 김세규(연세대학교) ; 황혜진(연세대학교) ; 김영삼(연세대학교) ; 장준(연세대학교) ; 김성규(연세대학교) ; 한창훈(연세대학교) ; 강신명(연세대학교) ; 황상연(연세대학교) ; 변민광(연세대학교) ; 정우영(연세대학교) pp.459-464
초록보기
초록

연구 배경 : Adenosine deaminase (ADA)는 퓨린 (purine) 대사에 작용하는 효소로서 림프구, 특히 T-림프구의 증식과 분화에 관여하며, 결핵성 흉수의 진단에 있어서 중요한 생화학적 표지자 중의 하나이다. 한편, 노인의 경우, T-림프구의 수와 기능의 감소에 의하여 면역 기능이 감소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저자 등은 노인 결핵성 흉수 환자에서 흉수 내의 ADA 수치가 젊은 환자에서보다 감소하는지를 조사하였다. 방 법 : 4년 동안 세브란스 병원에서 1) 흉수 결핵균 배양 양성 또는 2) 흉막 조직 검사상 결핵에 합당한 소견을 보여 결핵성 흉수로 진단받은 환자 80명을 대상으로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65세를 기준으로 두 군으로 분류하였으며, 연령과 흉수 ADA 수치의 연관 관계를 독립 표본 t-검정 및 선형 회귀 분석을 이용하여 연구하였다.결 과 : 80명의 환자 중 65세 이상은 21명 (26.3%)이었다. 흉수 내의 ADA 수치는 65세 이상 및 이하 군에서 각각 71.2 ± 27.6 IU/L, 68.5 ± 25.8 IU/L 이었다 (p=0.69). 선형 회귀 분석에서도 연령과 흉수 내의 ADA 수치는 상관 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r²=0.05, p=0.59).

Abstract

강현모(충남대학교) ; 권선중(침례신학대학교) ; 정성수(충남대학교) ; 김주옥(충남대학교) ; 김선영(충남대학교) ; 이정은(충남대학교) ; 장필순(충남대학교) ; 이연선(충남대학교) ; 안진영(충남대학교) pp.465-472
초록보기
초록

Abstract

Background : The survival benefit associated with first-line chemotherapy in lung cancer has led to the need for second-line chemotherapy, for which Docetaxel (Taxotere??) has proven efficacy in both settings. This study evaluated the safety and efficacy of docetaxel in patients with non-small cell lung cancer who had failed first-line platinum- based chemotherapy. Methods : Thirty one patients with non-small-cell lung cancer, who had failed first-line platinum-based chemotherapy, between March 1999 and August 2003, were enrolled in this study. Patients received intravenous docetaxel, either 75 mg/m2 or 100 mg/m2, with routine premedication every three weeks. Results : Fourteen patients (45.2%) had a partial response. The median survival and progression-free survival times were 12.5 months (95% CI 7.3-17.6) and 3.0 months (95% CI 1.6-4.5), respectively. This study showed 2 factors gave different survival benefits; the age (< 60 years: 20.1 months vs. ≥ 60 years: 6.6 months, p = 0.0105) and the histological type (adenocarcinoma: 25.6 months vs. others: 7.9 months, p=0.0055). The predominant toxicity was neutropenia, which occurred as WHO grade 3 or 4 in 38.7 % of patients. One treatment-related death was also reported. Non-hematological toxicity was minor and easily controlled. There were no significant statistical differences in the survival benefit and toxicity between the two doses.Conclusion : Docetaxel, as second-line monotherapy, was well tolerated and effective in patients with non-small- cell lung cancer who failed first-line platinum-based chemotherapy. (Tuberc Respir Dis 2005; 58: 465-472)

이승룡(고려대학교) ; 이주한(고려대학교) ; 이승현(고려대학교) ; 이상엽(고려대학교) ; 김제형(고려대학교) ; 신철(고려대학교) ; 심재정(고려대학교) ; 인광호(고려대학교) ; 강경호(고려대학교) ; 유세화(고려대학교) ; 정진용(고려대학교) ; 이경주(고려대학교) ; 김세중(고려대학교) ; 이은주(고려대학교) ; 허규영(고려대학교) ; 정기환(고려대학교) ; 정혜철(고려대학교) pp.473-479
초록보기
초록

연구 배경 : Gefitinib은 경구용 상피세포 성장인자 수용체 억제제로서 주로 동양인, 여성, 비흡연가, 선암 세포형의 폐암 환자에서 반응율이 좋은 것으로 되어 있으나 그 정확한 기전에 대해 밝혀진 것을 없다. 최근 몇몇 보고에 의하면 병기가 진행된 폐암 세포에서 PTEN 발현이 감소되어 있었으며, 또한 PTEN 발현이 감소된 폐암 세포주에서 EGFR tyrosine kinase inhibitor의 반응율이 감소되었음을 보고한 논문들이 있다. 이에 저자들은 본원에서 비소세포 폐암으로 진단받고 표준 항암화학요법에 실패한 이후 gefitinib으로 치료받은 환자군의 폐조직을 대상으로 PTEN의 발현 정도를 조사하였으며, PTEN의 발현 정도와 임상병기, 치료 반응율과의 상관관계에 대해 분석하였다.대상 및 방법 : 2002년 1월부터 2004년 8월까지 본원에 내원하여 원발성 비소세포성 폐암 진단 받은 후 표준 항암 화학요법에 실패하고 gefitinib을 복용한 환자 38명 중 2개월 이상을 투여 받아 반응 정도를 평가가 가능한 환자로서 폐조직에 대해 PTEN 면역조직화학 염색 및 정량화를 시행할 수 있었던 22명의 환자들에 대해 환자들의 약제 반응율과 PTEN의 발현양상과의 관계에 대해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Abstract

김상현(동의병원) ; 설미영(부산대학교) ; 이창훈(부산대학교) ; 이민기(부산대학교) ; 송진미(부산대학교) ; 이종협(동의병원) ; 김종민(동의병원) pp.480-489
초록보기
초록

연구 배경 :세포자멸사의 장애는 발암, 암의 진행, 화학치료시 내성 등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XIAP는 IAP군 중에 가장 강력한 caspase 억제제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는 비소세포폐암에서 XIAP의 면역조직화학적 발현이 종양진행이 환자생존율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해 보고자 시행되었다. 방 법 :수술적 절제가 시행된 80예의 비소세포 폐암종의 조직에서 XIAP의 면역 조직학적 발현을 조사하여 임상병리학적 인자들[환자의 연령, TNM 병기, TNM- pT, TNM-pN, VEGF, microvessel density(MVD), PCNA index, apoptotic index (AI)]과 생존율과의 연관을 분석하였다.

Abstract

이철호(충북대학교) ; 홍윤철(서울대학교) ; 최강현(충북대학교) ; 강종원(충북대학교) ; 김헌(충북대학교) ; 홍장수(충북대학교) ; 이계영(단국대학교) ; 김용대(충북대학교) pp.490-497
초록보기
초록

연구배경 : Paraoxonase는 산소유리기 제거효소의 하나로서, 유기인제 화합물의 독소제거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인 남성에서 PON1 Q192R 유전자 다형성이 흡연과 관련하여 폐암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대상 및 방법 : 연구대상자는 조직 병리학적으로 폐암으로 새롭게 진단받은 남성 환자 335명과, 이들과 3세 이내에서 연령을 짝지은 동수의 대조군으로 하였다. 직접면접조사를 통하여 인적사항과 직업력 그리고 흡연력, 음주력 등을 조사하였다. TaqMan 실시간 중합 효소 연쇄반응을 이용하여 PON1 유전자 다형성을 확인하고, 폐암과 흡연 그리고 PON1 유전자 다형성 유형 사이의 상호 관련성을 통계적으로 분석하였다.

Abstract

김승준(가톨릭대학교) ; 김성규(연세대학교) ; 차승익(경북대학교) ; 정태훈(경북대학교) ; 박성수(한양대학교) ; 최천웅(경희대학교) ; 유지홍(경희대학교) ; 강홍모(경희대학교) ; 고원중(성균관대학교) ; 권오정(성균관대학교) ; 이흥범(전북대학교) ; 이용철(전북대학교) ; 이양근(전북대학교) ; 김우진(인하대학교) ; 유철규(서울대학교) ; 김영환(서울대학교) ; 심영수(서울대학교) ; 한성구(서울대학교) ; 김윤성(부산대학교) ; 이민기(부산대학교) ; 박순규(부산대학교) ; 리원연(연세대학교) ; 용석중(연세대학교) ; 신계철(연세대학교) ; 최병휘(중앙대학교) ; 오연목(울산대학교) ; 임채만(울산대학교) ; 이상도(울산대학교) ; 김우성(울산대학교) ; 김동순(울산대학교) ; 정성수(충남대학교) ; 김주옥(충남대학교) ; 김영철(한중대학교) ; 김영균(가톨릭대학교) ; 문화식(가톨릭대학교) ; 박성학(가톨릭대학교) ; 이상엽(고려대학교) ; 인광호(고려대학교) ; 김영삼(연세대학교) ; 김형중(연세대학교) ; 안철민(연세대학교) ; 김명숙(가톨릭대학교) ; 이상학(가톨릭대학교) ; 이창률(연세대학교) ; 김경록(경북대학교) ; 김미옥(장로회신학대학교) ; 함형석(성균관대학교) ; 강은해(성균관대학교) ; 이양덕(을지대학교) ; 신원혁(서울대학교) ; 권성연(서울대학교) ; 박혜경(부산대학교) ; 김미혜(연세대학교) ; 고영춘(전남대학교) ; 유남수(국립의료원) pp.498-506
초록보기
초록

연구배경 : 본 연구는 COPD환자를 대상으로 기관지확장제인 tiotropium 1일 1회, 1회 1캅셀 18㎍과 ipratropium 1일 4회, 1회 2퍼프(퍼프당 20㎍)의 유효성 및 안전성을 비교 평가하고자 하였다.방 법 : 초기 선별방문 후, 환자는 2주간의 관찰기간에 들어갔으며, 이 기간을 마친 환자는 이중맹검, 무작위배정하에 위약과 함께 1일 1회 tiotropium 또는 1일 4회 ipratropium을 투여 받았다. 유효성평가는 폐기능검사, 일중 PEFR측정, 환자평가 설문조사, 보조치료약물(살부타몰) 사용량으로 하였다. 폐기능검사는 치료시작 시(0일), 치료 14일후와 치료종료 시(28일)에 하였는데, 이때 투약 5분 전, 투약 후 30분, 60분, 120분 및 180분에 시행하였다.

Abstract

신상열(건국대학교) ; 유광하(건국대학교) ; 윤재호(건국대학교) ; 김순종(건국대학교) pp.507-514
초록보기
초록

연구배경 : COPD환자에서 질환의 중증도, 치료 반응정도, 급성악화등을 평가하는데 FEV1과 PEFR이 중요한 측정 지표로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COPD환자에서 PEFR과 FEV1의 일치성에 대해서는 잘 알려져 있지 않아 PEFR 측정이 중증도 분류 검사로 사용이 가능한지는 모르는 상태이다.방 법 : 2003년 9월부터 2004년 8월까지 건국대학교 병원 호흡기 내과 외래에서 진료받은 COPD환자 125명을 대상으로 FEV1과 PEFR을 측정하여 그 결과를 통계, 분석하였다.

Abstract

조현철(경희대학교) ; 박명재(경희대학교) ; 강홍모(경희대학교) ; 유지홍(경희대학교) ; 이영주(경희대학교) pp.515-520
초록보기
초록

최근 일본 연구자들을 중심으로 새로 시작한 흡연에 의해 발생한 급성 호산구성 폐렴의 증례 보고가 증가하고 있고 또 발병기전에 대한 연구도 점차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본 저자들도 흡연에 의해 발생한 급성 호산구성 페렴환자를 경험하고 이 환자에서 흡연유발검사를 통해 새로 시작한 흡연이 급성 호산구성폐렴의 원인임을 확인하여 이 환자의 임상적인 특징과 경과를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Abstract

Tuberculosis & Respiratory Diseas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