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만성폐쇄성폐질환 환자에서 Tiotropium 1일 1회,1회 18㎍ 요법과 Ipratropium 1일 4회, 1회 40㎍ 요법의 치료효과 및 안전성 비교

A Comparison of Tiotropium 18㎍, Once Daily and Ipratropium 40㎍, 4 Times Daily in a Double-Blind, Double-Dummy, Efficacy and Safety Study in Adults with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Tuberculosis & Respiratory Diseases / Tuberculosis & Respiratory Diseases,
2005, v.58 no.5, pp.498-506
김승준 (가톨릭대학교)
김성규 (연세대학교)
차승익 (경북대학교)
정태훈 (경북대학교)
박성수 (한양대학교)
최천웅 (경희대학교)
유지홍 (경희대학교)
강홍모 (경희대학교)
고원중 (성균관대학교)
권오정 (성균관대학교)
이흥범 (전북대학교)
이용철 (전북대학교)
이양근 (전북대학교)
김우진 (인하대학교)
유철규 (서울대학교)
김영환 (서울대학교)
심영수 (서울대학교)
한성구 (서울대학교)
김윤성 (부산대학교)
이민기 (부산대학교)
박순규 (부산대학교)
리원연 (연세대학교)
용석중 (연세대학교)
신계철 (연세대학교)
최병휘 (중앙대학교)
오연목 (울산대학교)
임채만 (울산대학교)
이상도 (울산대학교)
김우성 (울산대학교)
김동순 (울산대학교)
정성수 (충남대학교)
김주옥 (충남대학교)
김영철 (한중대학교)
김영균 (가톨릭대학교)
문화식 (가톨릭대학교)
박성학 (가톨릭대학교)
이상엽 (고려대학교)
인광호 (고려대학교)
김영삼 (연세대학교)
김형중 (연세대학교)
안철민 (연세대학교)
김명숙 (가톨릭대학교)
이상학 (가톨릭대학교)
이창률 (연세대학교)
김경록 (경북대학교)
김미옥 (장로회신학대학교)
함형석 (성균관대학교)
강은해 (성균관대학교)
이양덕 (을지대학교)
신원혁 (서울대학교)
권성연 (서울대학교)
박혜경 (부산대학교)
김미혜 (연세대학교)
고영춘 (전남대학교)
유남수 (국립의료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연구배경 : 본 연구는 COPD환자를 대상으로 기관지확장제인 tiotropium 1일 1회, 1회 1캅셀 18㎍과 ipratropium 1일 4회, 1회 2퍼프(퍼프당 20㎍)의 유효성 및 안전성을 비교 평가하고자 하였다.방 법 : 초기 선별방문 후, 환자는 2주간의 관찰기간에 들어갔으며, 이 기간을 마친 환자는 이중맹검, 무작위배정하에 위약과 함께 1일 1회 tiotropium 또는 1일 4회 ipratropium을 투여 받았다. 유효성평가는 폐기능검사, 일중 PEFR측정, 환자평가 설문조사, 보조치료약물(살부타몰) 사용량으로 하였다. 폐기능검사는 치료시작 시(0일), 치료 14일후와 치료종료 시(28일)에 하였는데, 이때 투약 5분 전, 투약 후 30분, 60분, 120분 및 180분에 시행하였다.

keywords
Tiotropium, Ipratropium, COPD, Efficacy, Safety, Tiotropium, Ipratropium, COPD, Efficacy, Safety

참고문헌

1.

(1995) Standards for the diagnosis and care of patients with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2.

(1995) Optimal assessment and management of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COPD),

3.

(2001) Global Initiative for Chronic Obstructive Lung Disease Global strategy for the diagnosis and prevention of chronic obstructive pulmo nary disease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4.

(1995) A comparison of the bronchodilating effects of salmeterol,salbutamol and ipratropium bromide in patients with chronic obs tructive pulmonary disease,

5.

(1999) Efficacy of salme terol xinafoate in the treatment of COPD,

6.

(2001) Use of a long- acting inhaled beta2-adrenergic agonist,salmeterol xinafoate,in patients with chronic obstructive pul monary disease,

7.

(1989) Standard and double dose ipratropium bromide and combined ipratropium bromide and inhaled meta proterenol in COPD,

8.

(amrevrespirdis1984) Role of the parasympathetic system in airway obstruction due to emphysema,

9.

(1988) Ipratropium bromide,

10.

(1995) a pharmaco dynamic study in patients with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11.

(1995) Tiotropium bromide(Ba 679 Br)a novel long-acting muscarinic antagonist for the treatment of obstructive airways disease,

12.

(1999) Tiotropium(Spiriva)mechanistical con siderations and clinical profile in obstructive lung disease,

13.

(2000) Long-acting bro nchodilation with once daily dosing of tiotropium(Spiriva)in stable COPD,

14.

(2000) The spirometric efficacy of once-daily dosing with tiotropium in stable COPD:a 13-week multicenter trial,

15.

(1987) A measure of quality of life for clinical trials in chronic lung disease,

16.

(2002) A 6-month,placebo- controlled study comparing lung function and health status changes in COPD patients treated with tio tropium or salmeterol,

17.

(1995) Rapid onset of tolerance to the bronchoprotective effect of salmeterol,

18.

(2001) Tolerance to the protective effect of salmeterol on allergen challenge can be partially restored by the withdrawal of salmeterol regular treatment,

19.

(2002) Improved health outcomes in patients with COPD during 1 yr's treat ment with tiotropium,

20.

(2000) A randomised controlled comparison of tiotropium and ipratropium in the treatment of COPD,

21.

(2000) A randomised controlled comparison of tiotropium and ipratropium in the treatment of COPD,

22.

Anticholinergic, antimusca rinic bronchodilators,

Tuberculosis & Respiratory Diseas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