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이관호(영남대학교) pp.101-113
이가영(전북대학교) ; 이용철(전북대학교) pp.114-120
김영삼(연세대학교) ; 남정모(연세대학교) ; 박무석(연세대학교) ; 장준(연세대학교) ; 안철민(연세대학교) ; 김세규(연세대학교) ; 김성규(연세대학교) ; 변민광(연세의대) ; 정우영(연세의대) ; 정재희(연세의대) ; 최상봉(연세의대) ; 강신명(연세의대) ; 문지애(연세의대) ; 한숙정(삼육대학교) pp.121-128
나승원(울산대학교) ; 오연목(울산대학교) ; 홍상범(울산대학교) ; 심태선(울산대학교) ; 고윤석(울산대학교) ; 이상도(울산대학교) ; 김동순(울산대학교) ; 김원동(울산대학교) ; 임채만(울산대학교) ; 김우성(울산대학교) ; 오지선(울산대학교) pp.129-136
양주연(단국의대) ; 이호연(단국의대) ; 김남희(단국의대) ; 김윤섭(단국의대) pp.137-142
초록보기
초록

연구배경: 8주 이상 지속되는 만성 기침의 원인 중 하나인 위식도역류질환는 환자의 약 75%가 증상이 없으며, 진단을 위한 24시간 식도 pH감시가 침습적이고 검사가 어려워 진단 및 치료에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만성 기침환자 중 후비루증후군 및 기관지 천식이 아닌 환자를 대상으로 양자펌프억제제를 투여하고 치료효과를 관찰하였다. 방법 및 대상: 기침증상이 8주 이상인 만성기침 환자 중 X-ray 소견상 이상이 없고 메타콜린 기관지유발시험상 음성이며, 후비루증후군 치료에 반응이 없었던 4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8주 이상 양자펌프억제제를 투여하였으며 50%이상 기침이 감소한 경우를 부분 반응군, 기침이 거의 소실된 경우를 완전 반응군으로 분류하였다. 결 과: 대상자 40명중 29명만이 4주 이상 추적되었으며 이중 26명만이 8주까지 추적 관찰되었다. 29명중 남자가 9명, 여자가 20명이었으며 평균나이는 51세였다. 대상자들에서 기침 이외의 증상은 객담이 12%, 콧물이나 비폐색 등의 코 증상이 있는 환자는 10%, 속쓰림, 소화불량 등의 소화기 증상을 호소하는 환자는 13.4%였다. 29명중 4주간 투여 후 증상의 호전이 없는 환자가 3명(10.3%), 50% 이상의 증상호전을 보이는 환자가 22명(75.9%), 그리고 증상이 거의 소실된 환자가 4명(13.8%)로 약 90%정도의 환자가 기침의 증상호전이 있었다. 8주 투여 후 호전이 없는 환자가 2명(7.4%), 50% 이상 증상호전이 있는 환자가 8명(29.6%), 증상이 거의 소실된 환자가 16명(63.0%)이었다.

Abstract

Background: Recent studies have suggested an association between chronic cough and gastroesophageal reflux. Our study aimed to assess the utility of a proton-pump inhibitor in unexplained chronic cough patients. Methods: Patients with chronic cough of unknown etiology were evaluated using a chest x-ray, methacholine challenge test, and an empirical trial of postnasal drip therapy. After excluding other potential causes of the cough, forty patients were included in the study and treated for 8 weeks with a proton-pump inhibitor. Results: Eleven and three patients in the first and second 4 weeks were lost to follow-up, leaving twenty-six patients finally included in the study. Of these patients, two were unimproved, eight partially responded to the proton-pump inhibitor and sixteen responded completely after the 8 week treatment. Conclusion: We suggest that empirical treatment with a proton pump inhibitor in all patients with persistent cough, which is not secondary to asthma or postnasal drip syndrome, represents a practical and simple approach to this ailment. (Tuberc Respir Dis 2006; 60: 137-142)

황기은() ; 박성훈(원광대학교) ; 박정현(원광대학교) ; 김휘정(원광대학교) ; 김학렬(원광대학교) ; 양세훈(원광대학교) ; 정은택(원광대학교) ; 김소영(원광의대) ; 정종훈(원광의대) pp.143-149
초록보기
초록

연구배경: Toptisomerase I 억제제인 irinotecan 과 소세포폐암 치료의 근간인 cisplatin의 복합화학용법을 확장기 소세포폐암 환자에게 1차 치료법으로 실시하여 반응률, 생존율 및 부작용을 확인하였다.방 법: 2002년 6월부터 2005년 2월까지 확진된 확장기 소세포폐암 환자 39명에게 irinotecan 60mg/㎡, 제 1, 8, 15일째 cisplatin 60mg/㎡ 제1일째에 28일 간격으로 4회 투여하였다.결 과: 반응률은 77%(완전반응 8%), 중앙생존기간은 14.8개월, 1-및 2-년 생존율은 60.9%, 27.6%였으며, 중앙 무진행생존기간은 8.4개월, 6-및 12-개월 무진행생존율은 75.0%, 18.8%였다. WHO grade 3 이상의 부작용은 백혈구 감소증 23%, 설사 26%였으나, 심한 설사때문에 2명은 치료방법을 바꾸었고, 1명은 사망하였다.

Abstract

Background: Irinotecan (topoisomerase I inhibitor) is effective as a monotherapy against small-cell lung cancer(SCLC). Cisplatin is also an important drug against SCLC. A phase II study of irinotecan combined with cisplatin was carried out to evaluate the efficacy and toxicity of this combined regimen as a first line treatment in patients with extensive SCLC. Methods: Thirty-nine patients with previously untreated extensive SCLC were enrolled in this study. Irinotecan 60mg/㎡ was administered intravenously on days 1, 8 and 15, and in combination with cisplatin 60mg/㎡ on day 1 and every 28 days thereafter. Four cycles of chemotherapy were given to the patients. Results: The overall response rate was 77% with a complete response (CR) rate of 8%. The median survival time, 1- and 2-year survival rate were 14.8 months, 60.9% and 27.6%, respectively. The median progression free survival time, 6-and 12-month progression free survival rate were 8.4 months, 75% and 18.8%, respectively. The WHO grade 3 or more toxicity encountered were leukopenia (23%), diarrhea (26%). Two patients changed their chemotherapeutic regimen and one patient died from severe diarrhea. Conclusion: The combination of irinotecan and cisplatin is effective as a first line therapy in extensive SCLC is effective , but has severe or fatal diarrhea as toxicity. (Tuberc Respir Dis 2006; 61: 143-149)

윤숙정(전남대학교) ; 이지범(전남대학교) ; 김영철(전남대학교) ; 김규식(전남의대) pp.150-156
초록보기
초록

배 경: 최근 폐암 환자에서 사용하는 표적치료 항암약물인 gefitinib (Iressa)은 종양세포의 표피성장인자 수용체의 티로신 키나아제 활동을 선택적으로 억제하여 종양 세포의 성장에 관여하는 신호를 차단함으로써 치료효과를 나타낸다. Gefitinib 복용에 의한 피부 부작용으로 여드름양 발진, 피부 건조증, 모발 변화 등이 알려져 있다.대상 및 방법: 2004년 10월부터 2005년 9월까지 화순전남대병원에서 비소세포 폐암으로 진단받고 gefitinib을 복용 중인 환자들 중 피부 부작용이 발생하여 피부과에 의뢰된 환자 23명을 대상으로 임상 양상을 분석하였다. 결 과: 나이는 23-72세였고, 비소세포 폐암의 종류는 선암 17명, 편평상피세포 폐암 5명이었고, 여자 6명, 남자 17명이었다. 가장 흔한 부작용은 여드름양 발진으로 15명(65.2%)에서 발생하였으며, 주로 두피, 얼굴, 가슴, 등 부위에 무증상의 홍반성 구진으로 나타나며 대부분 gefitinib 복용 1달 이내에 발생하였다. 여드름양 발진의 빈도는 gefitinib 치료에 대한 반응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고, 조직 형에 따른 차이도 관찰되지 않았다. 피부 소양증은 9명(39.1%)에서 발생하였으며 경도의 전신 소양증이 가장 많았고, 특히 눈 주변의 소양증을 호소하였다. 인설을 동반한 피부 건조증이 6명(26.1%)에서 발생하였고, 손발바닥의 홍반과 표피 박탈이 5명(21.7%), 손톱이나 발톱주변에 조갑주위염이 5명(21.7%)에서 발생하였다. 드물게 모발이 부러지거나 겨드랑이, 오금에 간찰진이 발생하였다.

Abstract

Background: Gefitinib (ZD 1839, Iressa) is a new anticancer agent; more specifically, it is a selective epidermal growth factor receptor tyrosine kinase inhibitor that is, widely used for various solid cancers, including lung cancer. Cutaneous adverse reactions induced by gefitinib have recently been reported; however, not much on this topic has been reported in the Korean literature. Method: We studied cutaneous adverse reactions of gefitinib in 23 patients who suffered with non-small cell lung cancer at Chonnam National University Hwasun Hospital from October 2004 to September 2005. Result: The patients ranged from 23-72 years old, and there were 17 patients with adenocarcinoma, 5 with squamous cell carcinoma and 1 with bronchioloalveolar carcinoma. The most common adverse reaction was acneiform eruptions in 15 patients (65.2%). This reaction appeared within 2 months after medication, and it didn't correlate with the therapeutic response and tumor type. Pruritus was the second most common reaction (39.1%), which was mild and generalized, especially around eyelid area. Xerosis (26.1%), exfoliation on palm and sole (21.7%), and paronychia (21.7%) followed. Hair breakage and intertrigo were rare adverse reactions. Conclusion: Various cutaneous adverse reactions were observed in patients with non-small cell lung carcinoma after gefitinib treatment. The skin complications could be alleviated with dermatologic consultations and treatments, skin complications could be alleviated. (Tuberc Respir Dis 2006; 61: 150-156)

함현석(경상의대) ; 전경녀(경상대학교) ; 김호철(경상대학교) ; 이종덕(경상대학교) ; 정이영(경상대학교) ; 황영실(경상대학교) ; 이승준(경상의대) ; 조유지(경상의대) pp.157-161
초록보기
초록

저자들은 종괴와 폐허탈로 내원한 환자에서 기관지내시경을 이용한 조직검사에서 기관지내 아스페르길루스종으로 진단되어 치료하였으나 종괴의 크기가 증가하여 시행한 경피적 폐생검을 통해 악성 폐종양으로 진단된 예를 경험하여 보고하는 바이다.

Abstract

A 70-year-old man was referred to the department of pulmonology due to blood tinged sputum and an abnormal chest X-ray. The chest X-ray and CT scans revealed a lobulated contour mass-like lesion in the left upper lung field. The bronchoscopic examination showed a whitish and polypoid mass occluding the left upper lobe bronchus. A biopsy specimen from the lesion revealed many aspergillus hyphae. Intravenous and oral itraconozole were administered over a 4 weeks period. Several months later, the size of the mass on chest X-ray increased and a percutaneous lung biopsy revealed a sarcomatoid carcinoma. We reported a case of lung cancer that was obscured by an endobronchial aspergilloma with a review of the relevant literature. (Tuberc Respir Dis 2006; 61: 157-161)

이정은(충남대학교) ; 정미경(경기대학교) ; 정성수(충남대학교) ; 김주옥(충남대학교) ; 강대영(충남대학교) ; 설종구(충남대학교) ; 김선영(충남대학교) ; 이유진(충남의대) ; 박희선(충남의대) pp.162-166
초록보기
초록

Abstract

The lung is the most common site for the metastasis of extrapulmonary malignant tumors. However, endobronchial metastases (EBM) from extrapulmonary malignant tumors are rare. The most common extrathoracic malignancies associated with EBM are the breast, renal and colorectal carcinomas. Lung metastasis from prostate cancer is often encountered but EBM is rare. We report a 74-year old man with endobronchial metastases from prostatic carcinoma presented with cough. The diagnosis of prostatic cancer and the endobronchial metastasis were confirmed by immunohistological staining with the prostate specific antigen. Hormonal therapy (lutenizing hormone releasing hormone agonist) was applied to this patient. (Tuberc Respir Dis 2006; 61: 162-166)

노희선() ; 임희환(원자력의학원) ; 김정훈(원자력의학원) ; 조장현() ; 허정권() ; 조성연() ; 유지영() ; 김철현() ; 이재철() pp.167-170
초록보기
초록

대퇴골 전이를 동반한 비소세포폐암 환자에서 전이 부위에 대한 방사선 치료 후 시행한 항암화학요법 도중, gemcitabine으로 인한 방사선 회귀 피부, 근육염이 발생하였다. 대퇴부의 부종, 발적과 통증 등은 스테로이드 사용 후 모두 사라졌으며, gemcitabine 투여를 중지한 이후 현재까지 재발이 없었다.

Abstract

A radiation recall reaction refers to an inflammatory reaction at previous irradiated areas subsequent to the administration of a variety of pharmacological agents. The skin is the major site of radiation recall reactons with the muscle and internal organs being less commonly affected. These reactions usually occur days to weeks after exposure to the causative agents. We report a case of gemcitabine-induced radiation recall dermato-myositis the developed in a female patient with a metastatic non-small cell lung cancer. She had received a palliative radiation therapy of 3900 cGy to the metastatic lesion on the femur shaft prior to chemotherapy. The pain, swelling and erythema of the left thigh resolved after the cessation of gemcitabine and the use of a systemic steroid. (Tuberc Respir Dis 2006; 61: 167-170)

조준현(울산대학교) ; 김성률(울산대학교) ; 제갈양진(울산대학교) ; 차희정(울산대학교) ; 김혁(울산대학교) ; 정종필(울산대학교) ; 박창률(울산대학교) ; 박진우(울산대학교) ; 우순주() ; 임은아() ; 이기영() pp.171-177
초록보기
초록

MALT림프종은 질병의 진행이 느리고, 진단 당시 국소적인 병변이 대부분이며, 폐와 위장관을 동시에 침범하는 경우는 매우 드물다. 저자들은 흉부 단순촬영에서 고립성 폐결절이 발견된 73세 남자 환자에서 위, 폐, 골수를 침범한 파종성 MALT림프종 1예를 경험하였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Abstract

Extranodal marginal zone B-cell lymphoma of the mucosa-associated lymphoid tissue (MALT lymphoma) is usually indolent. Although it was reported recently that about 20-30% cases of MALT lymphoma presented with a disseminated disease at diagnosis, it was described as a disease localized at diagnosis and remaining stable for a prolonged period. However, only a few cases of MALT lymphoma involved the lung and gastrointestinal tract all at once. We report a case of a 73-year-old man with disseminated MALT lymphoma. He presented with non-productive cough, initial chest radiograph showed a nodule in the right lower lobe. The diagnosis of stage IV MALT lymphoma was made by CT scan, video-assisted thoracoscopic excisional biopy, gastrofiberscopic biopsy and bone marrow biopsy. The lymphoma involved the lung, stomach and bone marrow at the time of diagnosis. Because he refused chemotherapy, he discharged after Helicobacter pylori eradication without chemotherapy. Regular follow-up examination did not show any evidence of disease progression over 22 months. (Tuberc Respir Dis 2006; 61: 171-177)

김선영(한림의대) ; 정기석(한림대학교) ; 장승훈(한림대학교) ; 김동규(한림대학교) ; 엄광석(한림의대) ; 이영석(한림의대) ; 허경림(한림의대) ; 권진우(한림의대) pp.178-183
초록보기
초록

61세 만성폐쇄폐질환 남자 환자로 호흡곤란을 주소로 내원하여 만성폐쇄성폐 질환 급성 악화 진단 하에 입원치료를 시작하였다. 입원치료 도중 다량의 자발 성 피하공기증이 생기면서 호흡곤란이 악화되어 다수의 16 gauge 정맥용 도관 을 빗장중간선에 삽입하고 배출을 시도하였다. 그러나 피하공기증이 더욱 악화 되어 wall suction으로 지속적인 흡인을 하였고 이후 피하공기증의 관해를 확인 할 수 있었다. 저자들은 16 gauge 정맥용 도관을 이용한 지속흡인으로 비침습 적이고 간편하게 피하공기증을 치료하였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Abstract

A-61-year-old COPD patient was hospitalized due to dyspnea and was diagnosed with acute exacerbation of COPD. During the hospital stay, the patient's dyspnea was aggravated by massive spontaneous subcutaneous emphysema. Multiple 16 gauge intravenous catheters were inserted at the midclavicular line for drainage. Although subcutaneous catheter drainage was carried out, respiratory failure developed with an increased in massive subcutaneous emphysema. Continuous suction drainage with wall suction was applied resulting in the rapid resolution of the subcutaneous emphysema. We report a case of the that effective management of massive subcutaneous emphysema using multiple 16 gauge intravenous catheters with continuous suction. (Tuberc Respir Dis 2006; 61: 178-183)

조준현(울산대학교) ; 최성훈(울산대학교) ; 서광원(울산대학교) ; 제갈양진(울산대학교) ; 정종필(울산대학교) ; 음준범(울산대학교) ; 안종준() pp.184-188
초록보기
초록

경피적 척추성형술은 PMMA를 붕괴된 척추체에 경피적으로 주사하여 통증을 완화시키고 척추체를 구조적으로 보강하는 시술이다. 척추성형술은 아주 효과적인 치료방법이기는 하나 합병증이 전혀 없지는 않다. 척추성형술의 많은 합병증은 주로 PMMA 누출과 관련되어 있다. 대부분의 누출은 증상이 없고 또한 폐색전증은 매우 드물지만 시술도중 PMMA의 혈관내 이동을 조기에 발견하지 못할 때 발생할 수 있다. 저자들은 천식으로 인한 기침으로 내원한 환자의 흉부X선에서 우연히 PMMA에 의한 폐색전증을 진단하였기에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Abstract

Percutaneous vertebroplasty consists of the percutaneous injection of polymethylmethacrylate (PMMA) cement into a collapsed vertebral body in order to obtain pain relief and mechanically strengthen the vertebral body. This procedure is now extensively used in treating osteoporotic vertebral compression fracture. It is an efficient treatment, but it is not free of complications. Most complications after vertebroplasty are associated with PMMA leakage. Pulmonary embolism of PMMA is rare, but this can occur when there is a failure to recognize venous migration of cement early during the procedure. We encountered a case of a patient with asymptomatic pulmonary embolism because of PMMA after percutaneous vertebroplasty. Chest X-ray and CT scanning revealed numerous tubular branching opacities that corresponded to the pulmonary vessels at the segmental and subsegmental levels. (Tuberc Respir Dis 2006; 61: 184-188)

Tuberculosis & Respiratory Diseas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