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김주옥(충남대학교) ; 정성수(충남대학교) ; 정미경(경기대학교) pp.175-183
문진욱(연세대학교) pp.184-191
초록보기
초록

Abstract

연구 배경: 결핵성 흉막염의 진단에 있어서 흉수에 대한 중합효소연쇄반응 검사는 매우 낮은 민감도를 보였으며, 이는 흉수 내의 결핵균의 수가 적은 데에 기인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이번 연구에서는 흉수의 검체양을 증가시켰을 때 결핵성 흉수에 대한 중합효소연쇄반응 검사의 민감도가 향상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결핵성 흉막염에 대한 감별 진단이 필요하였던 53명의 환자에 대하여 전향적인 연구를 시행하였다. 각각의 환자로부터 얻은 흉수를 10 ml, 25 ml, 50 ml로 양을 달리 하여 결핵균에 대한 중합효소연쇄반응 검사를 시행하였으며, Cobas Amplicor MTB (Roche Diagnostic Systems)를 이용하였다. 결핵성 흉막염은 흉수에서 결핵균이 배양된 경우, 흉막 생검에서 결핵이 진단된 경우, 가래에서 결핵균이 배양된 경우 및 기타 원인이 배제된 상태에서 임상적으로 결핵성 흉수가 의심되며 항결핵제 투약으로 흉수가 호전된 경우를 포함하였다. 결 과: 53명의 환자 중 26명이 결핵성 흉막염으로 진단되었다. 흉수에 대한 항산균 바름질, 결핵균 배양, 아데노신 디아미나아제 측정 및 흉막 생검의 민감도는 각각 3.8%, 15.4%, 88.5%, 84.6%이었다. 10 ml, 25 ml, 50 ml의 흉수를 이용한 결핵균 중합효소연쇄반응 검사는 각각 3명(11.5%), 4명(15.4%), 3명(11.5%)에서 양성이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05, symmetry exact 검사). 결 론: 결핵균의 수가 극히 적을 것으로 예상되는 흉수 등의 검사물에 대해서는 결핵균 중합효소연쇄반응 검사의 임상적 유용성이 극히 제한적이며, 검사물의 양을 증가시키더라도 민감도는 향상되지 않는다. (Tuberc Respir Dis 2007; 62: 184-191)

김현옥(경상의대) ; 김호철(경상대학교) ; 정이영(경상대학교) ; 이종덕(경상대학교) ; 전경녀(경상대학교) ; 황영실(경상대학교) ; 마정은(경상의대) ; 이승준(경상의대) ; 조유지(경상의대) pp.192-196
초록보기
초록

배 경: 우중엽증후군은 반복적이고 만성적인 우중엽의 허탈을 나타내는 질환으로 그 원인은 매우 다양하다. 최근 국내에서 우중엽증후군의 원인에 대한 발표는 부족한 실정이어서 저자들은 최근 수년간 지역 3차 병원에서 경험한 우중엽증후군의 원인과 임상적 특징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2003년 1월부터 2006년 7월까지 경상대학교 병원에 내원하여 흉부 단순촬영 또는 전산화 단층촬영에서 우중엽증후군이 의심되어 기관지내시경 검사를 시행한 88명의 환자(남:여=22:64, 평균연령: 67.2±10.3)를 대상으로 그 원인과 임상적 특징을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결 과: 1) 여자가 64예(72.7%)로 남자보다 많았고 연령별 빈도에서 65세 이상의 고령환자가 58예로 65.9%를 차지하였다. 2) 임상 증상은 기침이 30예(34.1%)로 가장 흔하게 나타났고, 호흡곤란 21예(23.9%), 객담 15예(17.0%), 객혈 11예(12.5%), 흉부통증과 전신 쇠약감이 각각 5예(5.7%)에서 나타났으며, 증상이 없이 우연히 발견된 경우가 8예(9.1%)였다. 3) 흉부 방사선 촬영에서는 무기폐 49예(55.7%), 폐경화 43예(48.9%), 종괴 4예(4.5%) 소견을 보였다. 4) 기관지내시경 검사 소견에서 충혈을 동반한 점막 부종 38예(43.2%), 탄분증을 동반한 점막 부종 16예(18.2%), 점액 매복(mucus impaction) 13예(14.8%), 섬유성 협착 10예(11.4%), 종괴 8예(9.1%), 삼출성 조직 괴사 4예(4.5%), 외인성 압박에 의한 협착 2예(2.3%), 정상 12예(13.6%)로 나타났다. 5) 원인 질환은 결핵이 23예(26.1%, 기관지 결핵 22예, 폐결핵 1예)로 가장 많았고, 염증성 변화에 의한 양성 협착 22예(25%), 탄분섬유화증 13예(14.8%), 폐렴 11예(12.5%), 폐암 10예(11.4%), 점액 매복 3예(3.4%), 기관지 확장증 2예(2.3%), 특별한 이상이 발견되지 않은 경우가 7예(8.0%)이었다.

Abstract

Background: Right middle lobe syndrome (RMLS) is defined as transient or chronic and recurrent atelectasis of the right middle lobe. Although numerous conditions are associated with RMLS, there are very few recent reports in Korea. This study evaluated the causes of RMLS in a local tertiary hospitalover a period of 42 months. Method: Eighty-eight patients (M:F=64:22, mean age: 67.2±10.3 years), who had consistent chest radiography findings and underwent bronchoscopy in Gyeongsang University Hospital from January 2003 to July 2006, were enrolled in this study.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causes of RMLS in these patients were retrospectively reviewed. Results: The most common symptoms fo RMLS were cough, dyspnea and sputum. Tuberculosis was the most common cause (endobronchial tuberculosis in 22 and pulmonary tuberculosis in 1) The other causes were bronchial stenosis by benign fibrotic changes in 22 cases (25%), anthracofibrosis in 13 cases (14.8%), pneumonia in 11 cases (12.5%), lung cancer in 10 cases (11.4%), mucus impaction in 3 cases (3.4%), bronchiectasis in 2 cases (2.3%) and no demonstrable causes in 7 cases (8%). The bronchoscopy findings were mucosal edema with hyperemic changes in 38 cases (43.2%), mucosal edema with anthracotic pigmentation in 16 cases (18.2%), mucus impaction in 13 cases (14.8%), fibrotic stenosis in 13 cases (14.8%), a mass like lesion in 8 cases (9.1%), exudative necrotic material in 4 cases (4.5%), narrowing as a result of extrinsic compression in 2 cases (2.3%) and no demonstrable abnormalities in 12 cases (13.6%). Conclusion: Right middle lobe syndrome was observed more frequently in patients over the age of 65. The causes were mainly benign diseases with endobronchial tuberculosis being the most common. (Tuberc Respir Dis 2007; 62: 192-196)

김용석(한양대학교) ; 박성수(한양대학교) ; 김태형(한양대학교) ; 손장원(한양대학교) ; 윤호주(한양대학교) ; 신동호(한양대학교) ; 이재형(한양의대) ; 김상헌(한양대학교) pp.197-202
초록보기
초록

흡연물질로서 benzopyrene, nicotine 및 cotinine등은 기관지상피세포인 Beas2B에서 CuZnSOD, thioredoxin, glutathione reductase 등의 발현량에 영향을 주며 특히 thioredoxin 및 glutathione reductase의 발현량을 노출 후 30분에서 4시간 경과 시간대에 증가시켰다가 24시간 이후에는 억제하는 특징을 나타내었다. 상기한 흡연물질에 의한 항산화효소의 조절기전에는 전사인자인 NF-kB가 관여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감사의 글

Abstract

Background: Cigarette smoking is an important risk factor for chronic bronchitis and COPD. Airway epithelial cells exposed to cigarette smoke components such as nicotine, cotinine and benzopyrene can generate reactive oxygen species (ROS) and be subject to oxidative stress. This oxidative stress can induce the inflammatory response in the lung by the oxidant itself or by the release of proinflammatory cytokines. It has been reported that nicotine stimulates ROS, which are associated with NF-κB. Methods: Beas2B cells were treated with nicotine, cotinine and benzopyrene. RT PCR was used to measure the expression of several antioxidant factors using the total RNA from the Beas2B cells. The level of superoxide dismutase(CuZnSOD), thioredoxin, glutathione reductase expression was examined. Results: 0.5 to 4 hours after the benzopyrene, nicotine and cotinine theatments, the level of thioredoxin and glutathione reductase expression decreased. Longer exposure to these compounds for 24 to 72 hours inhibited the expression of most of these antioxidant factors. Conclusion: During exposure to smoke compounds, thioredoxin and glutathione reductase are the key antioxidant factors induced sensitively between 0.5 and 4 hours but the levels these antioxidants decrease between 24 hour and 72hours. (Tuberc Respir Dis 2007; 62: 197-202)

박은호(고신의대) ; 장희경(고신대학교) ; 정만홍(고신대학교) ; 장태원(고신대학교) ; 장리라(고신의대) ; 백종현(고신의대) ; 옥철호(고신대학교) pp.203-210
초록보기
초록

연구배경: 원발성 폐 선암은 다른 비소세포암에 비해 흡연과의 연관성이 상대적으로 적고 최근 증가 추세에 있으며 여성에서 많이 발생하는 특징을 가진 암종으로 폐 선암의 남녀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대상 및 방법: 1999년 1월부터 2005년 12월까지 고신대학교 병원에 내원하여 폐 선암으로 처음으로 진단된 환자 438명을 대상으로 혈액학적, 흡연력, 돌연변이, 병리조직, 생존 기간 및 치료방법에 따른 반응 등을 조사하여 폐 선암으로 진단받은 환자의 남녀간 차이를 비교분석하였다. 결 과: 총 438명의 환자 중 남성이 259명(59.1%), 여성이 179명(40.1%)으로 남성이 많았고, 50세 이전에서의 남녀 유병률은 여성이 25.8%로 남성의 17.7%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p=0.02). 흡연율은 남성이 86%, 여성이 18%로 남성에서 월등히 높았고(p=0.000), 전체 중간 생존기간은 남성이 639일, 여성이 823일로 여성에서 높았다(p=0.01). 전혈구검사상 혈색소가 12 g/dL 미만인 경우는 여성이 64.6%로 남성의 32.4% 비해 유의하게 높았고(p=0.001), 종양 표지자 중 CEA가 5 ng/ml 이상인 경우는 여성이 68.1%로 남성의 32.1%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p=0.000). 병기에 따른 남녀 구성비의 차이는 보이지 않았고, EGFR 및 K-ras 돌연변이도 남녀 간 차이는 보이지 않았으며, 조직학적 소견상 기관지 폐포암의 성분을 포함하고 있었던 경우는 여성에서 20명(11.2%), 남성에서 13명(5.0%)으로 여성에서 유의하게 높았다(p=0.035). 수술을 받은 76명의 환자를 다시 항암치료를 받은 군(57명)과 항암치료를 받지 않은 군(19명)으로 나누어 생존기간을 비교한 결과 남녀 모두 항암치료를 병행한 군에서 생존기간이 유의하게 연장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고(p<0.001), 수술만 받은 환자군에서는 남녀간 생존기간의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수술과 항암 치료를 병행한 군에서는 통계적 유의성은 가지지 못했으나 남성에 비해 여성에서 생존기간이 더 연장되는 경향을 보였다(p=0.054).

Abstract

Background: The incidence of adenocarcinoma of the lung has been increasing worldwide, and it has been generally been accepted to be relatively unrelated to smoking with a female preponderanc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gender-related pathological and survival differences in patients with an adenocarcinoma of the lung. Material and Method: A retrospective review of the clinical information of patients diagnosed with an adenocarcinoma of the lung at Kosin Medical Center from January 1999 to September 2005 was performed. The patient's demographics (age, gender), smoking history, stage, serum tumor marker, pathology classification, EGFR mutation, K-ras mutation, treatment methods, and survival time were analyzed. Result: Of the 438 patients, 179 (40.9%) were female. The median age at the diagnosis was 58 years for females and 59 years for males. However, 25.8% of women and only 17.7% of men were under 50 years of age (p=0.02). The distribution of the disease stage was similar in both men and women. The bronchioloalveolar carcinoma component was diagnosed more often in women (11.2%) than in men (5.0%). The overall survival rate was higher in women than in men (p=0.01), and women had a superior therapeutic response to a combined treatment of surgery and chemotherapy. Conclusion: This study showed significant genders differences in terms of the smoking history, bronchioloalveolar carcinoma component, overall survival, and survival after combined treatment of surgery and chemotherapy. Therefore, gender differences should be considered when diagnosing and treating adenocarcinomas of the lung. (Tuberc Respir Dis 2007; 62: 203-210)

오숙의(한림의대) ; 우경희(성신여자대학교) ; 정재헌(한림의대) ; 윤성보(한림의대) ; 윤현영(한림의대) ; 박종규(한림의대) ; 이동훈(한림의대) ; 홍성호(한림의대) ; 최성훈(한림의대) ; 이상학(한림의대) ; 이남호(한림의대) pp.211-216
초록보기
초록

저자들은 평소 건강하게 지내던62세 남자 환자에게서 발생한 우하지 심부정맥혈전증과 폐색전증의 원인으로 과호모시스테인혈증이 독립적인 위험인자로 작용한 것으로 생각되는 1예를 경험하였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한다.

Abstract

Hyperhomocysteinemia is an independent risk factor for cardiovascular, cerebrovascular and peripheral vascular diseases that are complicated by atherosclerosis and a thromboembolism. An increased level of plasma homocysteine develops from a genetic defect in the of enzyme for the homocysteine metabolism or a vitamin deficiency. Hyperhomocysteinemia has direct toxic effect on the vascular endothelium and causes damages to the antithrombotic action of vascular endothelial cells. Most cases of hyperhomocysteinemia are asymptomatic, but cardiopulmonary or cerebrovascular incidents developin rare cases. In the case of a thromboembolism with an unknown cause, hyperhomocysteinemia should be considered in a differential diagnosis. The authors report a case of pulmonary thromboembolism in a patient with hyperhomocysteinemia with a review of the relevant literature. (Tuberc Respir Dis 2007; 62: 211-216)

박신애(서울대학교) ; 김치홍(가톨릭대학교) ; 조규도(가톨릭대학교) ; 안명임(가톨릭대학교) ; 조덕곤(가톨릭대학교) ; 김훈교(가톨릭대학교) ; 이한희(가톨릭대학교) ; 김대준(가톨릭대학교) ; 심병용(가톨릭대학교) ; 송소향(가톨릭대학교) pp.217-222
초록보기
초록

저자들은 악성흉수 환자에서 가장 많은 치료법으로 선택되고 있는 talc 늑막유착술 이후에 급성 저산소증으로 사망한 환자 2예를 경험하였다. Talc 늑막유착술은 안전하고 효과적인 치료이지만, talc를 5 g 이상 사용하거나, 전신상태가 불량하거나, 반복적인 늑막유착술을 시행한 경우나, 양측에 흉수가 있거나, 늑막유착술 전 2주 이내에 항암요법이나 방사선치료를 한 경우나 폐실질에 전이성병변이 있을 때 예후가 불량하므로 talc 늑막유착술 환자를 선정할 때 주의하여야 하겠다.

Abstract

Talc pleurodesis is a safe and effective treatment for a recurrent malignant pleural effusion. However, acute hypoxemia, pulmonary edema or acute respiratory failure can develop in a small number of patients. We report 2 patients who developed fatal hypoxemia after talc pleurodesis which was necessary the control recurrent pleural effusion. The first case was an 18-year old male diagnosed with Ewing’s sarcoma with bilateral lung metastases and pleural effusion. The performance status was ECOG (Eastern Cooperative Foncology Group) grade 3. Fever along with hypoxemia and leukocytosis developed 10 hours after the second talc pleurodesis on the right side for an uncontrolled pleural effusion, The patient died from respiratory failure after 13 days. The second case was a 66-year old female diagnosed with non-small cell lung cancer with a bone metastasis. Two weeks after systemic chemotherapy, she complained of dyspnea, and a pleural effusion was observed on the right side. Her performance status was ECOG grade 3. Talc pleurodesis was performed for recurrent pleural effusion, but hypoxemia developed 6 days after pleurodesis and she died from respiratory failure 10 days after pleurodesis. In conclusion, talc pleurodesis should be performed very carefully in patients with a poor performance status, in cases with repeated pleurodesis, bilateral pleural effusion, recent chemotherapy, radiotherapy and when there are parenchymal metastatic lesions present. (Tuberc Respir Dis 2007; 62: 217-222)

이수옥(대구파티마병원) ; 최은정(대구파티마병원) ; 김가영(대구파티마병원) ; 김준철(대구파티마병원) ; 박정철(대구파티마병원) ; 정치영(대구파티마병원) ; 김연재(대구파티마병원) ; 이병기(대구파티마병원) pp.223-226
초록보기
초록

저자들은 도색공장에서 작업 도중 우연히 누출된 tetrafluoroethylene 가스의 흡입으로 인하여 급성폐손상을 받았으나 보존적 치료로 별다른 합병증 없이 비교적 짧은 기간에 치유된 남자 환자 1예를 경험하였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Abstract

Tetrafluoroethylene is a colorless gas that can be used to synthesize a variety of fluoride compounds by polymerization (e.g., Teflon). Fluoride compounds have many applications in industry. There are several reports of inhalation injury from the pyrolytic product of fluoride compounds. When the polymer is heated under the conditions of inadequate ventilation, the fumes can cause polymer fume fever or pulmonary edema which manifested as symptoms such as fever, chill, profuse sweating, cough and dyspnea. However there are no reports of a direct lung injury caused by tetrafluoroethylene. We report a case of a 27-year-old male presented with acute lung injury after inhaling concentrated tetrafluoroethylene. He complained of cough and dyspnea after the accidental inhalation of tetrfluoroethylene at his workplace. The symptoms improved without any complications after conservative treatment with oxygen and steroid. (Tuberc Respir Dis 2007; 62: 223-226)

이병훈(을지의대) ; 김상훈(을지대학교) ; 이기덕(을지의대) ; 우정주(을지의대) pp.227-231
초록보기
초록

여러 원인균에 의하여 이차성 기질화 폐렴이 발생할 수 있는데, 감염에 대한 활동성의 염증반응이 진행하여 폐포내의 섬유질의 삼출물이 기질화 됨으로서 발생한다. 아급성으로 발생한 기침, 객담, 발열 등을 주소로 내원한 평소 건강하게 지내던 37세 남자에서, 기관지 내시경과 경피 폐세침 흡인생검을 통하여 기관지 방선균증에 동반된 이차성 기질화 폐렴을 진단하고 치료하였다. 방선균증이 이차성 기질화 폐렴의 원인이 될 수 있음을 본 증례는 보여주고 있다.

Abstract

Several types of infection can cause organizing pneumonia when the inflammatory process remains active with the further organization of the intra-alveolar fibrinous exudates, despite the control of the infectious organism by antibiotics. We report a case of 37-year-old male with secondary organizing pneumonia associated with an endobronchial actinomycosis. The patient presented with a subacute cough, sputum and fever. Bronchial biopsy revealed sulfur granule to be consistent with the actinomycosis, and percutaneous needle biopsy revealed typical pattern of organizing pneumonia. The patient was treated with the appropriate antibiotics and corticosteroid. There was rapid improvement in the symptoms and radiological findings, and after six months of treatment, the corticosteroid dose was tapered off without a recurrence of the organizing pneumonia. (Tuberc Respir Dis 2007; 62: 227-231)

임상수(단국의대) ; 신재민(숭실대학교) ; 박재석(단국대학교) ; 명나혜(단국대학교) ; 지영구(단국대학교) ; 박석건(단국대학교) ; 홍구현(단국의대) ; 김윤섭(단국의대) pp.232-236
초록보기
초록

폐동맥 육종은 극히 드문 질환으로 폐동맥 혈전증과 혼동되는 경우가 많다. 육종에서는 FDG 섭취가 증가되므로 18F-FDG-PET를 시행하면 FDG 섭취가 없는 색전증과 구별할 수 있지만 해상도가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그러므로 CT 영상을 접목한 PET/CT는 폐동맥 육종과 혈전증을 보다 선명하게 구별할 수 있다. 저자들은 혈전증과 감별이 어려운 폐동맥 병변에 대해 PET/CT로 폐동맥 육종의 진단에 도움을 받았던 증례를 경험하였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Abstract

Primary pulmonary artery sarcoma is a rare malignant tumor arising from the pulmonary artery. Diagnosis of primary pulmonary artery sarcoma is quite difficult and the conditon is often misdiagnosed as a more common disease, such as a pulmonary embolism. PET can help in diagnosing a pulmonary artery sarcoma due to the increased uptake of 18F-FDG in the area of the tumor. However, the poor anatomic resolution&nbsp;of PET has limited its clinical applications in pulmonary vascular disease. The recently developed PET/CT is the fusion of PET and CT that improves the anatomical resolution of PET. We report a case of a primary pulmonary artery sarcoma mimicking a pulmonary embolism that was diagnosed with PET/CT and confirmed with a surgical resection. (Tuberc Respir Dis 2007; 62: 232-236)

박세미(연세의대) ; 장준(연세대학교) ; 조상호(차의과학대학교) ; 김성규(연세대학교) ; 박무석(연세대학교) ; 김영삼(연세대학교) ; 김세규(연세대학교) ; 양우인(연세의대) ; 문지애(연세의대) ; 변민광(연세의대) ; 정우영(연세의대) ; 최상봉(연세의대) ; 정재희(연세의대) ; 강신명(연세의대) ; 조남훈(연세의대) pp.237-240
초록보기
초록

저자들은 39세 남자 환자에서 부검을 통해 폐의 융모상피암종을 확인하였으나 고환과 같은 생식선 또는 성선 이외(extragonad) 부위에서의 암종 존재 유무를 확인하지 못하여 원발성인지 혹은 전이성인지를 구분하지 못한 폐의 융모상피암 1예를 경험하였기에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Abstract

Pulmonary choriocarcinoma is a very rare tumor in men. Herrein, the case of a pulmonary choriocarcinoma in 39-year-old man, and whether it had a primary nature, is reported. He denied any prior medical illness, but was admitted to our hospital with a history of a cough, and progressive dyspnea and hemoptysis 2 and 1 week duration, respectively. Chest radiographs on admission revealed a huge lung mass, 10 cm in diameter, in the left upper lung field, with left pleural effusion. Although biopsies using several diagnostic methods for the pathological confirmation were attempted, the pathology was not confirmed. Finally, the patient died after 2 months of regression. An autopsy of the lung was then performed. (Tuberc Respir Dis 2007; 62: 237-240)

Tuberculosis & Respiratory Diseas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