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장태원(고신대학교) pp.263-269
이승준(경상의대) ; 정이영(경상대학교) ; 김호철(경상대학교) ; 이종덕(경상대학교) ; 김선주(경상대학교) ; 황영실(경상대학교) ; 김현식(한국체육대학교) ; 마정은(경상의대) ; 이상민(경상의대) ; 함현석(경상의대) ; 조유지(경상의대) pp.270-275
초록보기
초록

배 경: 결핵의 완전 퇴치를 위해서는 잠복결핵의 진단 및 치료를 통해 활동성 결핵으로 진행되는 것을 예방하는 것이 중요하다. 최근 QuantiFERON-TB Gold 검사가 잠복결핵의 진단을 위한 방법으로 승인되어 사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지역 3차 종합병원에 근무하는 의료인을 대상으로 투베르쿨린 검사와 QuantiFERON-TB Gold 검사를 통해 잠복결핵을 진단하고, 잠복결핵을 치료한 후 투베르쿨린 검사와 QuantiFERON-TB Gold 검사의 변화를 알아보고자 하였다.방 법: 2006년 경상대학교 병원에 근무중인 의료인 중 48명의 지원자(의사 14명, 간호사 34명, 남:여=11:37, 평균연령=29.9±5.5세, 평균근무기간=74.9±64.3개월)를 대상으로 하였다. QuantiFERON-TB Gold 검사와 투베르쿨린 검사를 시행하여 의료인에서 잠복결핵을 진단하고 두 검사의 일치율을 알아보았다. 그리고 QuantiFERON-TB Gold 검사가 양성인 지원자를 대상으로 Isoniazid(INH, 300 mg/day)와 Rifampin(RFP, 600 mg/day)을 3개월간 투약한 후 다시 투베르쿨린 검사와 QuantiFERON-TB Gold 검사를 시행하여 잠복결핵 치료 전후 두 검사의 변화를 확인하고 경결의 양성 기준에 따른 투베르쿨린 검사와 Quanti FERON-TB Gold 검사의 일치율을 알아보았다.결 과: 48명의 지원자 중 투베르쿨린 검사는 경결 양성 기준을 10 mm 이상으로 하였을 때 19명(39.6%)에서 양성, QuantiFERON-TB Gold 검사는 8명(16.7%)에서 양성이었으며 두 검사의 일치율은 77.1%, κ값은 0.468이었고, 투베르쿨린 검사의 경결 양성 기준을 15 mm로 설정하면 두 검사의 일치율은 83.3%, κ값은 0.500이었다. 1명의 활동성 결핵 환자를 제외한 QuantiFERON-TB Gold 검사가 양성인 7명의 지원자에서 잠복결핵 치료 후에도 투베르쿨린 검사와 QuantiFERON-TB Gold 검사는 계속 양성이었다. 이들에게서 시행한 투베르쿨린 검사의 평균 경결은 잠복결핵 치료 전 19.1±9.7 mm, 치료 후 43.6±25.1 mm이었다.

Abstract

Background: The QuantiFERON-TB Gold assay and tuberculin skin test (TST) have been useful test for diagnosing latent tuberculosis infections (LTBI). However, there are few reports on the efficacy of the QuantiFERON-TB Gold assay and TST in evaluating the response after the treatment of LTBI. This study examined the changes in the TST and QuantiFERON-TB Gold assay before and after a treatment for latent tuberculosis in health care workers (HCWs) at a local tertiary hospital. Methods: A cohort of volunteers working as nurses and doctors who underwent a TST and QuantiFERON-TB Gold assay was established. The volunteers positive for the QuantiFERON-TB Gold assay had been treated with 3 months of isoniazid (INH) and rifampin (RFP). After completing treatment, the TST and QuantiFERON-TB Gold assay were repeated. Results: Of the 48 participants (14 doctors, 34 nurses, M: F=11:37, mean age=29.9±5.5 years, mean employment period=74.9±64.3 months), 19 (39.6%) tested positive to the TST (mean induration=19.1±9.7 mm) and 8 (16.7%) were QuantiFERON-TB Gold assay. Among them, one had active pulmonary tuberculosis. Seven volunteers were consistently positive to both the TST and QuantiFERON-TB Gold assay after being medicated with INH and RFP for 3 months. Conclusion: TST and QuantiFERON-TB Gold assay are unsuitable for evaluating the treatment response of LTBI because they were consistently positive both before and after the anti-tuberculosis medication. (Tuberc Respir Dis 2007; 62: 270-275)

최혜숙(경희의대) ; 최천웅(경희대학교) ; 강홍모(경희대학교) ; 유지홍(경희대학교) ; 박명재(경희대학교) pp.276-283
초록보기
초록

연구배경: 폐활량 검사는 간단하고 저렴한 폐질환의 선별 검사방법으로 흡연자나 호흡기 증상이 있는 환자에게 폐질환의 조기 발견을 위한 선별검사로 권고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간단하고 저렴한 탁상용 폐활량 기기들이 공급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환기장애 소견을 보인 환자를 대상으로 탁상용 폐활량기와 병원 폐기능 검사실의 폐활량기의 폐활량 측정값을 비교 분석하여 그 일치도를 알아보고 이를 통해 탁상용 폐활량기의 임상환경에서의 정확성과 두 기기간의 임상적 상호 대체 허용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방 법: 2006년 4월부터 2006년 9월까지 경희의료원 건강검진 센터에서 HI-801기로 폐활량검사를 시행한 사람들 중 환기장애 소견을 보인 환자를 대상으로 폐기능 검사실에서 Vmax spectra 22d 폐활량기로 재검사를 시행하였다.결 과: 총 109명의 환자가 참여하였으며, 이 중 남자가 70명(64.2%)이었다. HI-801 기와 Vmax spectra 22d기로 측정한 폐활량 값들은 각각FVC(3.03±0.62 vs. 3.38±0.67 L), FEV1(2.44±0.57 vs. 2.61±0.58 L), PEFR(5.83±2.01 vs. 7.70±2.11 L/s), FET(5.12±1.71 vs. 6.68±1.11 sec), FEF25%-75%(2.61± 1.09 vs. 2.48 ±1.08 L/s)였다. 두 기기간의 FVC, FEV1, PEFR, FEF25%-75% 측정값의 상관 계수는 각각 r= 0.93, 0.94, 0.81, 0.84였으며, FVC, FEV1은 Bland and Altman plot에서 95% 신뢰구간의 일치도 제한에서 각각 4%, 5% 만이 ±1.96SD 밖에 위치하였다.

Abstract

Background: A national health care initiative recommends routine spirometry screening of all smokers over age 45 or patients with respiratory symptoms. In response to the recommendation, new, simple, and inexpensive desktop spirometers for the purpose of promoting widespread spirometric screening were marketed. The performance of these spirometers was evaluated in vivo testing with healthy subjects. However, the clinical setting allows spirometric assessment of various pathologic combinations of flow and volume. Objectiv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accuracy of a desktop spirometer to a standard laboratory spirometer, in a clinical setting with&nbsp;pathologic pulmonary function. Method: In a health check-up center, where screening pulmonary funct test was performed using the HI-801 spirometer. Subjects who revealed the ventilation defect in screening spirometry, performed the spirometry again using the&nbsp;standard Vmax spectra 22d spirometer in a tertiary care hospital pulmonary function laboratory. Pulmonary function test with both spirometer was performed according to the guidelines of the American Thoracic Society. Results: 109 patients were enrolled.&nbsp; Pulmonary function measurements (FVC, FEV1, PEFR, FEF25%-75%) from the HI-801 correlated closely (r=0.94, 0.93, 0.81, 0.84, respectively) with those performed with the Vmax spectra 22d&nbsp;and showed the good limits of agreement and differences between the 2 devices; FVC +0.35 L, FEV1 +0.16 L, PEFR +1.85 L/s, FEF25%-75% -0.13 L/s. With the exception of FEV1, FEF25%-75%, these differences were significant(p<0.05) but small. Conclusion: The HI-801 spirometer is comparable to the standard laboratory spirometer, Vmax spectra 22d, with high accurary for FEV1 and FVC and&nbsp;acceptable differences for clinical use. (Tuberc Respir Dis 2007; 62: 276-283)

이창률(한림대학교) ; 장준(연세대학교) ; 안철민(연세대학교) ; 김형중(연세대학교) ; 장윤수(대진대학교) ; 김세규(연세대학교) ; 김성규(연세대학교) ; 정재희(연세의대) pp.284-289
초록보기
초록

연구배경: 상부소화호흡기암과 폐암의 연관관계가 있다는 것은 알려져 있지만 국내 임상발현 양상에 대한 보고는 부족한 상황이다. 이에 저자들은 폐암과 상부소화호흡기암이 동반된 경우 환자들이 어떠한 조직학적 유형과 임상경과를 보이는지 알고자 하였다.방 법: 1992년 1월부터 2005년 12월까지 13년동안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영동세브란스병원에서 진단된 상부소화호흡기암과 폐암이 진단된 20예를 대상으로 후향적으로 조직학적 유형과 임상 양상을 조사하였다.결 과: 1) 13년 동안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영동세브란스병원에서 상부소화호흡기암과 폐암이 진단된 20예 중 남자 19예, 여자 1예로 평균연령은 58.45세, 흡연자는 14예, 평균 흡연량은 46갑년이었다. 폐암과 상부소화호흡기암의 발생 순서에서 상부소화호흡기암 발생 후 폐암의 발생은 12예, 폐암 발생 후 상부소화호흡기암의 발생은 5예이었다. 2) 폐암과 상부소화호흡기암의 조직학적 차이를 확인해 볼 수 있었던 5예에서 면역 조직 화학 염색을 통해 조직학적으로 동일한 경우 3예, 다르다고 여겨진 경우가 2예에서 관찰되었다. 상부소화호흡기암 진단 후 폐암이 진단되는 기간은 평균 36.8개월이고 폐암 진단 후 상부소화호흡기암 진단이 되는 기간은 16.2개월이었다. 3) 상부소화호흡기암 진단 후 폐암이 진단된 경우 폐암의 치료로 수술을 시행한 예는 없으며 항암제치료 2예, 항암제치료와 방사선 치료 병행은 4예이었고 나마지 경우는 환자의 불량한 전신상태와 치료거부 등으로 보전적 치료를 행하였다.

Abstract

Background: To define the clinical features of patients with lung and upper aerodigestive tract cancer through a review of the histopathology, clinical features and follow-up results. Methods: Patients with lung and upper aerodigestive tract cancer who were diagnosed in Young dong Severance Hospital from 1992 to 2005, were retrospectively reviewed. The clinical data, radiologic findings, pathologic findings, treatment modalities were evaluated. Result: There was a total of 20 patients with aerodigestive tract cancer who were diagnosed with lung cancer over a 13 years period. The mean age was 58.45 ±15.09 years and 19 cases were male. There were 14 smokers with an average pack year of 46 years. Twelve patients had aerodigestive tract cancer and later developed lung cancer, and 5 lung cancer patients were later diagnosed with aerodigestive tract cancer.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cancers of the aerodigestive tract and lung can arise as either dependent or independent events and most aerodigestive tract cancer patients who developed lung cancer are not treated properly. Therefore, regular low dose chest CT with close suspicion is needed to properly manage upper aerodigestive tract cancer patients. (Tuberc Respir Dis 2007; 62: 284-289)

김정현(분당차병원) ; 박은영(분당차병원) ; 김원희(분당차병원) ; 박웅(분당차병원) ; 정혜철(분당차병원) ; 이지현(분당차병원) ; 김은경(분당차병원) pp.290-298
초록보기
초록

연구 배경: 흉수는 다양한 원인에 의하여 생성되며 임상적으로 여출액과 삼출액으로 구분하게 되며 삼출액일 경우에는 그 원인 질환들을 감별해야 하나 적용할 만한 표지자가 많지 않다. Soluble Triggering Receptor Expressed on Myeloid cells(sTREM-1)는 면역글로블린의 일종으로 세균이나 진균 감염에서 증가된다고 보고되어 있으며 활성화된 탐식세포에서 떨어져 나와 체액에서도 수용성 상태로 발견될 수 있다. 저자들은 흉수에서 sTREM-1의 측정이 흉수의 감별 진단에 유용한지와 감염성 질환에 의한 흉수에 대한 표지자로서 유용한지에 대한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4년 3월부터 2005년 12월까지 흉수를 주소로 내원한 환자들에서 흉수의 세포 수 및 백혈구 분획, 생화학적 검사(pH, protein, LDH, glucose), 세포진 검사, ADA, 미생물학적 검사 결과 이외에 sTREM-1을 측정하였다. 대상환자는 48명으로 남:여 각각 27:21명이었고, 평균 연령은 59세였다. 최종 진단은 암성 흉수는 13명, 결핵성 흉수는 14명, 부폐렴성 흉수는 17명, 여출성 흉수는 4명이었다. 결 과: 흉수의 sTREM-1은 부폐렴성 흉수에서 344.0 ±488.7 pg/mL로 결핵성 흉수(81.7±56.6 pg/mL)와 악성 흉수(39.3±19.6 pg/mL)보다 높게 측정되었다. 부폐렴성 흉수에 대한 sTREM-1의 ROC 곡선 결과 55.4 pg/mL에서 민감도와 특이도가 각각 70.6%와 74.1%로 측정되었다. 또한 흉수 sTREM-1은 흉수의 호중구수, 흉수 LDH, 흉수/혈청 LDH, 흉수 ADA와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Abstract

Background: The currently available diagnostic markers for pleural effusion have a limited role. The soluble triggering receptor expressed on myeloid cells-1 (sTREM-1) is a molecule recently reported to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myeloid cell mediated inflammatory response, and is up regulated in the body fluid by bacterial or fungal products. This study examined the expression of sTREM-1 in pleural effusion. Methods: Between April 2004 and December 2005, 48 patients with pleural effusions were enrolled in this study. The pleural fluids were taken and analyzed for the total protein, glucose, lactate dehydrogenase (LDH), adenosine deaminase (ADA), and sTREM-1. Bacterial cultures and cytology tests were also performed. Results: The clinical diagnoses were 17 parapneumonic, 14 tuberculous, and 13 malignant effusions. Four patients presented with transudates. The mean ages of the parapneumonic, tuberculous and malignant effusion groups were 57.1±19.7, 49.5±18.6, 66.9±15.5, and 76.0±18.1. respectively. The level of sTREM-1 expression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parapneumonic effusions (344.0±488.7) than in the tuberculous effusions (81.7±56.6) and malignant effusions (39.3±19.6). With a cut-off value of 55.4pg/ml, the sensitivity and specificity for a parapneumonic effusion was 70.6% and 74.1%. Conclusion: sTREM-1 expression is significantly higher in parapneumonic effusions, suggesting its potential role as an additional diagnostic marker for pleural effusions. (Tuberc Respir Dis 2007; 62: 290-298)

전은주(중앙의대) ; 신종욱(중앙대학교) ; 최병휘(중앙대학교) ; 김재열(중앙대학교) ; 최재철(중앙대학교) ; 박인원(중앙대학교) ; 곽희원(중앙의대) ; 송주한(중앙의대) ; 이영우(중앙의대) ; 정재우(중앙의대) pp.299-307
초록보기
초록

배 경: HMGB1은 염증반응의 후기에 분비되는 중요한 염증유발물질 중 하나이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에 염증유발물질로 잘 알려진 LPS와 새롭게 염증유발물질로 관심을 받고있는 HMGB1의 염증유발작용을 생체 외 및 생체 내 실험을 통해 비교하고자 하였다. 또한 HMGB1의 자극에 의한 IL-8 promoter region의 활성화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는 전사인자들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방 법: RAW264.7 세포에 LPS(100 ng/ml) 또는 HMGB1(500 ng/ml)을 투여하고 각각 0, 2, 4, 8, 12 그리고 24시간 뒤에 세포상층액의 TNF-α, MIP-2 그리고 IL-1β의 농도를 ELISA법으로 측정하였다. 생쥐의 복강에 LPS(5 mg/kg) 또는 HMGB1(2.5 mg/kg)을 주입하여 급성폐손상을 유발한 후에 폐의 사이토카인의 발현과 MPO 활성도를 측정하였다(LPS는 4시간 뒤, HMGB1은 24 시간 뒤). IL-8 promoter 부위에 있는 NF-IL6, NF-κB 그리고 AP-1에 대한 결합부위에 대해 돌연변이를 일으킨 후에 각각의 돌연변이체를 pIL-6luc에 결합시킨 뒤 RAW264.7 세포에 삽입하였다. 이 세포들을 36시간 배양한 후에 HMGB1(500 ng/ml)으로 자극하고, 한 시간 뒤에 세포를 녹인 후 luciferase 활성도를 측정하였다. 결 과: LPS 투여 후에 RAW264.7 세포 배양상층액의 TNF-α농도는 24시간 뒤에, MIP-2 농도는 8시간 뒤에 최고치를 보였다. 한편 HMGB1 투여 후에는 TNF-α와 MIP-2 농도 모두 24시간 뒤에 최고치를 나타내었다. LPS 복강 내 투여 후 4시간 뒤에 생쥐의 폐의 TNF-α, MIP-2 그리고 IL-1β의 농도는 대조군에 비해 현저히 증가하였으나, HMGB1 복강 내 투여 후 24시간 뒤에 생쥐의 폐에서는 IL-1β의 농도만 약간 증가하였다. MPO 활성도는 LPS와 HMGB1 투여 후에 모두 증가하였으며, LPS 투여 후가 더 의미있게 증가하였다. NF-κB 돌연변이체와 AP-1 돌연변이체에서 luciferase 활성도가 의미있게 감소하였다.

Abstract

Background: High mobility group box 1 (HMGB1) is a novel, late mediator of inflammation. This study compared the pro-inflammatory effects of LPS and HMGB1. The transcriptional factors that play an important role in mediating the HMGB1-induced stimulation of IL-8 were also evaluated. Methods: RAW264.7 cells were stimulated with either LPS (100 ng/ml) or HMGB1 (500 ng/ml). The TNF-α, MIP-2 and IL-1β levels in the supernatant were evaluated by ELISA at 0, 2, 4, 8, 12 and 24h after stimulation. An acute lung injury was induced by an injection of LPS (5 mg/kg) or HMGB1 (2.5 mg/kg) into the peritoneum of the Balb/c mice. The lung cytokines and MPO activity were measured at 4h (for LPS) or 24h (for HMGB1) after the injection. The transcriptional factor binding sites for NF-IL6, NF-κB and AP-1 in the IL-8 promoter region were artificially mutated. Each mutant was ligated with pIL-6luc and transfected into the RAW264.7 cells. One hour after stimulation with HMGB1 (500 ng/ml), the cell lysate was analyzed for the luciferase activity. Results: The expression of MIP-2, which peaked at 8h with LPS stimulation, increased sequentially until 24h after HMGB1 stimulation. An intraperitoneal injection of HMGB1, which induced a minimal increased in IL-1β expression, provoked the accumulation of neutrophils the lung. A mutation of AP-1 as well as NF-κB in the IL-8 promoter region resulted in a lower luciferase activity after HMGB1 stimulation. Conclusion: The proinflammatory effects of HMGB1, particularly on IL-8, are mediated by both NF-κB and AP-1. (Tuberc Respir Dis 2007; 62: 299-307)

이규성(아주대학교) ; 김영선(중앙대학교) ; 박주헌(아주대학교) ; 황성철(아주대학교) ; 오윤정(이화여자대학교) ; 신승수(아주대학교) ; 박광주(아주대학교) ; 이형노(아주대학교) ; 최영화(아주대학교) pp.308-313
초록보기
초록

연구배경: 패혈증에서 Nitric oxide 스테로이드 호르몬은 혈역학적 변화와 염증반응에 관여하는데 이 두 인자는 서로 상관성이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하지만 실제 환자에서 서로의 상관성이나 임상적 의의는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방 법: 패혈증 환자 26예와 대조군 14예를 대상으로 혈중 총 NO와 혈중 코티졸 농도를 측정하였고 이어서 제 3, 5, 7병일에도 연속적으로 측정을 하였다. 결 과: 패혈증 환자군에서 초기 혈중 코티졸 및 총 NO 농도는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경증 패혈증에 비하여 중증 패혈증 환자군에서 유의하게 높았다. 초기 혈중 총 NO의 농도는 APACHE II 점수, 정맥혈 lactate 농도와 상관성이 있었다. 패혈증의 시간의 경과에 따라 혈중 NO 농도는 제 1병일, 제 5병일, 제 7병일에 혈중 코티졸의 농도와 유의한 상관성이 있었다.

Abstract

Background: The nitric oxide (NO) released by inducible NO synthase (iNOS)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pathophysiology of sepsis. Corticosteroids also play a role in the hemodynamic and inflammatory reactions in sepsis. Both have been shown to have a relationship theoretically, but their correlation and clinical impacts have rarely been evaluated. Methods: 26 patients with sepsis and 14 healthy controls were enrolled in this study. The initial random plasma total NO and the serum cortisol levels were measured. The same measurements were serially carried out on the 3rd, 5th, and 7th days. Results: The initial total plasma levels of NO and cortisol were higher in the patients with sepsis than in the healthy controls. The total NO levels were higher in patients with severe sepsis than in the those with mild sepsis. There was a correlation between the total NO and cortisol level throughout the study. Conclusion: In patients with sepsis, the levels of plasma NO and cortisol were well correlated during the first week of sepsis, which suggests an interrelationship. However, the clinical and pathogenetic implications await further evaluation. (Tuberc Respir Dis 2007; 62: 308-313)

최상문(인제의대) ; 이성순(인제대학교) ; 최석진(인제대학교) ; 허진원(울산대학교) ; 이영민(인제대학교) ; 이혁표(인제대학교) ; 김주인(인제대학교) ; 염호기(인제대학교) ; 최수전(인제대학교) ; 서정숙(인제의대) ; 한양천(인제의대) ; 김애란(인제의대) ; 이현경(인제의대) pp.314-317
초록보기
초록

아연 증기의 흡입은 금속흄열을 일으키고 대개는 자연히 회복되지만 치명적인 폐손상이 일어나는 경우도 있다. 저자들은 43세 남자가 밀폐된 공간에서 아연제련작업 후 6시간 지나 급성호흡곤란증후군이 발생한 증례에서 NAC과 methylprednisolone을 주사하여 성공적으로 치료한 예를 경험하여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한다.

Abstract

The Inhalation of certain freshly formed metal oxides can cause metal fume fever, which is an acute, self-limiting, flu-like illness. The most common cause of this syndrome is the inhalation of zinc oxide. The inhalation of zinc oxide can lead to tracheobronchiolitis, chemical pulmonary edema or to respiratory failure and acute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ARDS). We encountered a 43-years-old man who developed severe dyspnea after inhaling of zinc oxide while working for 5 hours in a closed space. He was diagnosed with ARDS and was treated successfully with glucocorticoid. We report a case of ARDS caused by the inhalation of zinc fumes. (Tuberc Respir Dis 2007; 62: 314-317)

임소연(이화여자대학교) ; 이진화(이화여자대학교) ; 천은미(이화여자대학교) ; 김유경(이화여자대학교) ; 안재호(이화여자대학교) ; 류연주(이화여자대학교) ; 이정경(이화여자대학교) ; 성순희(이화여자대학교) ; 장중현(이화여자대학교) ; 김태헌(이화여자대학교) ; 심윤수(이화의대) pp.318-322
초록보기
초록

최근 평균수명의 연장과 진단 및 치료 방법의 발달로 원발성 중복암의 발견율이 높아지고 있다. 폐와 간에 발생한 중복암, 특히 동시성 중복암에 대한 보고는 매우 드물다. 저자 등은 만성기침을 호소하는 73세 남자에서 폐의 편평상피세포암을 진단한 후, 복부초음파에서 간 종괴를 발견하여 폐암의 전이를 의심하였으나 FDG-PET에 간 전이가 없어서 초음파 유도로 간 생검을 시행한 결과 간세포암을 진단하여, 폐와 간의 동시성 중복암을 경험하였기에 문헌고찰과 더불어 보고한다.

Abstract

Although reports of multiple primary malignant tumors have increased recently, cases of synchronous double primary tumors of lung and liver are rare. A 73-year-old man suffered from chronic cough. His chest x-ray showed segmental atelectasis of the right upper lobe. Bronchoscopy revealed a mass occluding the orifice of the anterior segmental bronchus of the right upper lobe, and a biopsy showed a squamous cell carcinoma. A synchronous hepatic mass was found by ultrasonography. However, F18-FDG-PET showed no evidence of a distant metastasis. The liver biopsy revealed a hepatocellular carcinoma. A right upper lobe lobectomy and a sleeve resection were performed for the lung cancer, and radiofrequency ablation was performed for the hepatocellular carcinoma. (Tuberc Respir Dis 2007; 62: 318-322)

김기욱(부산의대) ; 이민기(부산대학교) ; 이창훈(부산대학교) ; 이호석(부산대학교) ; 김영대(부산대학교) ; 김윤성(부산대학교) ; 김지은(부산의대) ; 조우성(부산의대) ; 이지석(부산의대) ; 박혜경(부산의대) pp.323-330
초록보기
초록

저자들은 흉수로 내원하여 결핵성 흉막염 진단 하에 항결핵약제로 치료 시작 후 호전이 없어 시행한 수술적 생검에서 흉막 악성 중피종으로 확진된 3예를 경험하였기에 국내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Abstract

Malignant pleural mesothelioma(MPM) is an uncommon neoplasm which is originated from pleural mesothelial cells. The majority of MPM is associated with prior asbestos exposure. Patients often present with chest pain and dyspnea due to pleural effusion, which might be diagnosed with tuberculous pleurisy especially in Korea. MPM is well known for its poor prognosis with a median survival time of less than 12 months after diagnosis and no established standard treatment modality. We report 3 cases of MPM confirmed by video-assisted thoracoscopic biopsy first misdiagnosed as tuberculous pleurisy. (Tuberc Respir Dis 2007; 62: 323-330)

이재형(을지의대) ; 강정호(한양대학교) ; 김태형(한양대학교) ; 손장원(한양대학교) ; 윤호주(한양대학교) ; 신동호(한양대학교) ; 박찬금(한양대학교) ; 박성수(한양대학교) ; 김일옥(한양의대) ; 이희경(한양의대) ; 민경환(한양의대) ; 김상헌(한양대학교) pp.331-335
초록보기
초록

전종격동 하부에 심장과 연접한 이소성 흉선종은 폐암뿐 아니라 흉선종, 생식세포암, 림프종, 전이성 종양 등의 여러 질환과 감별이 필요하다. 병리조직상으로는 이소성 흉선종에 대한 주의가 없는 경우, 미분화상피암, 암성병변의 림프절 전이, 또는 림프구가 우세하게 관찰되는 경우 림프종 등으로 오진될 수도 있으므로 감별진단에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또한 낭성 흉선종은 이러한 감별진단을 더욱 어렵게 한다.

Abstract

A thymoma commonly occurs in the superior mediastinum or the upper part of the anterior mediastinum but can be located in other places in rare cases. Cystic degeneration in a thymoma is a relatively common but focal event. In rare cases, the process proceeds to the extent that most if not all of the lesion becomes cystic. We report a case of a patient with a paracardial cystic thymoma in the lower aspect of the anterior mediastinum. A 49-year-old woman was referred to our hospital because of a mass discovered incidentally on a chest X-ray. She showed no symptoms or signs. Contrast-enhanced chest CT scan revealed a 5x5cm sized, well-marginated, right paracardial cystic mass with a curvilinear and oval enhancing solid portion. A Surgical resection was performed. The mass was discontinuous with normal thymic tissue. Microscopy revealed a type B1 thymoma with prominent foci of medullary differentiation according to the WHO classification. There was no capsular or local invasion. The postoperative course was uneventful and the patient was discharged in good health. (Tuberc Respir Dis 2007; 62: 331-335)

Tuberculosis & Respiratory Diseas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