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논문 상세

Home > 논문 상세
  • P-ISSN 2671-8197
  • E-ISSN 2733-936X

18세기 왕실문헌의 구개음화와 원순모음화

The Phonological Changes in the 18th Century Royal Literatures

한국학 / Korean Studies Quarterly, (P)2671-8197; (E)2733-936X
2006, v.29 no.1, pp.127-157
김주필 (국민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18세기 왕실 문헌에서 구개음화는 ≪어졔내훈≫에 1%, ≪어졔상훈언해≫에 0.4%, ≪어졔훈서언해≫에 2.7%, ≪어경≫에 8.7%로 ≪윤음≫에 89%로 나타났다. 그리고 ‘ㆍ’의 변화로 인해 거의 나타나지 않는 ‘ㆍ>ㅗ’ 변화를 제외한 ‘ㅡ>ㅜ’ 원순모음화는 ≪어졔내훈≫에 2.5%, ≪어졔상훈언해≫에 5.2%, ≪어졔훈서언해≫에 3.7%, ≪어경≫에 1.6%, ≪윤음≫에 15.5%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18세기의 왕실 문헌에서의 구개음화와 ‘ㅡ>ㅜ’ 원순모음화는 다른 사회적 부류의 문헌과 달리 18세기 중기까지 미미한 상태에서 느리게 확산되다가 18세기 후기에 급속도로 확산되어 S자 곡선과 같은 보편적인 음운변화의 과정을 보인다. 그러므로 왕실 문헌의 구개음화와 ‘ㅡ>ㅜ’ 원순모음화는 역서류 문헌, 자석류 문헌, 불서류 문헌 등에 비해 매우 느리게 확산되는 특성을 보인다. 이와 같이 보수적인 특성을 보여주는 왕실 문헌의 언어 사용 상태는 사회언어학적 접근에서 드러나는 상류층의 언어 사용과 같은바, 그것은 왕실 문헌의 간행에 관여한 사람들이 사대부라는 상류층이었기 때문이라 할 수 있다. 국어의 음운변화에서 드러나는 이러한 특성을 바탕으로, 국어의 역사적 연구는 그 간행에 관여한 사람들의 사회적 특성에 따라 분류한 문헌의 부류별로 이루어질 때 보다 구체적이고 정확한 변화의 과정을 밝힐 수 있을 것이다.

keywords
royal literatures, palatalization, the change of unround vowels into round ones, phonological changes, the S-curve, socio-linguistic approaches, 왕실 문헌, 구개음화, 원순모음화, 음운변화, S자 곡선, 사회언어학적 접근

Abstract

The rates of palatalization in the 18th royal literatures are as follows: 1% in Eoje Naehun, 0.4 % in Eoje Sanghuneonhae, 2.7% in Eoje Hunseoeonhae, 8.7% in Eoje and Kyeongsyemundap, and 89% in Yuneum. Excluding ‘˄>o’ vowel change which is not seen due to the change of the vowel ‘˄' itself, the rates of the ‘ɨ>u’ vowel change (the change of unround vowels into round ones) are as follows: 2.5% in Eoje Naehun, 5.2% in Eoje Sanghuneonhae, 3.7% in Eoje Hunseoeonhae, 1.6% in Eoje and Kyeongsyemundap, and 15.5% in Yuneum. It can be concluded, therefore, that the palatalization and the ‘ɨ>u’ vowel change in the 18th century royal literatures spread slowly until the middle 18th century, but that it spread quite rapidly in the late 18th century, showing the universal pattern of phonological changes of the S-curve. The palatalization and the ‘ɨ>u' vowel change in the 18th century royal literatures, compared with those in translation literatures, Sino-Korean teaching materials, and Korean versions of Buddhist scriptures, show the feature that their diffusion was very slow. This conservative feature of the language use in the royal literatures can also be seen in the language use among the upper classes revealed from socio-linguistic approaches. The reason is that those who took part in the publishing of the royal literatures were members of the upper classes themselv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phonological changes shows that the historical study of the Korean language can be conducted in a more concrete and precise way, when it takes into account the various kind of literatures written by each social group that followed its own language practices.

keywords
royal literatures, palatalization, the change of unround vowels into round ones, phonological changes, the S-curve, socio-linguistic approaches, 왕실 문헌, 구개음화, 원순모음화, 음운변화, S자 곡선, 사회언어학적 접근


참고문헌

1

곽충구, (1990) 원순모음화 및 비원순모음화 , 동아출판사

2

곽충구, (2001) 구개음화 규칙의 발생과 그 확산, 진단학회

3

김주원, (1997) 구개음화와 과도교정, 국어학회

4

김주필, (1985) 구개음화에 대한 통시론적 연구, 국어연구회

5

김주필, (1994) 17ㆍ8세기 구개음화와 관련 음운현상에 대한 통시론적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6

김주필, (1998) 음운변화와 표기의 대응관계, 국어학회

7

김주필, (2004a) 영조의 어졔에 나타난 ‘ㆍ’와 ‘ㅡ’의 표기와 음성 실현 양상, 국민대 어문학연구소

8

김주필, (2004b) 18세기 중ㆍ후기 왕실 자료의 ‘ㆍ’ 변화, 한국어문교육연구회

9

김주필, (2004c) 18세기 역서류 문헌과 왕실 문헌의 음운현상,

10

박용만, (2004) 영조 어제책의 자료적 성격,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1

박종희, (2001) 원순모음화 현상의 음운사적 연구, 국어국문학회

12

백두현, (1988) 오, 으, 우’의 대립관계와 원순모음화, 국어학회

13

백두현, (1992b) 원순모음화 ‘ㆍ>ㅗ’형의 분포와 통시성, 국어학회

14

송민, (1986) 전기 근대국어 음운론 연구, 태학사

15

안병희, (1999) 왕실 자료의 한글 필사본에 대한 국어학적 검토,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6

이기문, (1961) 국어사 개설, 민중서관

17

이기문, (1972) 국어 음운사 연구, 탑출판사

18

이래호, (2002) 장서각 소장 유일본 어졔에 대한 국어학적 연구,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

이병근, (1970) 19세기 후기 국어의 모음체계, 학술원

20

이병근, (1976) 19세기 국어의 모음체계와 모음조화, 국어국문학회

21

이숭녕, (1949) 조선어 음운론 연구 제1집, 을유문화사

22

이현희, (1999) 장서각 소장의 영조대 한글 문헌, 한국정신문화연구원

23

전광현, (1967) 17세기 국어의 연구, 국어연구회

24

전광현, (1971) 18세기 후기국어의 일고찰, 전북대

25

최전승, (1986) 19세기 후기 전라방언의 음운현상과 그 역사성, 한신문화사

26

최전승, (1987) 언어 변화와 과도교정의 기능 국어학 신연구Ⅱ, 탑출판사

27

최전승, (1999) 원순모음화 현상의 내적 발달과 개별 방언어휘적 특질, 국어문학회

28

홍윤표, (1994) 근대국어 연구 1, 태학사

29

Chen, (1971) The time variable in phonological change Journal of Linguistics,

30

Kim, Joo-phil, (2001) The Dynamic Pattern of t-Palatalization and its Hypercorrection Historical Data from the Korean Central Dialect , Institute of the Korean Studies

31

Kiparsky, (1996) The Handbook of Phonological Theory., Cambridge: Blackwell Publishers

32

(1972)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Inc,

33

(1974) The Social Differentiation of English in Norwich, Cambridge University Press

34

Wang, (1969) Competing Change as a cause of residue,

상단으로 이동

한국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