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논문 상세

Home > 논문 상세
  • P-ISSN 2671-8197
  • E-ISSN 2733-936X

조선시대 교육의 젠더 지형도

Topographical Map of Gender in the Education of Chosun Period

한국학 / Korean Studies Quarterly, (P)2671-8197; (E)2733-936X
2006, v.29 no.1, pp.333-368
이숙인 (서울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이 글은 조선시대의 교육문화를 젠더 권력관계의 창출이라는 점에서 조명한 것이다. 현대의 전망과 관련하여 전통 교육은 두 가지의 측면에서 재검토되어야 하는데, 하나는 여성 교육 부문이고, 다른 하나는 덕성 교육이다. 첫째, 조선시대의 여성 교육은 ‘인간(남성)’을 대상으로 한 전통 교육의 일반 범주나 공사(公私)로 영역을 구분하는 현대 교육의 기준으로 접근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즉 여성교육은 사회적 지위를 얻는 것과 무관하지만, 그녀들의 먹고 자는 일상의 공간 자체가 교육의 현장이었고, 시청언동(視聽言動)의 모든 몸놀림은 교육의 주제였다. 여기서 교육이란 배움[學]과 관련한 이데올로기 생산 및 확산의 전(全)과정으로 이해되었다. 둘째, 조선시대의 덕성 교육은 젠더 권력관계를 창출해낸 전통적인 방식에 불과하다. 덕성은 타고난 것이기보다 사회적 위치와 기대역할에 따라 내재화해야 할 사회적이고 구성적인 개념이다. 마음과 결부되어 자발성이 강조되는 덕성은 피지배자의 주체적 동의를 끌어내는 방식으로 교육에 활용된 것이다. 이상을 통해 조선시대의 교육은 치자(治者)와 피치자(被治者)의 관계가 교육자와 피교육자로 전화되는 유학의 맥락에서 ‘부리는[使]’ 남자와 ‘섬기는[事]’ 여자로 젠더화되었음을 논증하였다.

keywords
전통교육, 젠더권력, 덕성, 부림과 섬김, traditional education, gender power, virtue, controlling and serving

Abstract

This paper illuminates the education culture in Chosun period in terms of the production of gender power. The traditional education related with the modern perspective should be reexamined in two respects: one is the education for women and the other is the education of virtue. First, the education for women in Chosun period can not be understood through the general categorization for the traditional education which intended for ‘men(male)' or the view of modern education which divides the sphere of the public and the private. That is, though the education for women had nothing with the achievement of social promotion, the everyday life space was the field of education and all their behaviors were the subjects of education. At the moment, the education was understood as the whole process of producing and expanding the dominant ideology associated with ‘learning'. Second, the education of virtue in Chosun period was just the traditional method which created the hierarchial gender relationship. The virtue was a social construct that required to be internalized according to the social position and the expected role, not an innate one. The virtue including the spontaneity related with mind was used in the education in a way of bringing out the active consent of the governed. In conclusion, this paper shows that the education in Chosun period was a gendered system that produced ‘controlling' man and ‘serving' woman in the context of transferring the relation between the governor and the governed into the relation between the educator and the educatee.

keywords
전통교육, 젠더권력, 덕성, 부림과 섬김, traditional education, gender power, virtue, controlling and serving


참고문헌

1

김언순, (2005) 朝鮮時代 女訓書에 나타난 女性의 正體性 연구,

2

김태완, (2004) 책문-시대의 물음에 답하라, 소나무

3

손직수, (1980) 李朝時代의 女性敎育에 관한 硏究, 성균관대

4

신동은, (2004) 『小學』의 교육적 원리 연구, 교육철학연구

5

이동연, (2002) 조선후기 女性治産과 <福善禍淫歌> ,

6

유미림, (2004) 조선 후기의 젠더의식에 관한 연구: 이덕무의 사소절을 중심으로, 정신문화연구

7

이숙인, (2005) 동아시아 고대의 여성사상, 도서출판 여이연

8

이숙인, (2001) 貞淫’과 ‘德色’의 개념으로 본 유교의 성담론, 한국철학회

9

이숙인, (2005) 조선시대 여성 지식의 성격과 그 구성원리 ―임윤지당과 강정일당을 중심으로―, 동양철학

10

정순우, (1999) 한국전통사상의 문화교육적 의의,

11

정재걸, (1989) 朝鮮前期 敎化硏究, 서울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2

조르주 장, (1995) 문자의 역사, 서울: 시공사

13

조혜란, (2003) 17세기 조선의 규방 현실에 대한 報告,

14

황금중, (2002) 성리학에서의 소학 대학 교육과정론: 주자, 퇴계, 율곡의 견해를 중심으로, 한국사상과 문화

15

陳東原, (1937) 中國婦女生活史,

상단으로 이동

한국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