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논문 상세

Home > 논문 상세
  • P-ISSN 2671-8197
  • E-ISSN 2733-936X

근대소설에 나타난 타자성 경험의 이중적 양상: 염상섭 「만세전」을 중심으로

Dual Aspect of Otherness in Modern Novels: In Yeom Sang-seob's Mansejun

한국학 / Korean Studies Quarterly, (P)2671-8197; (E)2733-936X
2007, v.30 no.1, pp.173-194
https://doi.org/10.25024/ksq.30.1.200703.173
홍순애 (동덕여자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고에서는 만세전에서 보이는 주체로서의 동일자가 타자에 대응하면서 타자를 배재하는 과정, 또는 타자에 의해 주체가 어떻게 타자화 되는지에 대해 고찰했으며, 동시에 피식민지와 식민지의 영토라는 두 공간에서 타자화의 방식이 어떠한 양상으로 표상되며 변이되는지 살펴보았다. 만세전은 식민지인으로서 자아를 되찾는 동시에 식민본국이라는 바깥을 되살피는 과정을 묘사하고 있으며, 여행을 통해 제시되는 여정은 식민지 백성에게 부과된 권력자의 일망감시적 시선에 노출된 자아의 심리를 다각도로 조망함으로써 원형감옥과 같은 심리적 지형도를 제시하고 있다. 자기정체성을 부정하던 ‘나’가 부끄러움이라는 정서적 환기를 통해, 그리고 ‘타자화’된 위치의 전도를 통해 객관적 현실을 내면화함으로써 ‘신생’의 빛을 추구하고 있는 것이다. 즉, 반성적 사유를 통해 형성된 ‘나’는 고정된 객체가 아니라 끊임없이 진동하는 주체이며, 이러한 진동이 내면을 형성할 수 있게 하는 동력이 되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타자성’은 염상섭이 자신의 소설에서 재현하고자 했던 근대인의 초상을 해부하는 기제로 사용됨으로써 소설에서 한 개인이 근대인으로 갱신되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keywords
타자성, 주체, 자기반영적 사고, 일망감시체제, 자기고백 서술, otherness, subject, self-reflective thought, panopticon, self-confession narrative

Abstract

This study on Yeom Sang-seob's Mansejun by focusing on the course wherein identical people as subject entities respond to others and simultaneously exclude others, or how subject are made by others to otherness. And the study how otherness is manifested and transformed in two areas of the colonized people and colonists. Mansejun is described in the way that the colonized people stand as borderline men who can neither be assimilated perfectly with the imperial nation, nor be loyal to their homeland. And the journey presented therein sheds various lights on colonized people's self psychologies exposed to the panoptic watching of the regime thus presenting a psychological geographical map of a panopticon. It can be likened to the situation where “I” who negated self-identity, internalizes the objective reality through the emotional ventilation of shame, and through the conversion of the position of transformed into becoming others thus pursuing the light of new birth. Likewise, “I” who has been formed through reflective thinking is not a fixed object, but continuously vibrating subject, and this vibration serves as an engine that enables the formation of inner being. Thus, otherness is used as a mechanism designed to anatomize the portrait of modern people that Yeom Sang-seob tried to depict in his novels, thus showing how an individual is renewed into a modern person in the novel.

keywords
타자성, 주체, 자기반영적 사고, 일망감시체제, 자기고백 서술, otherness, subject, self-reflective thought, panopticon, self-confession narrative


참고문헌

1

(1999) 모더니티와 타자의 현상학, 서울: 솔출판사

2

(2003) 염상섭 소설의 탈식민성: 만세전과삼대를 중심으로,

3

(1987) 염상섭 문학연구, 민음사

4

(2006) 근대소설의 형성과 우울한 남자: 염상섭의 만세전을 대상으로,

5

(2002) 만세전과 근대성,

6

(2001) 근대서사와 탈식민주의, 서울: 문예출판사

7

(2002) 만세전에 나타난 알레고리 연구,

8

(1993) 한국 근대 고백체 소설 연구,

9

(2001) 근대적 주체의 시선에 포착된 타자들: 염상섭 만세전의 경우,

10

(2003) 제국의 지도 그리기. 탈식민주의 이론과 쟁점, 서울: 문학과지성사

11

(2002) <만세전>의 탈식민주의적 읽기를 위한 시론. 한국근대문학과 일본, 서울: 소명출판

12

(2002) <만세전>의 이인화 탐구,

13

(1987) 염상섭 문학 연구, 민음사

14

(2001) 1920년대 문학의 재인식, 서울: 깊은샘

15

(2003) 한국근대소설의 식민지 경험과 서사전략연구: 염상섭과 최인훈을 중심으로,

16

(2002) 염상섭의 탈식민주의적 글쓰기. 한국현대 문학의 글쓰기 양상, 서울: 도서출판 월인

17

(1985) 염상섭 전반기 소설 연구 아세아 문화사,

18

(1987) 염상섭 소설전집 1, 민음사

19

(1981) 한국문학의 이해, 새문사

20

(1996) 만세전> 원작론. 한국문학의 원근법, 서울: 민음사

21

(2000) 만세전의 서술기법과 구조연구,

22

(1987) 염상섭 문학연구, 민음사

23

(1982) 염상섭 연구, 새문사

24

(2000) 20세기 한국문학과 근대성의 변증법, 서울: 소명출판

25

(1997) 프로이트와 문학의 이해, 서울: 문학과 지성사

26

(1994) 감시와 처벌, 나남출판

27

(1987) 문학사회학과 대화이론,

28

(1999) The Distinction of Fiction, Baltimore: The Johns Hopkins U.P

29

(2001) Imperial Eyes: Travel Writing and Transculturation, London: Loutledge

30

(1992) The Question of Value in Moden and Postcolonical Writing,

상단으로 이동

한국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