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논문 상세

Home > 논문 상세
  • P-ISSN 2671-8197
  • E-ISSN 2733-936X

무성영화 <아리랑>의 탈식민성에 대한 접근: 유럽이 지방화된 식민적 근대성의 멜로드라마와 수용을 중심으로

An Approach to the Postcoloniality of Silent Cinema, Arirang: Colonial Modernity, Melodrama and ‘Provincializing Europe’

한국학 / Korean Studies Quarterly, (P)2671-8197; (E)2733-936X
2007, v.30 no.1, pp.195-219
https://doi.org/10.25024/ksq.30.1.200703.195
주창규 (동국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필름이 남아 있지 않은 현실에서 무성영화 <아리랑>의 탈식민성에 접근하고 있는 본 논문은 이 영화가 민족주의 역사기술에 의해 반식민적인 것으로 신화화 되었다는 점을 비판적으로 인식하지만 탈신화화의 과정을 통해서 신화화가 완전히 전유하지 못한 역사성을 탈식민적으로 규명하려고 시도한다. 이러한 기획을 위해서 본 논문은 다음의 두 가지 방법론을 새롭게 시도하고 있다. 1) 역사적 현실로서 식민적 근대성에 대한 탈식민적 해석의 전략으로서 ‘시간 지체’(호미 바바)와 ‘유럽의 지방화’(디페쉬 차크라바르티) 양자가 결합된 역사기술. 2) 식민적 근대성에 대한 문화적 반응이자 ‘클러스터로서 멜로드라마’(벤 싱어)와 유럽이 지방화된 변사의 연행과 관객성을 통해서 <아리랑>의 텍스트성과 수용의 양상에 대한 분석. 이런 방법론을 적용시켰을 때, <아리랑>의 텍스트성은 근대성과 식민주의에 동시에 반응하는 ‘새로운 지각양식’(발터 벤야민)으로서 식민적 근대성의 문화적 표현과 경험이며 그것은 선형적인 단계론적인 역사주의에 기초한 ‘민족의 알레고리’(프레데릭 제임슨)라기 보다는 식민주의가 근대성으로부터 투사되어 나오는 ‘시간 지체’의 알레고리임을 논증 하고, ‘비전통적인 전통’으로서 변사와 관객의 구술성이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 그 수용의 양상은 제국이 검열할 수 없었던, 근대성의 내재적인 외재성으로서 ‘저항적 차이’를 가지는 것이었음을 살펴보고 있다. 제국의 ‘불가능성의 역사’ 속에 <아리랑>의 탈식민성을 위치시킨 본 논문은 결과적으로 ‘수탈과 저항의 이분법을 넘어선 저항적 차이’와 ‘유럽이 지방화된 공론장’이라는 ‘가능성의 역사’를 함축한다.

keywords
Arirang, colonial modernity, time lag, alternative public sphere, melodrama, <아리랑>, 식민적 근대성, 시간 지체, 대안적 공론장, 멜로드라마

Abstract

This paper attempts to identify with the postcoloniality of silent cinema, Arirang(Na Un Kyu, 1926). For analysing the textuality and the reception history of that film, this paper methodly designs postnational historiography through ‘time lag’(Homi Bhabha) and ‘provincializing Europe’(Dipesh Chakrabarty), which are the historical reality and interpretative strategy of colonial modernity in Korea, and also give access to subaltern histories beyond historicism. So this paper discuss that film's textuality as melodrama which is a cultural response and expression to colonial modernity, and the reception of that film as ‘recalcitrant resistance with difference’ which the Japan Empire could not censor. The latter's why? In Arirang, Byunsa's the performative oral excess and spectatorship as ‘rumor’ couldn't be controlled by the government official of empire. Consequently, this paper suggests the alternative public sphere which is based on the ‘untraditional tradition.’

keywords
Arirang, colonial modernity, time lag, alternative public sphere, melodrama, <아리랑>, 식민적 근대성, 시간 지체, 대안적 공론장, 멜로드라마


참고문헌

1

(≪每日新報≫1926년10월10일자) 新映畵 ‘아리랑’을 보고,

2

(2005) 일제하 서울에서의 식민권력의 지배전략과 도시공간의 정치학,

3

(≪매일신보≫1925년1월3일자) 김영환 映畵解說에 對한 나의 意見,

4

(≪三千里≫1936년11월호) 名監督이 모여 ‘朝鮮 映畵’를 말함,

5

(2002a) 實錄 韓國映畵叢書(上), 서울: 국학자료원

6

(2002b) 春史 羅雲奎 映畵 全作集, 서울: 국학자료원

7

(2004) 구술문화와 저항담론으로서의 소문: 이기영의 고향론,

8

(1999) 서울에 땐스홀을 허하라, 서울: 현실문화연구

9

(2002) 서발턴에게 역사는 있는가? ,

10

(2002) 맑스주의 이후의 맑스: 역사, 서발터니티, 차이,

11

(2004) 원시적 열정: 시각, 섹슈얼리티, 민족지, 현대중국영화, 서울: 이산

12

(1994) 기계 복제 시대의 예술작품 문예비평과 이론, 문예출판사

13

(2004) 무성영화 <아리랑>과 검열 : 검열이 <아리랑>에 미친 영향과 원형 재구 가능성을 중심으로,

14

남기고 싶은 이야기들 연도 및 출처 미상,

15

(1995) 구술문화와 문자문화, 서울: 문예출판사

16

(2000) 식민지 인식의 ‘회색 지대’: 일제하 ‘공공성’과 규율권력,

17

(≪신동아≫1964년12월호) 무성영화시대의 자전,

18

(2001.10) 이영일이 만난 한국영화의 선각자들 구술기록: 선전물 트집 잡혀 경찰에 연행되는 고초, 그러나 영화는 대흥행,

19

(2004) 한국영화전사, 서울: 소도

20

(2005) 나운규의 <아리랑>(1926)의 재구성: <아리랑>의 활극적 효과 혹은 효과의 생산,

21

(1992) 이론과 실천,

22

(1995) 19세기 말 진보적 지식인의 인종주의적 특성: ≪독립신문≫과 윤치호의 일기를 중심으로,

23

(2005) 일제하 검열기구와 검열관의 변동 ,

24

(2005) 언론조선총독부,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25

(2003) 해설: 라운규와 수난기 영화와 남북한의 나운규 연구, 서울: 일월서각

26

(2002) 게임의 서사구조, 365

27

(2005) 문화정치기 검열체제와 식민지 미디어 ,

28

(2002) 문화의 위치, 서울: 소명

29

(2000) Dipesh, Provincializing Europe: Postcolonial Thought and Historical Difference, Princeton and Oxford: Princeton University Press

30

(2006) Benshi as Stars: The Irony of the Popularity and Respectability of Voice Performers in Japanese Cinema,

31

(1994) Defining Cinema in Taisho Japan, Aaron

32

(1987) studies in melodrama and the woman's film,

33

(2000) Christine Gledhill&Linda Williams(ed.) Reinventing Film Studies, New York: Arnold

34

(2000) The mass production of the senses: classical cinema as vernacular modernism, New York: Arnold

35

(1986) Third-World Literature in the Era of Multinational Capitalism,

36

(2001) Modernity and Melodrama: Early Sensational Cinema and Its Contexts, New York: Columbia University Press

37

(1998) Melodrama Revised, California: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상단으로 이동

한국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