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논문 상세

Home > 논문 상세
  • P-ISSN 2671-8197
  • E-ISSN 2733-936X

1920년대 초기시의 관념 표상과 그 양상

Representation of an idea in the early 1920’s poetry and it’s appearance

한국학 / Korean Studies Quarterly, (P)2671-8197; (E)2733-936X
2007, v.30 no.1, pp.249-277
https://doi.org/10.25024/ksq.30.1.200703.249
여태천 (고려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우리 문학사에서 근대 문학의 기본적인 조건들이 대체로 정립되기 시작한 시기는 1920년대 초기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1920년대 초기를 문예사조를 중심으로 다루고 있는 대부분의 문학사는 이 시기의 시에 대해 관념적이라는 평가를 내리고 있다. 그러나 어떤 당위적 요구에 의해 사후적으로 구성된 ‘문학성’이라는 완고한 분석의 관점은 오히려 1920년대 초기시를 이해하는 데 걸림돌이 될 수도 있다. 동일한 지평 위에서 당대의 인식론적 기반을 중심으로 텍스트를 세심하게 관찰한다면 감상적, 혹은 퇴폐적이라는 수식어로 이해되는 1920년대 초기시의 관념적 표상들은 새로운 해석학적 결과를 낳을 수 있을 것이다. 예컨대, 그들의 개인적 체험과 내면의 고민이 ‘죽음’ ‘꿈’ ‘진리’라는 관념어로 표현되었음을 발견할 수 있다. ‘죽음’ ‘꿈’ ‘진리’ 등의 관념적인 언어들이 그 당시에 어떻게 사용되었는가에 대한 실증적인 고찰이 설득력을 얻을 수 있는 대목이 바로 이 지점이다. 내적인 고민의 발현이야말로 이전 시대의 계몽성과는 다른 근대적 미학의 중요한 특징이다. ‘죽음’ ‘꿈’ ‘진리’ 등과 같은 관념어가 이미 주어져 있는 관념을 모방한 것이 아니다. 이 관념어들은 그것이 아니면 침묵처럼 개인의 내면에 잠들어 버릴 영원성과 낭만의 열정, 그리고 진리에 대한 각성과 같은 개인적 정서와 이념을 드러나게 하였다. 말하자면 그 관념어들은 인식론적 층위의 산물이며, 동시에 개인적 체험과 내면이 그 언어를 빌려 표현되었다. 이 논문은 1920년대 초기시에서 관념의 표상과 그 양상이 지니는 의의를 근대적 내면의 발견이라는 측면에서 살피고자 했다.

keywords
idea, representation, individuality, inner, experience, eternity, death, passion, dream, truth, aesthetics, 관념, 표상, 개별성, 내면, 체험, 영원, 죽음, 열정, 꿈, 진리,

Abstract

In our literary history, basic conditions of modern literature were concreted in the early 1920’s. Nevertheless, most literary history which contemplated the early 1920’s with the trend of literature, reviewed that time’s poems were ideological. But a hard fixed view of ‘the quality of literature’ which lately organized according to reasonable request, may be an obstacle to appreciate the early 1920’s poetry. If we investigate epistemological constituency on the same horizon with a sense of discrimination, the ideological representation which was understood rhetoric of sentimental and decadent, would be produced new analytic results. It is important that their’s particular experience and inner agony expressed in ideological language, such as ‘death’ ‘dream’ ‘truth.’ Representation of inner agony is a special and distinctive quality which differentiate modern aesthetic with literature of enlightenment. Above all positive consideration obtains universal appropriateness on how used ideological language such as ‘death’ ‘dream’ ‘truth’ in the early 1920’s. We know that ideological language, such as ‘death’ ‘dream’ ‘truth’ are not imitate ideology which previously existed. This ideological language represented individual emotion and ideal such as eternity, romantic passion and awakening of truth which would be extinguished in the inside of an individuality. To tell the truth, ideological language was epistemological results and particular internal experience was represented with ideological language. This article was intended to look around representation of an idea in the early 1920’s poetry and it’s appearance.

keywords
idea, representation, individuality, inner, experience, eternity, death, passion, dream, truth, aesthetics, 관념, 표상, 개별성, 내면, 체험, 영원, 죽음, 열정, 꿈, 진리,


참고문헌

1

(2000) 근대계몽기 시가자료집(①②③), 서울: 대동문화연구원

2

(2001) 현대적 상황의 죽음 및 그 전통과의 연계, 서울: 철학과현실사

3

(1989) 박영희 연구, 열음사

4

(2003) 미적 근대성과 동인지 문단, 서울: 소명출판

5

(2005) 문학이란 무엇이었는가, 서울: 소명출판

6

(1991) 한국 근대문학에서의 환상과 현실 한국 근대문학의 쟁점 한국정신문화연구원,

7

(1980) 신문학사조사, 신구문화사

8

(2005) 1920년대 초기시의 언어적 특성과 글쓰기 방법, 한국문학이론과 비평학회

9

(2006) 근대체험의 내면화와 새로운 글쓰기, 서울: 깊은샘

10

(1981) 이상화의 나의 침실로 분석과 이해 이상화의 서정시와 그 아름다움,

11

(2004) 1920년대 초기 시의 이념과 미학, 서울: 소명출판

12

(2004) 1920년대 동인지 문학 운동과 미 이데올로기, 한국문학이론과 비평학회

13

(2002) 표상 공간의 근대, 서울: 소명출판

14

(2006) 근대문학의 종언, 서울: 도서출판 b

15

(1998) 죽음의 역사, 서울: 동문선

16

(1993) 임상의학의 탄생,

상단으로 이동

한국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