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ticle Detail

Home > Article Detail
  • P-ISSN 2671-8197
  • E-ISSN 2733-936X

Korean Studies Quarterly / Korean Studies Quarterly, (P)2671-8197; (E)2733-936X
2009, v.32 no.1, pp.373-401
https://doi.org/10.25024/ksq.32.1.200903.373
Kim Mantae
  • Downloaded
  • Viewed

Abstract

천문역법의 발달과 길흉일의 인식을 바탕으로 오래전 형성된 한국의 택일풍속은 각종 행사에 보다 세세하게 나타났다. 일상생활의 거의 매사에 택일하다 보니 택일풍속에 대한 비판도 많았다. 그러나 장 담그는 날, 손 없는 날의 경우처럼 사람들은 복잡한 택일원리를 그대로 받아들이기보다는 이를 단순화ㆍ규칙화하여 활용하기 쉽도록 바꾸는 경향이 있었다. 이는 택일풍속이 오랫동안 민간에서 전승될 수 있었던 힘이다. 또한 택일인식은 인류의 보편적 심성이기도 하다. 그런 까닭에 택일풍속은 시대 흐름에 따라 비록 그 모습은 크게 달라졌지만 지금도 우리 생활 속에 꾸준히 영향을 미치고 있다. 한국 택일문화의 전승양상을 ‘기원-지속ㆍ확대-(비판)-변화ㆍ약화’라는 틀 속에서 살펴보고 택일풍속의 특징을 규명했다. 그리고 한국 택일문화의 유형을 택일주기와 지시행위의 성격에 따라 일상(日常) 택일과 일생(一生) 택일, 적극적 택일과 소극적 택일(날짜금기)로 나누고서 그 특징을 살펴봤다. 택일관습은 시간의 주기성ㆍ순환성에 바탕을 두고서 한 해의 무사안녕을 기원하는 세시풍속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다. 이러한 택일풍속 안에는 일상생활에서 항상 행동을 삼가고 조심하라는 의미가 담겨있다.

keywords
택일(擇日, choosing an auspicious day), 날가림(nalgalim), 날받이(nalbad-i), 세시풍속(annual cyclic rite), 신구간(新舊間, singugan)


Reference

1

經世遺表

2

高麗史

3

東國歲時記

4

論衡

5

山林經濟

6

三國史記

7

三國志

8

春亭集

9

弘齋全書 .

10

≪경상일보≫

11

≪경향신문≫

12

≪대전일보≫

13

≪동아일보≫

14

≪서울신문≫

15

≪제주일보≫

16

≪조선일보≫

17

≪중앙일보≫

18

≪한국정책방송≫

19

≪한라일보≫.

20

易學大辭典 . 서울: 명문당, 1994.

21

제주도 세시풍속 . 서울: 국립문화재연구소, 2001.

22

한국민속의 세계(5) . 서울: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01.

23

김만태, 「역서(曆書)류를 통해본 택일문화의 변화」. 민속학연구 제20호, 서울: 국립민속박물관, 2007, 7~27쪽.

24

김만태, 「한국 점복의 정의와 유형 고찰」. 한국민속학 제47호, 한국민속학회, 2008, 203~233쪽.

25

김명자, 「한국세시풍속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89.

26

김명자, 한국세시풍속Ⅰ . 서울: 민속원, 2005.

27

김성기ㆍ이승율ㆍ최종성, 「출토자료 日書 의 연구현황과 그 사상사적 의의」. 동양철학연구 제42집, 동양철학연구회, 2005, 163~197쪽.

28

김혁제, 丙戌年 農曆 . 경성: 명문당, 1945.

29

김홍철, 「韓國 占卜信仰에 관한 硏究」. 韓國宗敎史硏究 제3집, 한국종교사학회, 1995, 183~235쪽.

30

나일성, 한국천문학사 . 서울: 서울대학교출판부, 2002.

31

박노자, 「‘국민’이라는 이름의 감옥」. 「탈영자들」의 기념비 . 서울: 생각의 나무, 2003, 14~33쪽.

32

백두현, 현풍곽씨언간 주해 . 서울: 태학사, 2003.

33

빙허각 이씨(저)/이민수(역), 규합총서 . 서울: 기린원, 1988.

34

서거정(저)/성백효(역주), 譯註 四佳名著選 . 서울: 이회문화사, 2001.

35

孫英善(저)/김인희(역), 「중국 각 민족금기의 공통점과 차이점: 전통 미덕의 발양 및 민족소질강화에 대하여」. 국제아세아민속학 제2호, 국제아세아민속학회, 1998, 515~528쪽.

36

신재효(저)/강한영(편), 한국 판소리 전집 . 서울: 서문당, 1996.

37

정종수, 풍수로 보는 우리 문화 이야기 . 서울: 웅진닷컴, 2000.

38

조셉 니덤(저)ㆍ콜린 로넌(축약)/김영식ㆍ김제란(역), 중국의 과학과 문명: 사상적 배경 . 서울: 까치, 1998.

39

안혜경, 「‘날가림’ 관습으로 본 가정신앙의 역사성」. 한국의 가정신앙(상) . 서울: 민속원, 2005, 125~151쪽.

40

永田 久(저)/심우성(역), 曆과 占의 과학 . 서울: 동문선, 1992.

41

움베르토 에코(외 저)/김석희(역), 시간 박물관 . 서울: 푸른숲, 2000.

42

이복규, 묵재일기 에 나타난 조선전기의 민속 . 서울: 민속원, 1999.

43

이복규, 「카자흐스탄 민속신앙과 우리나라 민속신앙의 비교」. 아시아 민속신앙의 비교연구 . 비교민속학회 하계학술대회, 2007, 145~161쪽.

44

이은성, 曆法의 原理分析 . 서울: 정음사, 1985.

45

李中生(저)/임채우(역), 언어의 禁忌로 읽는 중국문화 . 경기 고양: 동과서, 2003.

46

임소주(저)/지일빈(신증)/대한역법연구소(역편), 新增 天機大要 . 서울: 대지문화사, 2004.

47

자크 제르네(저)/김영제(역), 傳統中國人의 日常生活 . 서울: 신서원, 1995.

48

제임스 조지 프레이저(저)/박규태(역주), 황금가지 . 서울: 을유문화사, 2005.

49

홍이섭, 조선과학사 . 서울: 정음사, 1946.

50

任騁, 中國民俗通志[禁忌志] . 濟南: 山東敎育出版社, 2005.

51

許愼(著)/段玉裁(注), 說文解字注 . 上海: 上海古籍出版社, 2006.

52

黃暉, 論衡校釋(三) . 北京: 中華書局, 1996.

  • Downloaded
  • Viewed
  • 0KCI Citations
  • 0WOS Citations

Other articles from this issue

Recommanded Articles

상단으로 이동

Korean Studies Quarter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