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논문 상세

Home > 논문 상세
  • P-ISSN 2671-8197
  • E-ISSN 2733-936X

『삼관기』 이본들에 나타난 작품 구성의 특징

Frameworks of Samgwangi Versions

한국학 / Korean Studies Quarterly, (P)2671-8197; (E)2733-936X
2010, v.33 no.3, pp.35-63
https://doi.org/10.25024/ksq.33.3.201009.35
조융희 (한국학중앙연구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Abstract

지금까지 이재(李縡, 1680-1746)의 필기류 작품 삼관기(三官記)와 관련해서는 일부 단일 이본만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몇 차례 수행된 적은 있지만, 한문본 및 한글본 여러 이본들의 구체적인 면모는 물론 이본들의 작품 구성에 나타나는 전반적인 특징에 대한 검토도 거의 이루어진 바가 없다. 이재는 애초에 한문본을 저술하였으며, 한글본은 한문본의 일화들을 선별하여 번역하는 양상으로 파생되었다. 한글로 누가 번역하였는가에 대해서는 확인되지 않는다. 본 연구에서는 한문본 및 한글본 삼관기의 주요 이본들을 대상으로 삼아 해당 이본들의 공통적인 면모와 개별적인 특성을 분석하였다. 한문본의 경우 대체로 ‘삼관기’라는 제목의 뜻에 따라 ‘이관’, ‘목관’, ‘심관’의 형식을 유지하였다. 한문본은 이본에 따라 텍스트 중간에 필사자의 논평 내용이 들어가기도 한다. 텍스트에 등장하는 특정인의 이름을 피휘하여 필사자가 그 인물과 각별한 관계에 있었을 것이라는 암시를 주기도 한다. 이재는 노론계 가문의 여성들이 갖춘 비범한 능력을 부각시키기 위해 강인하고 의연한 성격을 지닌 여성 인물의 일화들을 작품 구성에 적극 수용하였다. 한글본에서는 이관, 목관, 심관 등 분목별 구성을 크게 고려하지 않았으며, 한문본 일화들 가운데 상당수를 누락하고 이야기들을 선별적으로 번역하였다. 그 대신에 조선중기까지의 명사(名士)들에 대한 약전(略傳) 30여 조가 추가되었다. 사대부가의 여성들이 텍스트에 제시된 명사들의 덕목을 자녀교육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하겠다는 취지가 엿보인다. 이재의 「만동묘비」를 번역하여 싣거나, 노론의 거두였던 이이명의 부인 김씨가 영조에게 올린 상소문을 덧붙여가며 한글본을 새롭게 구성하는 경우도 있다. 한글 독자들까지 노론의 사상적 기반인 존명배청(尊明背淸)의 정신을 공유하고, 노론계 사대부가의 여성이 당쟁의 소용돌이 속에서 가문의 존속에 기여하는 바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서두 부분에 작가 및 작품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거나, 작품 끝에 작품 전승의 과정을 보여주는 부기(附記)를 첨가하는 것도 또한 일부 한글본의 특징이다.

keywords
삼관기, 이재, 구성, 한문본, 한글본, Samgwangi, Yi Jae, framework, versions in classical Chinese, versions in Middle Korean


참고문헌

1

三官記 한문본

2

장서각본(K2-2201, K2-2202, 2책)

3

국립중앙도서관본(B12109-15, 1책)

4

규장각본(奎5955-v.1-3, 3책)

5

동국대본(814.5이72ㅅ 1~2, 2책)

6

이화여대본(920이812ㅅ 1~2, 2책)

7

三官記 한글본

8

서강대본(고서 도61 v.1~3, 3책)

9

동국대본(814.5이72사 1~3, 3책)

10

규장각본(古0320-11, 1책)

11

국립중앙도서관본(BC古朝56-나150, 2책)

12

英祖實錄 . 한국고전번역원 한국고전종합 D/B, http://db.itkc.or.kr.

13

顯宗改修實錄 . 한국고전번역원 한국고전종합 D/B, http://db.itkc.or.kr.

14

閔維重, 文貞公遺稿 . 한국고전번역원 한국고전종합 D/B, http://db.itkc.or.kr (한국문집총간, 137).

15

李縡, 陶菴先生集 . 한국고전번역원 한국고전종합 D/B, http://db.itkc.or.kr (한국문집총간, 194-195).

16

유혜자, 陶庵全集 人, 서울: 보경문화사, 1989.

17

趙克善, 冶谷先生集 . 한국고전번역원 한국고전종합 D/B, http://db.itkc.or.kr (한국문집총간, 속26).

18

洪瑞鳳, 鶴谷集 . 한국고전번역원 D/B (한국문집총간, 79).

19

박철상, 「화양동에 새긴 숭정어필」. 문헌과해석 17, 2001, 90-98쪽.

20

서경희, 「‘이봉상 사건’의 전승과 의의」. 한국고전연구 14, 2006, 311-341쪽.

21

서경희, 「김씨 부인 상언을 통해 본 여성의 정치성과 글쓰기」.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12, 2003, 39-75쪽.

22

유혜자, 「고전수필 <삼관긔>考」. 동악어문논집 제23집, 1988, 209-248쪽.

23

유혜자, 「陶菴 李縡의 삼관긔(三官記) 考究‒ 그 內容을 中心으로」. 无涯梁柱東博士古稀記念論文集 . 서울: 탐구당, 1973, 551-569쪽.

24

이경희, 「三官記攷」.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84.

25

임치균, 「이봉상 사건과 영웅소설」. 문헌과 해석 17, 2001, 139-147쪽.

26

임형택, 「김씨 부인의 국문 상언(上言) ‒ 그 역사적 경위와 문학적 읽기」. 민족문학사연구 25, 2004, 358-384쪽.

상단으로 이동

한국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