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논문 상세

Home > 논문 상세
  • P-ISSN 2671-8197
  • E-ISSN 2733-936X

<석중옥기연록>과의 비교를 통해 본 구활자본 <형산백옥>

A Study of Hyungsanbagok in Comparison with Sukjungokgiyeonrok

한국학 / Korean Studies Quarterly, (P)2671-8197; (E)2733-936X
2011, v.34 no.1, pp.65-83
https://doi.org/10.25024/ksq.34.1.201103.65
서정민 (서울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이 글은 구활자본 소설 <형산백옥>이 필사본 <석중옥기연록>의 이본임을 밝혔다. <석중옥기연록>은 현재 2종의 이본이 있는데, 사재동 교수 개인소장본이었던 것으로 현재 한국학중앙연구원에 소장된 것과 연세대 도서관 소장본이 그것이다. 이 둘과의 대비를 통해 적어도 구활자본 <형산백옥>이 한중연본보다 연세대본과 더 친연한 관계에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구활자본 <형산백옥>이 현전 필사 이본에서는 볼 수 없는 특정 장면들을 설정하여 그 부분 서술이 확대된 양상을 살펴보았다. 이로써 <형산백옥>이 한중연본과 비교할 때 서사의 초점이 이동하였거나 분산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런가하면 <형산백옥>에서는 자체 축약의 흔적들도 발견되었다. 이런 점은 현전 필사 이본과 비교할 때 <형산백옥>이 장면화를 통한 확대 서술이라는 특징을 보이지만, 이 점이 일반적으로 구활자본 고소설의 축약 경향과 차별화되는 <형산백옥> 자체의 특징이라기보다는 <형산백옥>의 모본으로서 현전 필사 이본들과는 차이점을 가지는 또 다른 이본이 존재했을 가능성이 크다는 점을 추론하였다.

keywords
형산백옥(Hyungsanbagok ), 석중옥기연록(Sukjungokgiyeonrok ), 구활자본소설(An old printed book), 필사본(manuscript), 장면화(scene)

Abstract

This study identified an old printed novel Hyungsanbagok as a different version of Sukjungokgiyeonrok. Manuscript Sukjungokgiyeonrok has two version. The result of comparison, Hyungsanbagok is more similar to Sukjungokgiyeonrok in Yeonsei University. Hyungsanbagok has specific scenes which are not in Manuscript Sukjungokgiyeonrok. These scenes described a wedding feast primarily for Yeon-chun-nan. So it’s presumed that the narrative point of Hyungsanbagok moved to Yeon-chun-nan. By the way, these scenes’s descriptions which were amplified further in Hyungsanbagok have some clumsy points. It seems to be caused by omission. From this we deduced that Hyungsanbagok was based on another version which has not been known.

keywords
형산백옥(Hyungsanbagok ), 석중옥기연록(Sukjungokgiyeonrok ), 구활자본소설(An old printed book), 필사본(manuscript), 장면화(scene)


참고문헌

1

<셕즁옥긔연녹>, 한국학중앙연구원 소장.

2

<셕듕옥>, 연세대학교 도서관 소장.

3

<형산백옥>, 활자본 고전소설전집 10 , 동국대학교 한국학연구소 편, 아세아문화사, 1977.

4

<옥원재합기연> 권15, 서울대학교 규장각 소장.

5

서정민, 「<명행정의록>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6, 1‒238쪽.

6

서정민, 「<석중옥기연록> 연구」. 인문학연구 80, 충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0, 101‒131쪽.

7

송성욱, 조선시대 대하소설의 서사문법과 창작의식 . 태학사, 2003, 1‒368쪽.

8

신효선, 「<형산백옥>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6, 1‒69쪽.

9

이은숙, 「활자본 신작구소설에서의 애정소설 연구」. 한국정신문화연구원 석사학위논문, 1986, 1‒104쪽.

10

이주영, 구활자본 고전소설 연구 . 월인, 1998, 1‒234쪽.

11

임치균, 조선조 대장편소설 연구 . 태학사, 1996, 1‒353쪽.

12

정길수, 한국 고전장편소설의 형성 과정 . 돌베개, 2005, 1‒379쪽.

13

정병설, 완월회맹연 연구 . 태학사, 1998, 1‒325쪽.

상단으로 이동

한국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