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ticle Detail

Home > Article Detail
  • P-ISSN 2671-8197
  • E-ISSN 2733-936X

The Cabinet Council of Charles II and Its Changes: The Establishment of the Britain Parliamentary Cabinet System

Korean Studies Quarterly / Korean Studies Quarterly, (P)2671-8197; (E)2733-936X
2015, v.38 no.3, pp.115-149
https://doi.org/10.25024/ksq.38.3.201509.115
Hwang, Tai Youn
  • Downloaded
  • Viewed

Abstract

윌리엄 템플과 찰스 2세가 중국식 내각제 원칙을 모방한 ‘신추밀원’과 ‘정보위원회’를 설치한 이후 이 제도는 정치적 갈등 속에서의 실제적 운영을 거치면서 변모를 겪는다. 찰스 2세는 추밀원 위원들의 면모를 재조정하고, 템플의 권고로 인원수가 적어서 보다 긴밀한 논의가 가능한 새로운 조직으로서 ‘내각위원회’를 설치함으로써 11인의 ‘정보위원회’를 ‘외피화’시킨다. 찰스 2세의 ‘내각위원회’는 그 규모와 기능 면에서 중국의 명대 내각에 더욱 근접한 제도였다. 그러나 신추밀원은 잠시 폐지되는 수난을 겪는다. 1685년 찰스 2세 서거 후 왕위를 이은 제임스 2세가 즉위 즉시 신추밀원과 ‘내각위원회’를 폐지하고 50인 규모의 유명무실한 옛 추밀원을 복고한 것이다. 그는 찰스 2세의 내각제 이전처럼 단독으로 또는 작은 ‘밀실그룹’하고만 상의하여 칙령을 발하고 정책을 좌지우지했다. 4년 뒤 이에 대항해 영국 의회는 명예혁명을 통해 제임스 2세를 추방하는 한편, 찰스 2세의 신추밀원을 복원하고 내각위원회를 재설치했다. 이후 영국의 정치동학을 따라 의회에서 영향력 있는 의원(들)이 내각위원회에서 주도권을 행사하게 되고, 이로써 ‘왕은 군림하나 통치하지 않는다(The King reigns but does not govern)’는 불문율이 정착하게 된다. 이 불문율은 영국에 문외한이었던 하노버 왕가 출신 조지 1세의 치세가 개막된 때(1714)부터 국왕이 국정에서 인퇴하자 더욱 확고해진다. 영국의 이 불문율은 명조 내각제를 통해 제도화된 “천하를 영유하고도 이에 간여하지 않는” 순·우(舜禹) 임금의 “유이불여(有而不與)” 식의 군림정치 또는 순임금의 “무위지치(無爲之治)”와 상통하는 것이다. 나아가 영국의 국왕은 아예 내각위원들을 일일이 지명하는 것이 아니라, 의회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의원, 즉 의회 다수파를 이끄는 한 의원을 ‘제1각료(chief minister)’로 선택하고, 나머지 각료는 ‘제1각료’가 선발하도록 하는 것이 관행화된다. 중국 명대의 발달한 내각제에서 내각대학사가 조정에서 ‘회추(會推)’된 단계에 이르렀듯이 영국의 내각위원들도 국왕에 의해 임명되는 것이 아니라, 사실상 영국 의회에서 ‘회추’되는 단계로 발전한 것이다. 곧 ‘제1각료’는 ‘Prime Minister’라고 불렸다. 이로써 영국에서도 중국 명대의 내각제에서처럼 수상체제가 확립되었다. 신추밀원의 첫 단추가 중국식으로 끼워진 까닭에 이후의 발전도 중국식 발전 단계를 반복한 것이다. 물론 중국식 반복만 있었던 것은 아니다. 주지하다시피 영국의 내각제는 중국 명나라와 청나라에는 없었던 의회와의 상호작용 속에서 부지불식간에 의원내각제로 발전하고, 이로써 중국식 내각제를 넘어서 근대 민주주의 시대를 개막했다.

keywords
committee of intelligence, cabinet council, inner cabinet, outer cabinet, prime minister system, 정보위원회, 내각위원회, 내부내각, 외부내각, 수상체제


Reference

1

황태연, 「공자의 분권적 제한군주정과 영국 내각제의 기원(1)」. 정신문화연구 제37권 제2호, 2014.

2

황태연, 「윌리엄 템플의 중국 내각제 분석과 영국 내각제의 기획·추진」. 정신문화연구 제38권 제2호, 2015.

3

Airy, Osmund, Charles II. London·New York: Longmans, Green, and Co.,1904.

4

Ames, Roger T., The Art of Rulership: A Study of Ancient Chinese Political Thought. Albany: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1994.

5

Bagehot, Walter, The English Constitution.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2001; reissued 2009.

6

Carlyle, E. I., “Clarendon and the Privy Council, 1660‒1667.” The English Historical Review, vol. xxvii, 1912.

7

Clarke, John James, Outlines of Central Government. London: Sir Isaac Pitman & Sons, LTD., 1919; 12th edition 1958.

8

Clarke, John James, Oriental Enlightenment. The Encounter between Asian and Western Thought. London·New York: Routledge, 1997.

9

Dicey, Albert Venn, The Privy Council . Oxford: T. and G. Shrimpton, Broad Street, 1860.

10

Gerlach, Hans Christian, “Wu‒wei(無爲) in Europe - A Study of Eurasian Economic Thought.” 2004(C.Gerlach‒alumni@lse.ac.uk. 최종검색일: 2010.3. 11).

11

Hume, David, The History of England. From the Invasion of Julius Caesar to the Revolution in 1688, vol. 6 in six volumes. New York: Liberty Fund Inc., 1778·1983.

12

Lodge, Richard, The Political History of England, Vol. 8(in 12 volumes). From the Restauration to the Death of William III, 1660‒1702. London: Longmans, Green and Company, 1910.

13

Marburg, Clara, Sir William Temple. A Seventeenth Century ‘Libertin’. New Haven: Yale University Press, 1932.

14

Maitland, Frederic William, The Constitutional History of England. Cambridge: At the University Press, 1908.

15

Ogg, Frederic Austin, The Governments of Europe. New York: The Macmillan Company, 1916.

16

Passmore, John Arthur, The Perfectibility of Man. Indianapolis: Liberty Fund, 1970, Republication 2000.

17

Peterson, Willard, “Confucian Learning in Late Ming Thought.” Denis Twitchett and Frederick W. Mote(eds.), The Cambridge History of China, Volume 8, The Ming Dynasty, 1368‒1644, Part 2.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8·2007.

18

Pocock, John G. A., The Ancient Constitution and the Feudal Law. A Study of English Historical Thought in the Seventeenth Century. Cambridge·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57·1987.

19

Ray, P. Orman, Major European Governments. Boston·London: Ginn and Company, 1931.

20

Steensma, Robert C., Sir William Temple. Farmington Hills in Michigan: Twayne Publishers, 1979.

21

Tanner, J. R., English Constitutional Conflicts of the Seventeenth Century 1603‒1689.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28, reprinted: 1971, digitally printed: 2008.

22

Temperley, Harold W. V., “Inner and Outer Cabinet and Privy Council, 1679‒1783.” The English Historical Review, vol. xxvii, 1912.

23

Temple, Sir William, Memoirs, Part III. From the Peace concluded 1679, to the Time of the Author’s Retirement from Publick Business, publish’d by Jonathan Swift. London: Printed for Benjamin Tooke, at the Middle‒Temple Gate in Fleet‒street, 1709.

24

Trevelyan, G. M., England under the Stuarts. London·New York: Routledge, 1904·2002.

25

Turner, Edward Raymond, “The Development of the Cabinet, 1688‒1760.” The American Historical Review, vol. xix. London: Macmillan & Co., 1914.

26

Turner, Edward Raymond, “Privy Council of 1679.” The English Historical Review, vol. xxx, 1915.

상단으로 이동

Korean Studies Quarter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