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ticle Detail

Home > Article Detail
  • P-ISSN 2671-8197
  • E-ISSN 2733-936X

Yi Ik’s Yi‒Ja‒Su‒Eo(李子粹語): succeeding the thought of Toegye

Korean Studies Quarterly / Korean Studies Quarterly, (P)2671-8197; (E)2733-936X
2020, v.43 no.1, pp.135-171
https://doi.org/10.25024/ksq.43.1.202003.135
Park Jihyun
  • Downloaded
  • Viewed

Abstract

이 글에서는 『이자수어』의 학술적 의의를 재조명하기 위해 그 편찬과정을 검토했다. 『이자수어』는 성호가 젊은 시절 퇴계의 문집과 저작 그리고 언행록 등에서 중요한 내용을 채록해 둔 『도동록』을 윤동규와 안정복과 함께 개정하여 편찬한 것이다. 안정복은 『이자수어』 편찬 실무를 담당하면서 편차의 구성이나 조목의 발췌하는 데는 윤동규의 견해를 수용했지만, 기본적으로 성호의 의도를 충실히 반영했다. 안정복은 『이자수어』의 편찬을 통해서 본격적으로 퇴계학을 접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으며, 후에 이 책을 초학자의 입문서로 실질적으로 활용하기도 했다. 개정과정에서 성호는 퇴계를 이자(李子)로 지칭하면서 도통의식을 나타내는 도동이라는 말을 버리고 책의 제목을 『이자수어』로 고쳤다. 성호는 학문적인 명망이 알려지면서 경기남인의 정치적 명분을 확립을 위해 묘도문 작성 등을 통한 정치적 활동을 전개했는데, 중앙정계로의 진출이 완전히 좌절되면서 『이자수어』 편찬에 착수한 것이다. 경기남인이 주장하는 학문적 계보는 성호가 퇴계를 주자의 적전(嫡傳)이라고 하는 도통의식에서 비롯된 것으로, 성호는 『이자수어』 서문에서 공자로부터 주자에서 퇴계로 이어지는 도통을 제시했다. 그러므로 퇴계를 이자로 지칭하는 『이자수어』는 퇴계의 언행록을 넘어 덕행의 측면에서 유교적 실천 모델을 퇴계에 두고 기획된 것으로, 명실상부한 조선 성리학의 교과서로 편찬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keywords
이자수어(李子粹語), 도동록(道東錄), 이자(李子), 도통(道統), 경기남인, 언행록, Yi‒Ja‒Su‒Eo, Do‒dong‒lok, Yi‒Ja, Dotong, ‘Nam‒in’ in Near‒capital Area, memoir


Reference

1

『後漢書』

2

『論語』

3

『孟子』

4

『中庸』

5

『日省錄』.

6

權斗經, 『蒼雪齋集』.

7

趙翼, 『浦渚集』.

8

李栽, 『密菴集』.

9

李滉, 『退溪集』.

10

李瀷, 『星湖全集』.

11

李瀷, 『星湖僿說』.

12

李瀷, 『中庸疾書』.

13

安鼎福, 『順菴集』.

14

尹東奎, 『邵南遺稿』.

15

尹東奎, 『邵南 尹東奎 書簡』.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2012.

16

『道東錄』. 서울대학교 규장각 소장본(奎7547‒v.1‒2).

17

이광호 역, 『이자수어: 성호 이익이 가려 뽑은 퇴계학의 정수』. 예문서원, 2010.

18

홍승균・이윤희 공역, 『퇴계선생언행록』. 퇴계학연구원, 1999.

19

권문봉, 「성호 경학의 몇 가지 문제: 『맹자질서』를 중심으로」. 『한문학보』 19, 2008, 1153‒1176쪽.

20

김경하, 「퇴계 이황의 형이상학 연구: 『이자수어』 「도체편」을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4.

21

김학수, 「성호 이익의 학문연원: 가학의 연원과 사우관계를 중심으로」. 『성호학보』 1, 2005, 57‒112쪽.

22

신채용, 「『성호전집』 묘도문자를 통해서 본 이익의 남인의리」. 『조선시대사학보』 80, 2017, 205‒255쪽.

23

신항수, 「홍계희의 편찬 및 간행활동과 도통의식」. 『역사와 담론』 66, 2013, 143‒166쪽.

24

이봉규, 「유교적 질서의 재생산으로서의 실학: 반계와 성호의 경우」. 『철학』 65, 2000, 63‒94쪽.

25

임종진, 「주자와 퇴계의 성리사상비교: 장백행의 『속근사록』과 성호 이익의 『이자수어』를 중심으로」. 『퇴계학과 한국문화』 41, 2007, 5‒34쪽.

26

정도원, 「성호 이익의 퇴계 읽기와 학파분열: 성호와 근기남인의 학문적 접점과 동도론의 괴리」. 『유교사상문화연구』 58, 2014, 387‒424쪽.

27

정재훈, 「식산 이만부의 학문과 『도동편』」. 『국학연구』 23, 2013, 108‒148쪽.

28

조성산, 「조선후기 성호학의 ‘지역성’ 담론」. 『민족문화논총』 60, 2013, 25‒56쪽.

29

함영대, 「소남 윤동규의 학술과 성호학파: 저작과 교류를 중심으로」. 『장서각』 37, 2017, 64‒93쪽.

상단으로 이동

Korean Studies Quarter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