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ticle Detail

Home > Article Detail
  • P-ISSN 2671-8197
  • E-ISSN 2733-936X

The Status and Cultural Influence on Religion of the Seonghwang Faith in Miryang During the Joseon Dynasty: Focusing on General Son Geung‒hoon, Seonghwang‒God.

Korean Studies Quarterly / Korean Studies Quarterly, (P)2671-8197; (E)2733-936X
2022, v.45 no.1, pp.151-186
https://doi.org/10.25024/ksq.45.1.202203.151
Choi Jin A
  • Downloaded
  • Viewed

Abstract

본 연구는 조선시대 밀양지역에서 손긍훈(孫兢訓)이 성황으로 추존된 배경과 그 위상, 그리고 지역 종교에 미친 문화적 영향력을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성황신앙(城隍信仰)은 신라 말과 고려 초 사이에 중국에서 수용되어, 고려시대에 국가와 지방 토호세력에 의해 추앙되었으며 조선시대에는 중앙집권체제 강화를 위한 목적으로 유지되었다. 밀양지역에서는 손긍훈을 추앙한 성황이 고려부터 조선까지 지역공동체를 위한 수호신으로 인정받아왔다. 손긍훈은 940년(태조23) 신흥사(新興寺)를 중수하면서 고려개국공신의 그림을 그린 공신당(功臣堂)에 묘사된 삼한벽상공신(三韓壁上功臣)의 하나이다. 손긍훈은 고려시대 그 공로를 인정받아 광리군(廣理君)에 추봉되었는데, 광리는 밀양의 옛 이름이라는 점도 주목할 만하다. 고려시대 성황은 지역 토호세력에 의해 설립되고 유지되는 특징을 지닌다. 손긍훈성황 또한 마찬가지로 그러한 영향력이 조선에도 지속되었는데, 이는 손장군이라 칭해지며 지역공동체 수호신으로서 종교체험담과 지역 풍속 기록 등에서 알 수 있다. 전쟁에 참가한 지역병사들에게 음조(陰助) 신으로 나타난 점, 근심거리가 있는 지역민들이 성황사를 찾았다는 점, 지역풍속에 무격을 좋아했다는 점 등에서 그 근거를 찾을 수 있다. 손장군 성황이 타 종교에 미친 영향력 등은 조선후기 운문사에 그의 진영(眞影)이 봉안되어 현재까지도 정기적으로 행해지는 의례를 통해서도 확인할 수 있다. 이 또한 태조 왕건과 연관되며 한국 전통사회에서 성황이 지역수호신으로 신앙되어, 무속의 신으로 수용된 사례가 일반적인 것에 반해 본 사례는 불교사찰의 수호신으로 추앙되고 있다는 점도 특징적이다.

keywords
밀양, 손긍훈, 조선시대, 성황신앙, 성황, City God, Miryang, Son Geung‒hoon, Joseon Dynasty, Seonghwang Faith, Seonghwang‒God, City God


Reference

1

『삼국유사』

2

『삼국사기』

3

『고려사』

4

『고려사절요』

5

『조선왕조실록』

6

『동국여지승람』

7

『신증동국여지승람』

8

『여지도서』

9

『동강유집』

10

『다산시문집』

11

『성호전집』

12

『창사집』

13

『국조인물고』

14

『암서집』

15

『사미헌집』

16

『동국여지지』

17

『열양세시기』

18

『密陽』. 김해: 국립김해박물관, 2017.

19

『密陽樓亭錄』. 밀양: 密陽樓亭錄刊行委員會, 1984.

20

밀양지편찬위원회, 『密陽誌』. 밀양: 密陽文化院, 1987.

21

밀양문화원, 『국역 밀양누정록』. 부산: 신지서원, 2008.

22

손영경, 『밀성손씨죽원파세보』. 대구: 대보사, 2001.

23

한태문 외, 『밀양설화집』 권1. 밀양: 밀양문학회, 2009.

24

김갑동, 『고려의 후삼국 통일과 후백제』. 서울: 서경문화사. 2010.

25

마서전(저), 윤천근(역), 『중국의 삼백신』. 서울: 민속원, 2013.

26

변동명, 『한국 전통시기의 산신, 성황신과 지역사회』. 광주: 전남대학교출판부, 2013.

27

李能和(著)·李在昆(譯), 『朝鮮巫俗考』. 서울: 東文選, 1991.

28

일연(저), 김원중(역), 『삼국유사』. 서울: 민음사, 2008.

29

조흥윤, 『한국의 무』. 서울: 정음사, 1983.

30

한국정신문화연구원 국학추진사업위원회, 『고문서집성: 밀양 밀성박씨ᆞ덕남서원편』 권76. 성남: 2004.

31

한국종교사연구회, 『성황당과 성황제』. 서울: 민속원, 1998

32

G. 프루너(저), 조흥윤(역), 『중국의 신령』. 서울: 정음사, 1984.

33

곽승훈, 「고려시대 운문사 창건연기의 변천과 역사적 의의」. 『韓國史學史學報』30, 2014, 9~43쪽.

34

김갑동, 「고려시대의 성황신앙과 지방통치」. 『한국사연구』 74, 1991, 1~24쪽.

35

김명진, 「고려 태조 왕건의 운주전투와 긍준의 역할」. 『군사』 96,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2015, 173~208쪽.

36

김정희, 「조선후기 운문사의 佛事와 불화」. 『강좌미술사』 50, 2018, 109~149쪽.

37

김철웅, 「조선시대의 성황제」. 『사학지』 35, 2002, 39~54쪽.

38

변동명, 「城隍神 金忍訓, 孫兢訓과 梁山, 密陽」. 『한국사학보』 22, 2006, 9~58쪽.

39

변동명, 「한국 전통시기의 산악신앙, 성황신앙과 지역사회: 역사상 인물의 산신, 성황신 추앙을 중심으로」. 『호남학』 67집, 2020, 109~147쪽.

40

박호원, 「고려의 산신신앙」. 『민속학연구』 2집, 1995, 175~212쪽.

41

서영대, 「한국과 중국의 성황신앙 비교」. 『중국사연구』 12, 2001, 173~225쪽.

42

유영숙, 「조선시대 향촌사회의 질서변동과 城隍祠」. 『江原文化史硏究』 7, 2002, 67~136쪽.

43

尹熙勉, 「新羅下代의 城主, 將軍: 眞寶城主 洪術과 載巖城將軍 善弼을 中心으로」. 『한국사연구』 39집, 1982, 53~71쪽.

44

이경엽, 「순천의 성황신앙, 산신신앙과 역사적 인물의 신격화」. 『남도민속연구』 6, 2001, 165~193쪽.

45

이기태, 「성황사와 지역사회 이념의 통합: 조선 중, 후기 순창군의 사례를 중심으로」. 『역사민속학』 8집, 1999, 72~98쪽.

46

정승모, 「성황사의 민간화와 향촌사회의 변동」. 『태동고전연구』 7, 1991, 3~28쪽.

47

천혜숙, 「청도지역의 견훤 전승과 사실 또는 형상의 역사」. 『실천민속학연구』 33집(2019), 69~117쪽.

48

최종석, 「조선시기 城隍祠 입지를 둘러싼 양상과 그 배경: 高麗 이래 질서와 ‘時王之制’ 사이의 길항의 관점에서」. 『韓國史硏究』 143, 2008, 145~200쪽.

49

최종석, 「여말선초 명(明)의 예제(禮制)와 지방 성황제(城隍祭) 재편」. 『역사와 현실』 72, 2009, 207~251쪽.

50

那波利貞, 「支那に於けろ都市の守護神に就きて」(上), 『支那學』 第7卷 第3號(1934), pp. 29~82.

51

David Johnson, “The City‒God Cult of T’ang and Sung China”. Harvard Journal of Asistic Studies 45‒2, Harvard‒Yenching Institute, 1985, pp. 363~457.

52

국립중앙박물관(https://www.museum.go.kr).

53

규장각한국학연구원(https://kyu.snu.ac.kr/).

상단으로 이동

Korean Studies Quarter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