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ticle Detail

Home > Article Detail
  • P-ISSN 2671-8197
  • E-ISSN 2733-936X

From Science to Literature: Changes in the Education on the History of Anti‒Japanese Armed Struggle in North Korea in the 1950s and Early 1960s

Korean Studies Quarterly / Korean Studies Quarterly, (P)2671-8197; (E)2733-936X
2022, v.45 no.2, pp.89-121
https://doi.org/10.25024/ksq.45.2.202206.89
Soo-Ryong Jo
  • Downloaded
  • Viewed

Abstract

This study examines the origins of the formation of historical narratives centered on Kim Il‒sung’s family line through analysis of changes in the education of anti‒Japanese armed struggle history in North Korea in the 1950s and early 1960s. North Korea’s history and history education pursued so‒called ‘historical science’ based on historical materialism. In the mid‒1950s, as North Korea emphasized the establishment of Juche along with de‒Sovietization, research on the history of the anti‒Japanese armed struggle began in earnest. The history of the anti‒Japanese armed struggle were usually published in the form of a literary genre called ‘Ocherk’. Schools and education networks at all levels performed ‘the revolutionary traditions’ and communism education using them in the form of collective arts and rituals. Under the ‘revolutionary tradition’ and communist education, a hierarchical structure was formed in which departmental education such as history education and literature education were divided into subcategories. This shows that the history of North Korea’s anti‒Japanese armed struggle has shifted from the realm of science dealing with the interpretation of facts to the realm of ideological art and propaganda to produce and spread specific narratives.

keywords
북한, 역사교육, 문학교육, 오체르크, 항일무장투쟁사, North Korea, History Education, Literature Education, Ocherk, The History of the Anti-Japanese Armed Struggle


Reference

1

발터 벤야민(저), 반성완(편역), 『발터 벤야민의 문예이론』. 서울: 민음사, 2003.

2

송상헌, 『역사 인식의 논리와 역사교육』. 서울: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17.

3

권세영, 「북한의 ‘실화소설’ 장르 특성 변모 양상 연구: 『조선문학』의 평문과 북한문학이론서들을 중심으로」. 『한국문학논총』 65, 2013, 555~577쪽.

4

김광운, 「분단 60년 북한의 학문세계: 혁명역사 연구분야」. 『북한학연구』4권2호, 2008, 5~30쪽.

5

김기봉, 「‘역사의 문학화’와 ‘문학의 역사화’」. 『역사와 문화』 6호, 2003, 193~206쪽.

6

김선호, 「국가건설기 북한의 역사교육체계와 교육이념: 고등교육을 중심으로」. 『민족문화연구』 제86호, 2020, 357~390쪽.

7

김수환, 「소비에트 팩토그래피 (다시)읽기: 매체혁명과 작가상의 문제를 중심으로」. 『외국문학연구』 71, 2018a, 115~139쪽.

8

김수환,「「생산자로서의 작가」: 발터 벤야민이 읽은 소비에트 팩토그래피」. 『비교문학』 제73집, 2018b, 33~55쪽.

9

김재웅, 「현실정치의 규정력 아래 놓인 해방 후 북한의 역사서술: 북한 역사서술의 시원 검토」. 『역사와현실』 96호, 2015, 141~185쪽.

10

김재웅, 「북한의 역사 교육체계 확립과 민족해방운동사 인식」, 『史叢』 102호, 2021, 119~150쪽.

11

도진순, 「북한의 종파문제와 1920년대 민족해방투쟁에 대한 인식」. 『역사비평』 8호, 1989, 272~299쪽.

12

문미라, 「1950~1960년대 북한의 ‘혁명전통’ 확립과정과 역사인식의 변화」. 『역사와현실』 119, 2021, 237~271쪽.

13

이영미, 「북한의 문학 장르 오체르크 연구」.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24, 2004, 409~434쪽.

14

이영미, 「북한 역사교육과 문학교육의 내적 상관성」. 『국제어문』 제68집, 2016a, 189~209쪽.

15

이영미, 「북한의 자료를 통해 재론하는 오체르크와 실화문학의 계보」. 『한중인문학연구』 52, 2016b, 307~331쪽.

16

이영미・김종회, 「북한문학사의 비교문학적 조명: 리효운을 중심으로」. 『비평문학』 69, 2018, 289~320쪽.

17

조수룡, 「경합하는 ‘혁명전통’: 북한 초기 역사학계의 민족해방운동사 이해와 재구축」. 『사학연구』 137호, 2020a, 125~162쪽.

18

조수룡, 「정전 후 북한에서 사회주의 이행 논의와 정식화」. 『한국사연구』 190호, 2020b, 307~340쪽.

19

조승래, 「공적 역사(History)에서 사적역사들(histories)로: 하나의 이야기」. 『사림』 제32호, 2009, 335~348쪽.

20

조호연, 「북한 역사학과 소련 역사학의 관련성: 1945년부터 1963년까지」. 『한국학연구』 77호, 2021, 147~177쪽.

21

홍종욱, 「북한 역사학 형성에 소련 역사학이 미친 영향」. 『인문논총』 제77권 3호, 2020, 13~58쪽.

22

홍종욱, 「제국의 사회주의자: 마르크스주의 역사학자 이청원의 삶과 실천」. 『상허학보』 제63집, 2021, 119~178쪽.

상단으로 이동

Korean Studies Quarter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