규정 및 지침

Home > 규정 및 지침

학술지 투고 양식

1. ‘한국심리학회지 : 코칭(Korean Journal of Coachingl Psychology)’에 게재할 수 있는 원고의 종류는 다음과 같다.
(예시) 코칭심리학 분야의 경험적 연구논문
경험적/실험적 자료를 근간으로 한 고찰 연구(예, 리뷰 논문)
코칭에 시사점을 가지고 있는 정상집단 대상 연구
코칭심리학의 다양한 적용과 관련된 연구
특별호 주제에 따라 초청된 논문
국내외 타 학술지에 투고 중인 논문이나 이미 국내외 학술지나 관련 잡지에 게재되었던 논문은 투고할 수 없다.

2. 저자 중 한명 이상이 한국코칭심리학회 회원이어야 하며, 모학회인 한국심리학회와 한국코칭심리학회 연회비가 모두 완납된 회원에 한하여 투고자격이 주어진다.

3. 학위논문은 학위수여 후 5년 이내에 투고할 수 있다.
(예) 2014년 2월 학위수여논문의 경우 2019년 1월 31일까지 신청할 수 있음
이 경우 학위논문임을 반드시 명시(신청서 및 논문제목 각주 표기)하여야 한다. 석사학위논문의 경우, 지도교수와 공동 게재하며 교신저자는 저자들의 합의에 따라 정할 수 있다.

4. 논문 투고 시 투고본과 함께 제출해야 하는 서류는 다음과 같다.
(1) 논문투고 신청서
논문투고 신청서 다운로드
(2) 연구자 윤리 서약 및 저작권 이양에 대한 동의서
연구자 윤리 서약 및 저작권 이양에 대한 동의서 다운로드
(3) KCI(Korea Citation Index:한국학술지인용색인) 논문유사도검사 결과지

5. 학회지에 게재를 희망하는 원고는 한국코칭심리학회 JAMS 홈페이지 (https://coachingpsychology.jams.or.kr)를 이용하여 상시 투고 할 수 있다.
☞ 투고논문 관련 문의: support@coachingpsychology.or.kr

◉ 투고논문 작성 안내
1. 논문작성의 언어
한글 논문을 원칙으로 하나 영어 논문도 게재 가능하다.

2. 논문작성 소프트웨어는 반드시 HWP를 사용한다.
논문작성의 상세 양식은 하단의 “논문작성 양식”에 따라 작성하며 그 외의 세부사항은 2001년 10월에 한국심리학회에서 제정한 “학술논문 작성 및 출판지침”(시그마프레스 출판)을 따른다.

3. 원고의 표지
원고의 표지에는 논문제목, 저자, 주소 및 연락처(e-mail)를 표기해야 하며 표지를 제외한 모든 면에는 1부터 연속적 숫자를 부여하여 쪽번호를 붙인다.

4. 모든 연구논문은 150단어(600자) 안팎의 본문앞 초록과 참고문헌뒤 초록, 5개 이내의 주요어를 포함해야 한다. 본문앞 초록은 본문과같은 언어를, 참고문헌뒤 초록은 본문과 다른 언어를 사용한다. 예로서, 본문이 영어논문이면 참고문헌뒤 초록은 한글로 한다. 영문초록은미국심리학회의 논문 데이터베이스인 ‘PsycINFO’에 실리므로 미국심리학회(APA) 출판 규정에 맞게(현재 5판) 쓰여야 한다.

5. 참고문헌 뒤에 오는 초록에는 제목, 저자명, 소속(소속학교 및 학과명)을 반드시 기재한다 (위치는 초록 및 본문/참고문헌/초록/부록).

6. 논문의 길이는 15-20페이지 이내를 권장한다.

7. 본문은 신명조체 10호 크기로 하고, 장평 95, 자간 -10, 줄간격 160으로 하여 작성한다. 본 학회지의 한 페이지에는 한글로 약 1,800자,영문으로 약 3,700자(약 500단어)가 들어감을 고려하여 원고를 작성한다.

8. 그림이나 표가 있는 경우HWP file에서 본문과 함께 바로 열릴 수 있는 형식으로 작성한다. 그림이나 표는 각 페이지의 상단 또는 하단에 밀착한다.그림은 흑백으로 작성하여 명료하게 인쇄될 수 있어야 하며, 흐린 선, 가는 점선, 계조흑 백(예를 들어, 회색), 색채 등은 인쇄상의 문제가 있으니 피하기로 한다.

◉ 논문작성 방법 안내논문작성 가이드를 다운로드 받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논문작성 가이드 다운로드

부칙
본 규정은 2016년 12월 1일부터 시행한다.
본 개정 규정은 2020년 11월 1일부터 시행한다.
상단으로 이동

한국심리학회지: 코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