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P-ISSN 2586-0755
- E-ISSN 2799-8444
본 연구의 목적은 원격대학에 재학 중인 성인학습자들을 대상으로 학업상황에서 메타인지 학습능력을 증진하기 위한 그룹코칭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효과를 검증하는데 있다. 본 그룹코칭 프로그램의 주제 및 목표는 ‘메타인지적 지식’에 속하는 요소들의 이해와 적용에 초점을 두었으며, 각 세션은 ‘메타인지적 조절’의 요소인 ‘계획-점검-조절’을 코칭 REGROW모델에 통합하여 온라인으로 진행하였다. 프로그램 효과 검증을 위해 A사이버대학에 재학 중인 성인대학생들 중 연구참여자를 모집하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할당한 후 실험집단에게는 프로그램을 적용하였으며, 통제집단은 대기자집단으로 본 연구 완료된 후 프로그램을 제공하였다. 두 집단을 대상으로 프로그램 사전과 사후에 메타인지 학습능력 검사와 학업적 자기효능감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실험집단을 대상으로 프로그램 만족도 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데이터 분석 결과, 지각된 메타인지적 학습능력 전체 및 하위영역과 학업적 자기효능감 전체 및 하위영역 모두에서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유의미하게 높은 점수를 보였다. 또한 실험집단 참여자들은 프로그램에 대해 높은 만족도를 보고했으며, 메타인지에 대한 지식, 인지 및 메타인지 전략에 대한 인식의 변화와 적용이 높아졌으며, 집단코칭 방식이 유익했다고 보고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시사점과 한계점,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test the effectiveness of a group coaching program to promote metacognitive learning ability in an academic context for adult learners enrolled at a distance university. The topics and objectives of the group coaching program focused on understanding and applying the elements of ‘metacognitive knowledge’, and each session was conducted online by integrating ‘planing-monitoring-regulating’, an element of ‘metacognitive regulation’, into the REGROW model of coaching.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research participants were recruited from adult university students enrolled in A Cyber University and assigned to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The experimental group was given the program, while the control group was given the program after the completion of the study. Metacognitive learning ability level and academic self-efficacy were tested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for both groups, and a satisfaction survey was conducted for the experimental group. Analyses of the data revealed that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higher scores on both the overall and sub-scales of perceived metacognitive learning ability and academic self-efficacy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Participa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also reported high satisfaction with the program, increased knowledge of metacognition, awareness and application of metacognitive strategies, and found the group coaching approach beneficial. Based on these findings,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presen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