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심태선(울산대학교) ; 고원중(성균관대학교) ; 임재준(서울대학교) ; 류우진(대한결핵협회 결핵연구원) pp.79-90
초록보기
초록

국내에서 아직 잠복결핵 치료 대상 및 치료 방법에 대한 명확한 지침이 부족한 실정이며 이를 위해서는 잠복감염의 재활성화 혹은 새로운 감염이 어느 정도 결핵 발병의 원인이 되는지에 대한 연구가 선행되어야 한다. 그렇지만 발병의 위험이 높은 군을 선정하여 잠복결핵의 치료 대상으로 정하는 것이 타당할 것이며, 현재는 HIV 감염자, 전염성 결핵환자 가족 중 6세 미만의 아동, 중학생 및 고등학생에서의 집단 발병시 감염된 것으로 판정된 학생 및 종양괴사인자(tumor necrosis factor, TNF) 길항제 사용 예정인 잠복결핵 환자가 잠복결핵의 치료 대상으로 제한되어 있다. 향후에는 잠복결핵 치료 대상자의 확대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되며, 치료방법 또한 isoniazid (INH) 단독 요법 이외에 rifampicin (RMP)을 포함하는 단기 요법의 사용도 고려하여야 하겠다. 현재 외국에서 잠복결핵의 치료법으로 권고되고 있는 것은 INH 6∼9개월, RMP 4∼6개월, INH/RMP 3개월 등이다. 과거부터 잠복결핵의 진단에 사용되어 온 투베르쿨린 검사 외에 체외 인터페론감마 검사가 새로이 개발되면서 잠복결핵의 진단이 더 정확해진다면 이에 따라 잠복결핵 치료 방침도 수정될 가능성이 있으므로 새로운 검사법을 이용한 꾸준한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Abstract

곽엄섭(건양대학교) ; 권미혜(건양의대) ; 정지현(건양의대) ; 강미일(건양대학교) ; 천지영(건양의대) ; 이고은(건양의대) ; 김영근(연세대학교) ; 최유진(건양대학교) ; 나문준(건양의대) ; 권희욱(건양대학교) ; 손지웅(건양대학교) pp.91-98
초록보기
초록

연구배경: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알균은 의료기관 관련 감염 뿐 아니라 지역사회 감염에서도 나타나 이에 저자들은 한 대학병원 중환자실에 입원한 환자의 비강 도말 배양을 통해 MRSA의 의료기관 관련 감염 및 지역사회 감염의 빈도와 분자 역학 및 항생제 내성을 연구하였다.방 법: 2006년 6월에서 9월까지 건양대학교 병원 중환자실 환자 353명을 대상으로 입실 첫날 비강 도말 배양을 시행하여 MRSA 획득 위험인자에 따라 HA-MRSA와 CA-MRSA로 나누어 Pulsed-Field Gel Electrophorosis (PFGE)로 분류하여 각각의 항생제 내성 검사를 시행하였다.결 과: 353명 중 비강 도말 배양에서 동정된 MRSA는 42명(11.9%)이며, 동정된 MRSA 중 HA-MRSA는 33명(78.6%), CA-MRSA는 9명(21.4%)이다. PFGE에서 type A에서 type K까지 11형으로 구분하였고 HA-MRSA는 type A (n=9), B (n=7)가, CA-MRSA는 type A (n=2), B (n=2)가 주로 나타났다. 항생제 내성률은 erythromycin, ciprofloxacin에서 HA-MRSA가 CA-MRSA보다 높게 나타났다.결 론: MRSA의 집락률은 11.9%이며 HA-MRSA의 균주가 CA-MRSA보다 많고, CA-MRSA는 9예로 적은 예지만 PFGE type에서 대부분의 type이 HA-MRSA에서 동정된 type과 같은 경향을 보여 지역사회전파를 시사한다.

Abstract

Background: Background :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MRSA) is the most common organism associated with nosocomial infections. MRSA infections are becoming increasing important because they have emerged no only as healthcare-associated (HA) infections but also as community-associated (CA) ones. This study examined the moleculo-epidemiology of MRSA, which was isolated from nasal swabs in the intensive care unit (ICU) at Konyang University Hospital. MRSA are classified into HA-MRSA and CA-MRSA.Methods: From June to September 2006, 353 patients who were admitted to the ICU in Konyang University Hospital were enrolled in this study. Single nasal swabs were obtained for culture in the ICU on the 1st day. Pulsed-field gel electrophoresis and the antimicrobial resistant patterns were analyzed between HA- and CA-MRSA. An antimicrobial sensitivity test was also performed.Results: Forty two strains of MRSA were isolated from 353 patients (11.9%). Among the 42 isolates, HA-MRSA and CA-MRSA were found in 33 (78.6%), and 9 (21.4%), respectively. Eleven different PFGE types (type A to K) were identified. Types A (n=9) and B (n=7) were the most common for HA-MRSA, and types A (n=2) and B (n=2) were identified in CA-MRSA. The proportion of types A and B in CA-MRSA (44.4%) was similar to that in HA-MRSA (48.5%). The rates of resistance rates to erythromycin and ciprofloxacin were higher in HA-MRSA than in CA-MRSA.Conclusion: The rate of isolation of MRSA in an ICU setting was 11.9%. HA-MRSA was isolated more frequently than CA-MRSA. The rate of resistance of HA-MRSA to erythromycin and ciprofloxacin was higher than that of CA-MRSA. Despite the small number of subjects, the main isolates (type A and B) of CA-MRSA were similar to those of HA-MRSA.

정재욱(충남의대) ; 황재희(충남대학교) ; 신지영(충남의대) ; 정선영(충남의대) ; 이정은(충남의대) ; 박희선(충남의대) ; 정성수(충남대학교병원) ; 김주옥(충남대학교) ; 김선영(충남대병원 내과) pp.99-104
초록보기
초록

연구배경: ARDS는 다양한 원인으로 초래되는 급성 염증성 폐 질환으로서 인공호흡기 치료 등의 여러 의학적 발전에도 불구하고 사망률이 40~60%로 예후가 좋지 않다. 이러한 환자들의 예후를 예측하는 방법으로 APACHE, SPAPS, MAM 등 방법이 있지만 간편하지가 않아서, ARDS가 염증성 폐질환이란 점에 착안하여서 염증 지표로 흔히 사용하는 ESR, CRP의 ARDS 환자에서 예후 인자로서의 역할을 평가해 보고자 하였다.방 법: 87명의 ARDS 환자들의 중환자실 입원 당시의 ESR, CRP 결과와 APACHE II score 그리고 추적 검사한 결과를 확인하였다. 또한 대상 환자를 생존한 군과 사망한 군으로 나누어서 생존한 환자군에서 총 입원기간, 중환자실 입원기간, 인공 호흡기 치료 기간과 ESR, CRP, APACHE II score들과의 상관관계 및 ESR, CRP의 변화 추이와 사망률과의 상관 관계에 대해서 연구하였다.결 과: 중환자실 입원 당시의 ESR, CRP로는 ARDS 환자의 사망률을 예측하기가 어렸다. 하지만 CRP는 ARDS로 중환자실 치료 후 생존했던 환자군에서 사망했던 환자군에 비해서 치료 초기에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중환자실 입원 당시 ESR이 높을수록 ARDS 환자들의 총 입원 기간 및 중환자실 입원기간이 길었다.결 론: CRP의 초기 변화 및 중환자실 입원 당시의 ESR은 ARDS 환자의 예후를 예측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Abstract

Background: Acute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ARDS) is ultimately an inflammatory state. The erythrocyte sedimentation rate (ESR) and C-reactive protein (CRP) level are inflammatory marker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value of the ESR, CRP and APACHE II score as prognostic factors for patient with ARDS.Methods: We retrospectively analyzed the medical records of 87 ARDS patients. The predictors (APACHE II score, ESR and CRP) and outcomes (mortality and length of the total hospital stay, the ICU stay and mechanical ventilator care) were obtained from the patients' records. The patients were grouped according to survival as the Survivor and Non survivor groups. We compared the APACHE II score, the ESR and the CRP level between the survivor group and the nonsurvivor group. We evaluate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predictors and the outcomes. The initial ESR, CRP level and APACHE II score were checked at the time of ICU admission and the second ESR and CRP level were checked 3.3±1.2 days after ICU admission.Results: Thirty-eight (43.7%) patients remained alive and 49 (56.3%) patients died. The APACHE II score was significantly lower for the survivor group than that for the non survivor group (14.7±7.6 vs 19.6±9.1, respectively, p=0.006). The initial ESR and CRP level were not different between the survivor and non-survivor groups (ESR 64.0±37.8 mm/hr vs 63.3±36.7 mm/hr, respectively, p=0.93, CRP 15.5±9.6 mg/dl vs 16.3±8.5 mg/dl, respectively, p=0.68). The decrement of the CRP level for the survivor group was greater than that for the non survivor group (−8.23±10.0 mg/dl vs −1.46±10.1 mg/dl, respectively, p=0.003). Correlation analysis revealed the initial ESR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length of the total hospital stay and the ICU stay (correlation coefficient of the total hospital days: R=0.43, p=0.001, correlation coefficient of the ICU stay: R=0.39, p=0.014). Conclusion: The initial APACHE II score can predict the mortality of ARDS patients, and the degree of the early CRP change can be a predictor of mortality for ARDS patients. The initial ESR has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ARDS patients' duration of the total hospital stay and the ICU stay.

노미숙(동아대학교 의과대학 병리학교실 및 암분자치료연구센터) ; 엄수정(동아의대) ; 최영민(동아대학교) ; 김기남(동아의대) ; 최필조(동아의대) ; 이수걸(동아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손춘희(동아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양두경(동아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pp.105-109
초록보기
초록

연구배경: Fascin은 세포 운동에 관여하는 액틴 결합 단백질로서 정상적인 상피세포에는 증가되어 있지 않으며, 일부 악성종양에서 fascin이 증가되어 있다는 보고가 있다. 본 연구는 비소세포폐암 환자의 조직에서 fascin 발현을 조사하고 fascin이 예후 인자로 역할을 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방 법: 제 1기 비소세포폐암으로 근치적 절제수술을 받고 추적조사가 가능했던 환자 81명의 조직에서 fascin 발현을 면역조직화학 염색 방법으로 조사하였다. 결 과: Fasin 발현은 전체 81예 중 59예(73%)에서 양성이었다. Fascin 발현 정도에 따른 5년 생존율은 fascin 발현 음성군에서 68%, fascin 저발현군에서 76%, fascin고발현군에서 79%으로 각 군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86). 결 론: Fascin발현이 비소세포폐암으로 근치적 수술을 받은 환자에서 예후 인자로서 역할을 하는지 알아보았으나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관련성이 없었다.

Abstract

Background: Fascin is an actin-bundling protein that plays an important role in cellular motility. Fascin is normally expressed in the neuronal and mesenchymal cells and its expression is low or absent in the epithelia. However, an overexpression of fascin has been linked to the invasive behavior of some neoplasms such as breast, stomach and ovarian tumors. In this study, we evaluated the expression of fascin and its prognostic significance in stage I non-small cell lung cancer (NSCLC). Methods: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for fascin was performed on the paraffin-embeded tissue sections of 81 cases of resected NSCLC. Staining of more than 5% of the tumor cells was recorded as positive immunoreactivity. Results: Fascin expression was seen in 73% (59/81) of the cases and this was more frequently seen in squamous cell carcinoma than in adenocarcinoma (93% vs 42%). There were no significant correlations of fascin immunoreactivity with tumor recurrence and overall survival. Conclusion: The expression rate of fascin was relatively high in NSCLC, but this was without prognostic significance. The exact clinical role of fascin should be defined through further investigations.

박영진(동국대학교) ; 정훈(인제대학교) ; 박이내(인제의대) ; 최상봉(인제의대) ; 허진원(울산대학교) ; 이혁표(인제의대) ; 염호기(인제대학교) ; 최수전(인제대학교) ; 구호석(인제의대) ; 이양행(인제대학교) ; 최석진(인제대학교) ; 정수진(인제대학교) ; 김애란(인제의대) ; 이현경(인제의대) pp.110-115
초록보기
초록

Abstract

Background: Congenital cystic adenomatoid malformation of the lung (CCAM) is a rare congenital developmental anomaly of the lower respiratory tract. Most cases are diagnosed within the first 2 years of life, so adult presentation of CCAM is rare. We describe here six adult cases of CCAM and the patients underwent surgical resection, and all these patients were seen during a five and a half year perio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linical, radiological and histological characteristics of adult patients with CCAM. Methods: Through medical records analysis, we retrospectively reviewed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the chest pictures (X-ray and CT) and the histological characteristics. Results: Four patients were women and the mean age at diagnosis was 23.5 years (range: 18∼39 years). The major clinical presentations were lower respiratory tract infection, hemoptysis and pneumothorax. According to the chest CT scan, 5 patients had multiseptated cystic lesions with air fluid levels and one patient had multiple cavitary lesions with air fluid levels, and these lesions were surrounded by poorly defined opacities at the right upper lobe. All the patients were treated with surgical resection. 5 patients underwent open lobectomy and one patient underwent VATS lobectomy. On the pathological examination, 3 were found to be CCAM type I and 3 patients were CCAM type II, according to Stocker’s classification. There was no associated malignancy on the histological studies of the surgical specimens. Conclusion: As CCAM can cause various respiratory complications and malignant changes, and the risks associated with surgery are extremely low, those patients who are suspected of having or who are diagnosed with CCAM should go through surgical treatment for making the correct diagnosis and administering appropriate treatment.

박무석(연세대학교) ; 김혜련(연세대학교) ; 박병훈(연세의대) ; 손지영(연세대학교) ; 정지예(연세대학교) ; 안정련(연세의대) ; 정윤숙(연세의대) ; 임주은(연세의대) ; 정주원(연세의대) ; 문지애(연세의대) ; 변민광(연세의대) ; 김영삼(연세대학교) ; 김세규(연세대학교) ; 장준(연세대학교) ; 이광길(연세대학교) pp.116-120
초록보기
초록

Henoch-Shönlein 자반증은 신장, 피부, 관절, 소화기계 등의 전신을 침범하는 혈관염으로 임상적인 증상을 종합하여 진단하는 질환이며 피부나 신장에서의 조직학적 생검이 진단을 뒷받침해 주는 근거가 될 수 있다. 항결핵제 사용 중에 rifampin으로 인하여 신기능 저하, 관절 통증, 양하지 자반, 복통 등의 임상 양상이 발생하였으며 하지 피부 병변의 조직 검사로 백혈구파쇄성혈관염(leukocytoclastic vasculitis) 소견을 보여 임상적으로 Henoch- Shönlein 자반증으로 진단하였으며 rifampin 복용 중지 후 피부 자반 소실되고, 신장 기능이 회복된 예를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Abstract

Rifampin is one of the first line drugs for treating tuberculosis, but it might be associated with serious adverse effects, including renal failure. We report here on a case of a 57-year-old patient who developed Henoch-Shönlein purpura during antituberculosis therapy that included rifampin. The patient converted to negative on the AFB smear for tuberculosis two weeks after the initial administration of antituberculosis medication. After treatment for 60 days, this patient was diagnosed with Henoch-Shönlein purpura by the purpura lesion on the lower legs, the leukocytoclastic vasculitis, the renal impairment and the pathological examination. After stopping rifampin, the skin lesions disappeared in about 10 days and his renal function gradually improved. This case study showed that Henoch-Schönlein purpura can be caused by rifampin during antituberculosis therapy and we recommend that the use of rifampin should be restrained when clinical symptoms of Henoch-Shönlein purpura are observed.

오인재(전남의대) ; 채동렬(전남의대) ; 임성욱(전남대학교) ; 조계중(전남의대) ; 임정환(전남의대) ; 주진영(전남의대) ; 권용수(전남대학교) ; 김규식(전남대학교) ; 김유일(전남대학교) ; 임성철(전남대학교) ; 김영철(전남대학교) pp.121-124
초록보기
초록

유육종증의 비강 침범은 드물게 발견되며 폐 침범 없이 비강만 단독으로 침범하는 경우는 더욱 드물게 보고되고 있다. 37세의 여자 환자가 콧물과 비강 폐색을 주소로 내원하였다. 비강 종괴의 조직 검사상 일부분에서 괴사를 동반한 비건락성 육아종으로 나와 폐외 결핵으로 생각하고 9개월간 항결핵제의 투약을 하였다. 그러나 항결핵제 투약 완료 후에 결막 종괴 및 많은 수의 흉곽 내 림프절 비대가 새로이 발견되었고, 결막 종괴에서 시행한 조직 검사상 비강 종괴와 동일한 양상의 비건락성 육아종이 발견되었다. 항결핵제 투약에도 불구하고 임상 증상의 호전이 없었고 비강과 결막 조직 검사에서 비건락성 육아종 소견이 동일하게 보여 최종적으로 유육종증으로 진단할 수 있었다. 혈청 안지오텐신 전환효소 수치는 상승되어 있었다. 부신피질 호르몬 투여 이후 환자의 증상은 점차 개선되었다.

Abstract

We experienced a rare case of sinonasal sarcoidosis initially presenting as nasal cavitary mass. When the clinical course was different from that of typical tuberculosis, physician should think the possibility of sarcoidosis, and re-biopsy or retrospective review of pathological findings might be helpful.

이용관(순천향의대) ; 이호성(순천향의대) ; 오미혜(순천향의대) ; 최재성(순천향의대) ; 서기현(순천향대학교) ; 김용훈(순천향대학교 의과대학 호흡기 및 알레르기 내과학교실, 폐 및 호흡기질환 유전체센터) ; 황헌규(순천향의대) ; 나주옥(순천향대학교) pp.125-130
초록보기
초록

저자 등은 수술 후 단기간의 항생제 치료로 완치된 기관지 방선균증 2예를 경험하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Abstract

Endobronchial actinomycosis is a rare chronic suppurative granulomatous infection of the bronchus, and this is sometimes related with a foreign body or a broncholith. The traditional treatment of endobroncial actinomycosis is intravenous antibiotics for 2 to 6 weeks and then oral antibiotics therapy for 6 to 12 months. We report here on 2 cases of endobronchial actinomycosis that were associated with a broncholith and a foreign body, respectively. Surgery followed by short term antibiotics therapy for only 20 days and 34 days, respectively, was effective as treatment for the endobronchial actinomycosis in our cases. After treatment, there were no complications or recurrence during the following period. We suggest that short term antibiotics therapy combined with a surgical operation might be effective as treatment for primary endobronchial actinomycosis, and especially when this illness is combined with a foreign body or a broncholith, as compared with traditional long term antibiotic therapy.

서광원(울산의대) ; 박찬성(울산대학교병원) ; 이순정(울산대학교병원) ; 도기원(울산대학교병원) ; 오쌍용(울산대학교) ; 조현(울산대학교) ; 김민수(울산대학교병원) ; 홍일기(서울아산병원) ; 방성조(울산대학교) ; 제갈양진(울산대학교) ; 안종준(울산대학교병원) pp.131-136
초록보기
초록

담즙흉은 담도 또는 담낭과 흉강 사이에 형성된 누공을 통해 담즙이 흉강으로 누출되어 흉수의 형태로 관찰되는 흉막염의 일종으로, 주로 흉강-복부 외상과 관련된 매우 드문 합병증이며 그동안 국내에는 담즙흉에 대한 문헌보고가 없었다. 이에 저자들은 최근 외상 후 흉막성 흉통과 호흡곤란을 호소하였고 담도결석 제거를 위한 경피경간 담도내시경술 이후에 흉수가 발생한 환자에서 담즙흉으로 진단된 환자 1예를 경험하였기에 보고한다.

Abstract

Cholethorax (bilious pleural effusion) is an extravasation of bile into the thoracic cavity via a pleurobiliary fistula (and also a bronchobiliary fistula). It is an extremely rare complication of thoraco-abdominal injuries. It can be caused by congenital anomaly and also by hepatobiliary trauma, severe infection or iatrogenic procedures. The definitive diagnosis is made with aspiration of bilious fluid from the pleural space during thoracentesis, by finding a fistulous tract during endoscopic retrograde cholangiopancreatography (ERCP) or cholagioscopy, or with finding an abnormal pleural accumulation of radioisotope during hepatobiliary nuclear imaging. Its symptoms include coughing, fever, dyspnea and pleuritc chest pain. Herein we report on a case of cholethorax following performance of percutaneous transhepatic cholangioscopy (PTCS) to remove incidentally discovered common bile duct (CBD) stones.

권미혜(건양의대) ; 강미일(건양대학교) ; 정지현(건양의대) ; 원희관(건양의대) ; 박현웅(건양의대) ; 박정호(건양의대) ; 김성태(건양대학교) ; 권선중(건양의대) ; 최유진(건양대학교) ; 나문준(건양의대) ; 조현민(건양의대) ; 김영진(건양의대) ; 김윤미(건양의대) ; 조영준(건양대학교) ; 손지웅(건양대학교) pp.137-141
초록보기
초록

1990년대 초부터 형광 기관지 내시경이 임상 진료에 사용되면서 방사선검사에서 나타나지 않는 상피내 폐암이나 미세하게 진행된 조기 폐암의 진단 빈도가 늘어났으며, 이러한 상피내 폐암의 과반수 이상에서 진행성 폐암으로 진행하므로, 근치적 목적의 치료가 더욱 조기에 도입될 수 있어 폐암 치료에서의 중요한 진단 도구가 되었다. 치료적 내시경술의 발달로 기존의 진행된 폐암에서 기도 폐쇄 감소 혹은 출혈 부위의 지혈 등의 완화적 목적뿐 아니라, 조기 폐암이지만 심폐 기능 등 전신 상태의 문제로 수술이 불가능한 환자에서 근치적 치료로도 이용되고 있으며, 특히, 수술의 절제 범위를 축소시키는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아르곤 플라스마 응고소작술(argon plasma coagulation, APC)은 레이저와 광역학 치료법(photodynamic therapy, PDT) 등에 비하여 조기 폐암 병변의 치료에서 근치적 치료 및 진행성 폐암에서의 완화요법으로서 효과면에서 동등하고, 특히 침투 범위가 얕으므로 표재성의 병변에서 탁월하며, 경제적 접근성이 용이하다. 저자들은 우측 상엽의 절제 가능한 폐암에 우측 하엽에 상피내암이 동반된 동시성 원발성 폐암 환자를 우측상엽절제와 APC로써 치료한 증례 1예를 경험하여 보고한다.

Abstract

We treated synchronous double primary lung cancers, where one site resulted from CIS disease, with lobectomy and argon plasma coagulation (APC) in a patient who couldn’t tolerate pneumonectomy, which resulted in a reduction of the extent of surgery. APC could be a reasonable alternative for CIS disease of lung in inoperable patients.

태정현(이화의대) ; 김윤경(이화여자대학교) ; 심윤수(이화의대) ; 이경종(이화의대) ; 노영욱(이화의대) ; 박재정(이화여자대학교) ; 류연주(이화여자대학교) ; 천은미(이화의대) ; 장중현(이화의대) ; 이진화(이화여자대학교) pp.142-146
초록보기
초록

소세포폐암은 비교적 초기 항암치료에 대한 반응이 우수하지만 빠르게 진행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Topotecan은 topoisomerase I inhibitor로 소세포폐암에서 이차치료제로 사용된다. Topotecan의 흔한 부작용으로는 빈혈, 혈소판감소증, 호중구감소증과 같은 혈액학적 부작용이 있으나, topotecan에 의한 폐독성은 잘 알려져 있지 않다. 저자들은 일차치료에 불응하여 이차치료제로 topotecan을 투여 받던 소세포폐암 환자에서 3주기 topotecan 투약 중에 발생한 급성호흡곤란증후군을 경험하여 보고한다. 환자는 호흡곤란을 호소하면서 호흡부전에 빠졌으며, 흉부전산화단층촬영에서 약제에 의한 폐손상을 시사하는 미만성 간유리음영을 보였다. 환자는 급성호흡곤란증후군으로 사망하였다.

Abstract

Small cell lung cancer is characterized by an aggressive clinical course and a high tendency for early dissemination in spite of a good chemotherapy response. Topotecan is a topoisomerase I inhibitor, and it is used as second-line treatment for small cell lung cancer. The reported dose-limiting adverse reactions to topotecan are mainly hematologic. Yet pulmonary toxicity associated with topotecan is known to be rare. We report here on a case that showed the development of acute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during the 3rd cycle of topotecan chemotherapy in a patient with small cell lung cancer. He developed dyspnea and respiratory failure, and the chest CT scan revealed diffuse ground-glass opacity that was probably due to chemotherapy-related pulmonary toxicity. He finally died of acute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정인아(서울의대) ; 허은영(서울대학교) ; 이재석(서울의대) ; 윤호일(서울의대) ; 이재호(서울대학교) ; 이춘택(서울대학교) ; 강영애(서울의대) pp.147-151
초록보기
초록

고령의 폐렴 환자들에게 적절한 치료를 하였는데도 방사선 검사상, 호전되지 않고, 병변이 남아있는 ‘호전되지 않는 폐렴(non-resolving pneumonia)’ 환자들을 종종 볼 수 있다. 여러 가지 원인들에 따라 환자들마다 방사선학적 호전을 보이는 기간이 매우 다양하다. 흔하지는 않지만, ‘호전되지 않는 폐렴’의 원인이 경화성 폐암으로 뒤늦게 진단되는 경우도 있다. 경화성 병변으로 나타나는 세기관지폐포암의 경우 다양한 임상 증상과 영상 소견을 보일 수 있고, 폐렴과 구분이 어려워 주의를 요한다. 경화성 폐암의 경우, 조기진단을 하면 근치적 절제가 가능하기 때문에 신속하고 정확한 검사를 시행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폐렴 환자들에서 처음 검사에서 악성 세포가 없었다고 하더라도, 경화성 병변이 지속된다면 세기관지폐포암을 염두에 두고 신중하게 추가 검사를 고려해야 한다.

Abstract

Non-resolving or slowly resolving pulmonary infiltrates in spite of administering adequate antimicrobial therapy are a clinical diagnostic challenge for physicians. The rate of radiographic resolution varies with the patients’ age, the underlying comorbidities, the extent of radiographic involvement, the functional status and the causal pathogens. It is important to differentiate non-resolving or slowly resolving bacterial pneumonia from other uncommon infectious pneumonias or malignancies that require invasive diagnostic techniques to confirm the diagnosis. Bronchioloalveolar carcinoma can present with various clinical and radiographic features. Unfortunately, the radiographic similarity of consolidative BAC to pneumonia often leads to an incorrect diagnosis of pneumonia and possibly significant delays in obtaining appropriate diagnostic studies. We describe here a case of a mixed adenocarcinoma and bronchioloalveolar carcinoma that was initially diagnosed as pneumonia due to the consolidation pattern on the radiography and the patient’s initial improvement with antibiotic treatment.

Tuberculosis & Respiratory Diseas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