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 1인가구가 증가하면서 이들에 대한 안전은 중요한 이슈가 되고 있다. 개인의 자유와 자기 실현을 추구하는 가치 강화, 결혼에 대한 인식 변화 등 사회적 가치 변화로 인해 여성 1인가구가 증가하고 있으나, 이러한 증가 추세는 사회적 고립과 범죄피해 위험 등의 문제를 동반하며 그들의 안전에 대한 우려를 증대시키고 있다. 여성 1인가구는 범죄의 표적이 되기 쉬우며, 특히 주거침입, 절도, 성폭력 등 신체적 안전, 디지털 범죄까지 이들을 위협하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여성 1인가구가 직면할 수 있는 다양한 위험을 식별하여 사회적·정책적 개선을 도모하기 위해서 지속적인 연구는 필수적이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여성 1인가구의 특성을 파악하고, 그들의 안전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적·사회적·정책적 요인들간의 상호작용적 영향을 고찰하여 여성 1인가구의 안전을 위한 효과적인 정책의 필요성을 강조하고자 한다. 여성 1인가구의 범죄 취약성과 안전 인식의 관계에 관한 선행연구들은 여성 1인가구의 안전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연령, 경제적 안정성 등의 개인적 요인, 주거환경, 사회적 관계망, 미디어 노출 등의 사회환경적 요인, 이들의 안전을 위한 각종 정책적 요인들을 제시하였다. 중요한 점은 이들 각각의 요인들이 미치는 영향력보다는 요인들 간의 상호작용효과가 더 큰 영향력을 끼친다는 것이다. 여성 1인가구의 범죄 취약성에 대한 종합적인 분석이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일괄적으로 시행되는 안전 정책은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 대부분 개인별·지역별 특성을 고려하지 않고 주거지에 범죄 예방을 위한 시설물을 지원해주는 양태이다. 따라서 같은 여성 1인가구라 하더라도 요구되는 안전의 의미나 치안수요가 다를 수 있다는 점을 인지하여 여성 1인가구 안전정책 수립 시 여성 1인가구의 안전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적·사회환경적·정책적 요인의 상호작용적 영향을 고려하여 그에 따른 맞춤형 안전 정책이 제시해야 할 것이다.
As the number of single-female households increases, their safety is emerging as an important issue. The number of single-female households is increasing due to changes in social values, such as strengthening the value of individual freedom and the pursuit of self-actualization, and changing perceptions of marriage. However, this increasing trend is accompanied by problems such as social isolation and risk of crime, and their safety is also threatened. Concerns about this are growing. Single-female households are easily targets of crime, and are especially exposed to physical safety threats such as home invasions, theft, and sexual violence. Today, digital crime is also threatening their safety. Continuous research is essential to identify the various risks that the increasing number of single-female households may face and to promote social and policy improvements. Therefore, this study seeks to examine the need for effective policies for the safety of single-female households by identifying the characteristics of single-female households and examining and analyzing the interaction between personal, social, and policy factors that affect their safety. . I want to see that. In existing studi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rime vulnerability and safety awareness of single-female households, personal factors such as age, economic stability, residential environment, social networks, and media exposure have been found to be factors that influence the safety perception of single-female households. Personal furniture. Social-environmental factors and various policy factors were presented. The important point is that the interaction effect between elements has a greater influence than the influence of each of these elements, and a safety policy that takes this into account must be prepared. Safety policies for single-female households that are implemented uniformly without comprehensive analysis are bound to have limitations. In most cases, facilities for crime prevention are provided in residential areas without considering individual or regional characteristics. Therefore, recognizing that the meaning of safety and security needs may be different even for the same single-female household, we must examine the interaction of personal, social environment, and policy factors that influence when establishing safety policies for single-female households. The safety of single-female households was also considered. We must consider the impact on operations and propose a customized safety policy according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