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논문 상세

Home > 논문 상세
  • P-ISSN 2799-7995
  • E-ISSN 2951-2069

전근대 한국문학에 나타난 해원의 실태

The Aspects of Grievance-Resolution in Pre-modern Korean Literature

대순종학 / Journal of Daesoon Studies, (P)2799-7995; (E)2951-2069
2024, v.6, pp.27-53
https://doi.org/10.23209/jods.2024.6.27
차선근(Seon-keun Cha) (대진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이 글은 전통 시대 한국인들이 해원을 어떻게 인식했는지, 그리고 그것을 어떻게 하나의 문화 형태로 활용했는지 확인하려는 목표를 가지고, 전근대 한국문학에서 발견되는 해원의 실태를 정리해 본 것이다. 이것을 종합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전근대 한국문학에서 원혼은 어떻게든 원한을 풀고자 하는 의지를 보인다. 그 해원은 크게 보아 소통과 불통으로 범주화된다. 비율로 보면 소통 해원이 불통 해원보다 훨씬 높다. 둘째, 소통 해원은 사랑 또는 위무(慰撫)를 받음으로써 원을 풀거나, 호소를 통해 간접 복수에 성공함으로써 원을 푸는 것이다. 불통 해원은 원한의 원인이 되었던 상대(대개는 연모했으나 그것을 받아주지 않았던 인물)를 찾아 기어코 해코지하거나, 불특정한 사람들에게 재앙을 내림으로써 원을 푸는 것이다. 셋째, 조선 시대 이후 여성 원혼의 수가 급증한다. 이 사실은 조선이 남성 지배의 유교 이데올로기 사회였음을 반영한다. 여성 원혼의 해원은 권력을 가졌거나 덕이 높은 남성의 손에서 이루어지는 경향을 보인다거나, 순종적 ‘열녀’를 강조하는 남성 폭력적 이데올로기 안에서 찬양되는 한계를 갖는다는 비판을 받기도 한다. 이상의 내용들이 전통 시대 문학을 통해 살필 수 있는 한국인의 해원 관념이다.

keywords
원혼, 소통, 위로, 불통, 복수

Abstract

This paper summarizes the aspect of grievance-resolution in Korean literature of the pre-modern period with the aim of asserting how Korean people of the traditional era recognized grievance-resolution and how they utilized it as a form of culture.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spirits harboring grievances perceived in pre-modern Korean literature have a strong will to resolve their grievances no matter what. Their resolution of grievances can be classified into interaction and blockage in a broad sense. Considering proportion, the grievance-resolution of interaction is relatively higher than the latter. Secondly, the grievance-resolution of interaction is to resolve grievances by receiving love or consolation, or by succeeding in indirect revenge through appeal. The grievance-resolution of blockage is deemed to resolve grievances by seeking the subject who causes grievance (mainly a person whom one admired but was denied) at all costs to harm the person, or by bringing about disaster to random people. Thirdly, female spirits harboring grievances have increased since the Joseon era. This aspect reflects that Joseon was a male-dominated society influenced by Confucian ideology. Their resolution of grievances can be criticized for tending to take place at the hands of powerful or virtuous men, or for having limits that are glorified within a male-violent ideology that emphasizes ‘yeollyeo(烈女), the lady of virtue and fidelity.’ The above are some of the Korean notions of grievance-resolution that can be found in traditional period literature.

keywords
Spirit Harboring Grievance, Interaction, Consolation, Blockage, Revenge


상단으로 이동

대순종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