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메뉴

Society Policy

Submission Principles


투고 규정 (Submission Principles)

 

제정    1987. 01. 01

개정    2015. 04. 23

2019. 05. 01

2022. 03. 25

2023. 01. 25

2024. 01. 22

2024. 09. 03

 

1장 원고투고 방법

 

1(원고투고 시점) 원고는 상시투고 및 상시심사로 진행되며 연 4회 발행일자(2월 28, 5월 31, 8월 31, 11월 30)에 게재를 희망할 경우 발행일 2개월 전 원고제출이 완료되어야 한다.

 

2(원고유형) 본 학회지의 연구목적 및 범위에 부합하는 다음 유형(~)에 해당하는 원고를 투고할 수 있다.

① 실증연구(empirical articles)

② 체계적 문헌ㆍ메타분석 연구(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articles): 관련 연구고찰을 토대로 향후 연구 발전방향 제안 및 개념적 이론구조 도출

③ 방법론ㆍ방법(methodologies and methods): 기존 방법(개선 또는 새로운 방법(적용최신 연구방법(소개 및 활용

④ 간략보고 연구(brief reports): 10쪽 내 작성(초록과 부록 포함)

실증연구에 비해 소규모 대상연구(pilot data) 활용 또는 초기 단계 연구로 새로운 발견이나 중요한 결과가 도출되어 향후 해당 연구영역의 확장/확산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내용 보고

특정 주제ㆍ최근 연구동향 소개기존 연구결과의 재현(replication)

진행 연구(proceeding): 포스터워크숍 등에서 발표 후 이론적ㆍ방법론 측면에서 개선된 내용

최근 실무적 적용을 통한 발견이나 확장 결과

⑤ 사례연구(case reports): 산업 및 조직심리학 관련 조직 현장 내 다양한 사례(프로젝트 수행조직컨설팅 등의 결과ㆍ성과소개 및 실행성과

 

3(투고자의 의무)

① 모든 저자는 온라인 투고시스템에 제시된 저자 지침을 사전에 숙지하고 투고하여야 하며투고 규정을 정확하게 지키지 않은 원고는 심사가 진행되지 않고 반려될 수 있다.

② 모든 원고는 다른 학회지에 미발표된 것으로 현재 타 학회지에 투고되지 않아야 하며 편집위원회에서 심사판정이 결정될 때까지 다른 학회지에 투고하지 않아야 한다.

③ 심사용 원고는 파일(파일명내 저자 이름과 소속기관을 기재하지 않아야 한다.

④ 연구윤리 서약서는 학회의 연구윤리 규정에 대한 준수 여부를 모든 저자가 서명으로 명시하여 제출해야 한다.

⑤ 지적 재산 이용(저작권 활용동의서는 학회지 저작권 및 저작물 이용방침과 연계하여 실행하며 모든 저자가 서명으로 명시하여 제출해야 하며본 학회지의 오픈엑세스 정책에 따라 저작물의 자유이용을 허용하는 라이센스 조건에 동의하는 것으로 간주한다.

⑥ 투고자는 투고원고의 논문표절(유사도검사 결과를 제출해야 한다.

⑦ 실험행동관찰설문조사 등 사람을 대상으로 한 연구의 투고자는 생명윤리 및 안전에 관한 법률의 시행규칙에 따라 연구를 수행해야 하며모든 원고의 주저자(1저자 혹은 교신저자중 1인은 최근 2년 내 완료한 기관생명윤리심의위원회(Institutional Review Board)의 교육이수증을 제출해야 한다.

⑧ KJIOP 연구윤리 규정에 어긋났을 때 연구 윤리성 검증(연구부정행위 조사 및 판정)을 통해 게재가 취소될 수 있으며이후 2년간 본 학술지에 논문을 투고를 금지한다.

⑨ 논문투고 시 이해상충이나 특수관계인 공동저자가 포함된 논문의 투고를 금지하며게재 이후 적발 시 게재 취소 및 해당 논문으로 이익을 취한 관계기관에 해당 특수관계인의 연구부정 행위 사실을 통보한다.

※ 이해상충자신의 지위를 이용하여 개인이나 가족의 사적 이익이나 경제적 이익을 추구하는 행동

※ 특수관계인연구자가 미성년자(만 19세 이하또는 가족(배우자자녀 등 4촌 이내)

 

 

2장 원고 작성 기본지침

 

4(일반사항)

① 원고파일은 한글파일(hwp)로 제출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② 원고분량은 전체 15쪽수(초록본문그림참고문헌 포함)를 기준으로 하며이를 초과할 경우에는 초과 분량에 따라 게재료를 해당 저자가 추가로 부담한다.

③ 한글 본문은 휴먼명조 10호로 작성한다.


5(원고 구성 및 작성) 제목국문초록(주요어), 본문그림영문초록(영문 키워드), 참고문헌부록의 순으로 구성하며각각은 별도의 페이지에서 시작한다.

① 제목

국문제목공백제외 45(한글 프로그램 기준)

영문제목공백제외 120(한글 프로그램 기준)

② 국문초록(주요어): 국문초록은 150단어(600내외주요어는 6개 이내

③ 본문서론문헌고찰연구방법연구결과결론(논의순으로 구성한다질적 연구의 경우는 그 구성을 변경하여 제시할 수 있다.

④ (Table)와 그림(Figure)

표와 그림의 제목 및 내용은 국문이나 영문 중 하나로 일관되게 작성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영문으로 작성하더라도 한글을 통한 내용전달이 중요한 경우(, 새로운 척도의 측정문항)에는 한글로 표기할 수 있다.

표와 그림은 흑백 외에 컬러 형태로 표현이 가능하며포함된 내용을 이해하기 쉽도록 구성한다.

표제목은 상단에 위치시키고 그림제목은 하단에 위치시키며, 영문의 경우 주요 단어의 첫 자를 대문자로 표기한다. (예시) Table 1. Results of Regression Analysis

⑤ 영문초록(영문 키워드): 영문초록은 250단어 이내영문 키워드(Key Words)는 6개 이내

⑥ 참고문헌(Reference): <3장 인용 및 참고문헌 작성지침참고

본문에 인용된 문헌은 반드시 참고문헌 목록에 포함되어야 한다.

참고문헌의 DOI 코드가 있는 경우에 반드시 명시한다.

출처가 명확하지 않은 학회지는 인용하지 않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⑦ 부록필요 시 참고문헌 다음에 제시하며추가적인 연구결과나 연구재료 등 연구자가 판단하여 별도로 제시하고자 하는 항목에 국한하여 활용한다.

⑧ 원고작성 시 준수해야 할 기타사항은 미국심리학회(APA) 편집 매뉴얼 7(https://www.apastyle.org/manual)과 한국심리학회 논문투고규정을 참조하여 작성한다.



3장 인용 및 참고문헌 작성지침 (APA 7th)

 

 

6(본문 내 인용)

① 2인 저자모두 표기

(홍길동이순신, 2020)

홍길동과 이순신(2020)

(Taylor & Parker, 2018)

Taylor와 Parker(2018)

 

② 3인 이상 저자첫 저자만 제시하고 나머지는 (, et al) 표기

홍길동 등(2020)

(홍길동 등, 2020)

Taylor (2018)

(Taylor et al., 2018)

 

③ 저자명은 저자의 성(, last name) (가나다알파벳)으로 정렬하며국내저자와 해외저자를 함께 인용할 경우 국내저자를 먼저 제시한다.

 

④ 동일한 저자들이 동일한 순서인 경우는 출판연도 기준으로 정렬한다동일 저자동일 출판연도의 경우 제목에 따라 정리(가나다알파벳 순후 연도 뒤에 a, b, c 등으로 순서를 표기한다단일 저자의 참고문헌은 그 저자의 공저 참고문헌보다 먼저 기입한다.

 

7(참고문헌 작성)

① 정기간행물/학회지 논문

제목부제목(:)의 첫 글자만 대문자.

저널제목/vol은 한글은 (맑은고딕), 영문은 (이탤릭)으로 표기하고(issue) 없으면 권(Volume)만 제시.

출간 중인 논문의 경우페이지 대신 논문번호를 입력(. Article d4163)

. DOI 가 있는 논문은 인터넷 주소형식으로 제시하고주소 뒤에 마침표를 찍지 말 것.

저자가 많은 경우에도 20명까지(앞 19명 저자마지막 저자)는 저자명을 제시할 것.

심청, 심학규 (2023). 일-가정 균형의 즁요성.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23(1), 1-15. https://doi.org/xxxx

홍길동 (2020). 인사선발이 조직관리에 미치는 영향한국심리학회지산업 및 조직, 20(3), 110-130. https://doi.org/xxxx

Author, A. A., & Author, B. B. (Year). Title of the article. Name of the Periodical, Volume(issue), #-#. https://doi.org/xxxx

 

② 저서단행본

단행본의 연도는 저작권 연도를 기입.

책제목은 한글은 (맑은고딕), 영문은 (이탤릭)으로 작성하고첫 글자만 대문자로 기입하고판본(edition)이나 책 번호(volume)가 있을 경우 책 제목 뒤에 괄호에 넣어 제시(이탤릭 아님).

출판인(Publisher)의 지역은 제시하지 않으며출판인(Publisher)이 여럿일 경우 세미콜론(;)으로 분리하여 제시하고저자와 출판인(Publisher)이 동일할 경우 Publisher를 제시하지 않음.

DOI 가 있는 경우 제시하고전자서적(ebook)의 경우 URL을 제시하되모든 독자가 접근할 수 있는 주소만 제시하고회원만 접근가능 한 학술DB의 URL이나 정보인 경우에는 제시하지 말 것.

. URL 앞에 “Retrieved from” 붙이지 말고, DOI 및 URL 뒤에 마침표 찍지 말 것.

홍길동 (2020). 인재혁신을 통한 조직혁신대한출판.

Author, A. A., & Author, B. B. (Copyright Year). Title of the book (7th ed.). Publisher. DOI or URL

 

③ 저서: Book Chapter

챕터 제목은 맑은고딕/이탤릭이 아니며책제목은 한글은 맑은고딕영문은 이탤릭으로 표기하고첫 글자만 대문자로 작성.

편집자는 In + 알파벳 순으로 제시하며, 1명인 경우 (Ed.), 2aud 이상인 경우(Eds.)

출간인(Publisher), DOI, URL 관련사항은 <10저서단행본>과 동일.

Author, A. A., & Author, B. B. (Copyright Year). Title of the book chapter. In A. A. Editor & B. B. Editor (Eds.), Title of the book (2nd ed., pp. #-#). Publisher, DOI or URL

 

④ 학위논문

제목은 한글(맑은고딕), 영문(이탤릭)으로 표기하고미출간 논문임을 밝힐 것(석사학위논문/Unpublished master’s dissertation, 박사학위논문/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학위수여 대학명을 표기하되 지역은 표기하지 않음.

홍길동 (2020). 구성원 동기향상에 미치는 리더십 유형. 석사학위논문대한대학교.

Hood, K. E. S. (2008). On beyond boo: Horror literature for childre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Canterbury.

 

⑤ 학술대회비공식 자료

발표자컨퍼런스 기간발표제목컨퍼런스명지역, DOI 등의 순서로 제시.

Proudfoot, F. (2015, February 1820). Understanding cultural differences at the frontline [Paper presentation]. Australasian Housing Researchers Conference, Hobart, Tasmania, Australia. http://ahrc2015.com.au/wpcontent/uploads/2015/03/Fiona%20Proudfoot.pdf

 

⑥ 신문기사

기자명발행일기사제목신문사페이지(p, pp 없이순으로 제시.

Killick, D. (2012, June 25). Housing is a problem beyond politics. The Press, 17

 

⑦ 웹페이지

글쓴이(기관), 작성일제목웹사이트명사이트 주소(retrieved from 없이주소가 긴 경우 주소단축 서비스에서 제공한 주소로 대체 가능).

Walker, A. (2019, November 14). Germany avoids recession but growth remains weak. BBC News. https://www.bbc.com/news/business-50419127

 

Ministry of Health. (2017, May 18). Māori health modelsTe whare tapa whā. https://www.health.govt.nz/our-work/populations/maori-health/maori-health-models/maori-health-models-te-whare-tapa-wha

Attachments
3._한국산조심리_학술지_투고규정_2024-09.pdf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