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논문 상세

Home > 논문 상세
  • P-ISSN 2671-8197
  • E-ISSN 2733-936X

영조(英祖) 궁궐 인식의 특징

King Youngjo's perception of the Palace

한국학 / Korean Studies Quarterly, (P)2671-8197; (E)2733-936X
2006, v.29 no.3, pp.33-68
안장리 (한국학중앙연구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고에서는 영조 이전 시기 위정자들이 궁궐명명의 기준을 국가의 공적 공간임을 표상하여 ‘국가의 융성,’ ‘유가 덕목,’ ‘승경의 향유,’ ‘건물의 기능’ 등에 두었으나 영조는 궁궐의 일부 건물을 사적 공간으로 인식하여 개인적 추억과 추모를 궁궐 명명의 기준으로 두었음을 밝혔다. 또한 이와 같은 명명의 배경으로 영조 만년 생활의 특징인 정침이 아닌 집경당에서의 30년 생활, 어제의 다작(多作)과 독특한 문체 창조 등을 들었다.영조가 경희궁의 정침(正寢)인 융복전(隆福殿) 보다 회상전(會祥殿)을 숙종(肅宗)의 상징물로 여긴 이유는 영조가 7년간 ‘억석와(憶昔窩)’라 이름 붙인 사알방(司謁房)에서 회상전의 선왕을 시탕(侍湯)했기 때문이며, 보경당(寶慶堂)을 ‘탄생당(誕生堂)’이라 명명한 이유는 생모에 대한 예우로 붙인 것으로 보았다. 경선당(慶善堂)은 왕자의 거처였는데 영조는 부모에게 귀여움을 받은 경험을 바탕으로 부모에 대한 ‘추모당(追慕堂)’이라 명명하였다. 집경당(集慶堂)은 영조 만년의 생활 공간으로 본래 예연당(蘂淵堂)이던 이름을 숙종이 집경당으로 개명하였고 영조는 종용당(從容堂), 정와당(靜臥堂) 등의 별명을 붙였다. 함일재(咸一齋)는 창의궁(彰義宮)의 한 건물로 영조는 이 ‘구저(舊邸)’를 자식과 손자까지 추모하는 가족 추모 공간으로 표현하였다.이외에도 영조는 궁궐 주변 경물 중 본인과 관계된 곳을 ‘추모동(追慕洞),’ ‘추모현(追慕峴)’ 등으로 명명하여 개인적이고 일상적인 특성을 일반성으로 확대하려고 하였다. 이는 궁궐을 왕으로서의 위정 공간으로 여기거나 개인적 건물을 사대부의 자성공간으로 삼아 명명하던 방식과는 아주 달라진 양상이다. 이로 볼 때 조선후기의 구체적 실상과 일상성을 중시하던 풍조는 왕에게도 예외가 아니었음을 알게 한다.

keywords
King Yougjo, literature, palace, routines, royal literature, King Sukjong, King Saejo, Jeong do jeon, 영조, 문학, 궁궐, 일상성, 왕실문학, 숙종, 세조, 정도전

Abstract

This thesis is intended to show the trait of King Youngjo. Jeong do jeon(鄭道傳), King Saejo(世祖), King Injo(仁祖), King Sukjong(肅宗), the politician thought the palace as governmental place. So each building in the palace was called as 'prosperity of nation', 'Confucianism', 'participate with beautiful scenery', 'the purpose of each building'. King Youngjo regarded the palace as a symbol of his private place. He named Salbang(司謁房) Eokseokwa(憶昔窩). That was continuous with his father. He named Bokyungdang(寶慶堂) Tansaeingdang(誕生堂) not as an expression of self-pride but as a filial gesture to his birth mother. He named Kyungsondang(慶善堂) Choomodang(追慕堂) as it reminded him of his childhood. Jipkyungdang(集慶堂) was a place where King Youngjo worked at his advanced age. He named it Jongyoungdang(從容堂) or Jeongwadang(靜臥堂). This testifies to the trend of the late Chosun dynasty when routines were highly regarded both outside and inside of the palace.

keywords
King Yougjo, literature, palace, routines, royal literature, King Sukjong, King Saejo, Jeong do jeon, 영조, 문학, 궁궐, 일상성, 왕실문학, 숙종, 세조, 정도전


참고문헌

1

御製憶昔窩自歎 御製靜臥堂自悶晝夜長,

2

go, 이상은 국사편찬위원회 홈페이지 www,

3

(1997) 英祖ㆍ莊祖文集, 한국정신문화연구원

4

(2000) 英祖文集補遺., 한국정신문화연구원

5

민족문화추진회, (1995) 國譯 國朝寶鑑., 민족문화추진회

6

(2001) 영조대왕 글ㆍ글씨., 궁중유물전시관

7

민족문화추진회, (1990) 鄭道傳, 三峰集,

8

김영모, (1998) 조선시대 궁궐공간의 개념적 구성에 관한 연구, 한국조경학회

9

이은영, (2002) 조선후기 어제 제문의 규범성과 서정성: 숙종 영조 정조의 제문을 중심으로.,

10

이종묵, (1999) 장서각 소장 열성어제와 국왕문집의 편찬과정,

11

이혜순, (1999) 우리 한문학사의 새로운 조명, 집문당

12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6) 장서각의 역사와 자료적 특성,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3

홍순민, (1996) 조선왕조 궁궐 경영과 양궐체제의 변천,

상단으로 이동

한국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