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논문 상세

Home > 논문 상세
  • P-ISSN 2671-8197
  • E-ISSN 2733-936X

세종대왕 초장지(舊 英陵)에 대한 재론(再論)

A Research on King Sejong's First Burial Ground: Old Yeongneung, Royal Tomb of King Sejong

한국학 / Korean Studies Quarterly, (P)2671-8197; (E)2733-936X
2008, v.31 no.2, pp.151-171
https://doi.org/10.25024/ksq.31.2.200806.151
안경호 (명지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세종대왕의 초장지 즉, ‘구 영릉’의 위치에 대한 의문에서 처음 출발한 본 논고는 1973년 발굴을 개기로 세상에 알려진 ‘속칭 구 영릉’의 위치와 당시 발견된 각종 유구의 진정성을 확보해 주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1973년 발굴보고서를 근간으로 문헌을 통한 고증을 하였다. 논고의 전게 과정에서 ‘구 영릉’의 위치가 1973년 발굴 장소가 아닌 현 인릉이며 봉분을 조성하는 穴의 위치 또한 같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현재까지 ‘구 영릉’이라 알 고 있었던 ‘속칭 구 영릉’은 세종대왕의 초장지인 ‘구 영릉’이 아니라 중종계비 장경왕후 윤씨의 초장지인 ‘구 희릉’인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일련의 과정은 ‘속칭 구 영릉’의 진정성 및 현재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어 있는 ‘구영릉석물’ 12점에 대한 진정성도 동시에 재고해야 되는 문제로 남게 된다.

keywords
세종(King Sejong), 왕릉(A royal tomb), 영릉(Yeongneung), 희릉(Huineung)

Abstract

This paper, which first started out of doubt on the location of King Sejong's first burial ground-'old Yeongneung', seeks to authenticate the location of the 'commonly called old Yeongneung' and various ancient remains discovered and made known to the world by excavation in 1973. To this end, the paper studied on excavation report of 1973 through literature research. In the process of going about the study, it is found out that the location of 'old Yeongneung' wasn't the one excavated in 1973 but was the present site of Inneung(royal tomb of King Seonjo), and the location of the spot that formed the grave mound was indentical. Furthermore, it is discovered that the 'commonly called old Yeongneung' that we know until present as 'old Yeongneung' is not the first burial ground('old Yeongneung) of King Sejong, but is really the first burial ground of King Jungjong's Queen Jang-Gyeong Yun-Ssi, 'old Huineung'. This chain of events in turn triggers a reconsideration of the 'commonly called old Yeongneung's' authenticity as well as that of 12 stone figures before old Yeongneung which are designated by Seoul City as tangible cultural properties at present.

keywords
세종(King Sejong), 왕릉(A royal tomb), 영릉(Yeongneung), 희릉(Huineung)


참고문헌

1

『世宗實錄』; 『文宗實錄』; 『端宗實錄』; 『睿宗實錄』; 『中宗實錄』; 『英祖實錄』; 『憲宗實錄』;, 서울시스템주식회사

2

(1994) 國朝五禮儀(영인본)』, 民昌文化社

3

『承政院日記』; 『春官通考』; 『各陵修改謄錄』; 『仁陵山陵都監儀軌』; 『仁陵遷奉山陵都監儀軌』; 『列聖誌狀通紀』, 서울대학교규장각소장

4

仁陵遷奉謄錄, 장서각소장

5

김구진, (1975) 구영릉 신도비와 석물에 대하여,

6

김구진, (1979) 조선초기 왕릉제도: 세종대왕 구영릉 유적을 중심으로, 백산학보

7

김상협, (2007) 조선왕릉 석실 및 능상구조의 변천에 관한 연구,

8

류재복, (2005) 구영릉지의 위치와 풍수입지 연구,

9

안경호, (2007) 朝鮮後期 殯殿建築에 대한 硏究,

10

장영훈, (2000) 왕릉풍수와 조선의 역사, 대원사

11

장영훈, (2004) 서울풍수, 도서출판 담디

상단으로 이동

한국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