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논문 상세

Home > 논문 상세
  • P-ISSN 2671-8197
  • E-ISSN 2733-936X

한국 전위시의 조건과 근대출판의 시학

Korean Avant-garde Poetry and the Poetics of Modern Publication

한국학 / Korean Studies Quarterly, (P)2671-8197; (E)2733-936X
2008, v.31 no.2, pp.245-271
https://doi.org/10.25024/ksq.31.2.200806.245
박현수 (경북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근대출판문화에 대한 이해는 전위시의 발생과 그 시학적 의미를 이해하는 데 본질적인 중요성을 지닌다. 전위시는 인쇄매체의 가능성을 가장 적극적으로 타진해본 장르이다. 따라서 인쇄매체에 대한 자각을 지니고 있지 않으면 전위적인 시를 시도할 수 없다. 또한 인쇄매체에 대한 자각을 가지고 있더라도 당대 인쇄 환경이 뒷받침 되지 않으면 전위적인 시는 발표될 수 없었을 것이다. 1920년대 중반 전위시의 등장은 당시의 전위시인―김니콜라이, 김화산, 김기림, 이상, 신백수 등―의 인쇄매체에 대한 인식이 당대 인쇄문화의 성장과 맞물렸기 때문에 가능한 것이었다.전위시와 근대인쇄문화가 공유하고 있는 특성, 즉 근대출판의 시학은 음성의 사물화, 형태의 메시지, 관념화된 평면으로 요약될 수 있다. 음성의 사물화는 시각 중심의 인쇄문화에서 음성이 사물의 차원으로 존재하는 양상을 말한다. 형태의 메시지는 전위시에서 발음 불가능한 기호와 도형의 적극적인 사용으로 형태가 그 자체로 메시지의 위상을 지님을, 관념화된 평면은 음성의 입체성을 상실하면서 관념적으로 되어간 전위시의 상태를 가리킨다. 이를 통해 전위시의 본질이 매체의 본질과 연계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인쇄문화의 가능성을 가장 극단적으로 실험한 전위시의 등장 배경과 시적 특성을 매체의 관점에서 구체적으로 검토함으로써, 우리나라 전위시의 실험성이 단순한 문학적 기법의 이식이 아니라 당대의 구체적인 조건을 바탕으로 이루어진 시학적 반응이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keywords
활판술적 상상력(typographic imagination), 근대출판의 시학(the poetics of the modern printed media), 음성의 사물화(the reification of voice), 형태의 메시지(a message as a form), 관념화된 평면(an abstracted plane)

Abstract

It is very important to study the system of the modern print media for understanding the advent of avant-garde poetry and its cultural significance. Avant-garde poetry is a genre which extremely tries to test the possibility of the printed media technology. Only the one who knows the possibility of the printed media technology can try to write an avant-garde poem. But without the growth of a printing technique, one cannot be successful in publishing that poem. The combination of Korean avant-garde poet's experimentalism and the growth of a printing technique in Korea made it possible for the advent of Korean avant-garde poetry in the mid-1920s. The poetics of the modern printed media, — something in common found in avant-garde poetry and a printing technology — had three elements: the reification of voice, a message as a form, and an abstracted plane. The reification of voice means the disappearance of voice in the visual printing media. And a message as a form means that a poetic form in itself becomes a kind of message by the aggressive use of signs and figures in avant-garde poetry. An abstracted plane means an abstracted thinking pattern by the loss of multi-dimensional voice.

keywords
활판술적 상상력(typographic imagination), 근대출판의 시학(the poetics of the modern printed media), 음성의 사물화(the reification of voice), 형태의 메시지(a message as a form), 관념화된 평면(an abstracted plane)


참고문헌

1

김광균, (1985) 김광균문집 와우산, 범양사출판부

2

김기림, (1988) 김기림 전집2, 심설당

3

김봉희, (1994) 근대인쇄문화의 도입과 발전과정에 관한 연구, 서지학연구

4

김준오, (1995) 시론, 삼지원

5

나기, (2001) 한국의 다다: 모던이라고 불린 안티모던, 다층

6

무위산봉 고사리, (1924) 다다’? ‘다다’!, 동아일보

7

문덕수, (1981) 한국모더니즘시연구, 시문학사

8

박인기, (1988) 한국현대시의 모더니즘 연구, 단대출판부

9

박현수, (2003) 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의 수사학, 소명출판

10

박현수, (2007) 한국 모더니즘 시학, 신구문화사

11

신백수, (1939) 활판술: 활판구축법서설(活版構築法序說), 박문

12

안상수, (1995) 타이포그라피적 관점에서 본 이상 시에 대한 연구,

13

오세영, (1996) 한국 근대문학론과 근대시, 민음사

14

오세웅, (2006) 한국 근대인쇄술에 미친 일본의 영향, 아시아민족조형학회

15

원고지, (1926) 인쇄물이 독자의 손에 들기까지, 잡지나 신문이나, 별건곤

16

임명섭, (1997) 이상의 문자경험 연구,

17

춘파, (1924) 出版界로 觀한 京城, 개벽

18

한국출판협회, (1996) 인쇄출판문화의 기원과 발달에 관한 연구 논문집, 청주고인쇄박물관

19

Bradbury, Malcolm, (1976) Modernism, Penguin Books

20

Calinescu, M., (1993) 모더니티의 다섯 얼굴, 시각과 언어

21

Frye, Northrop, (1982) 비평의 해부, 한길사

22

Hewitt, Andrew, (1993) Fascist modernism: aesthetics, politics, and the avant-garde, Stanford: Stanford University Press

23

Mcluhan,H.M, (2007) 미디어의 이해, 커뮤니케이션북스

24

Ong,W, (1995) 구술문화와 문자문화, 문예출판사

25

Paz, Otavia, (1999) 흙의 자식들, 솔

26

Poggioli, Renato, (1996) 아방가르드 예술론, 문예출판사

27

Webster, Michael, (1995) Reading Visual Poetry after Futurism: Marinetti, Apollinaire, Schwitters, Cummings, New York: Peter Lang Publishing

상단으로 이동

한국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