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논문 상세

Home > 논문 상세
  • P-ISSN 2671-8197
  • E-ISSN 2733-936X

해방 직후 공산주의자들의 혁명단계론

Revolutionary Ideas of the Communist after the Liberation

한국학 / Korean Studies Quarterly, (P)2671-8197; (E)2733-936X
2008, v.31 no.3, pp.5-40
https://doi.org/10.25024/ksq.31.3.200809.5
이완범 (한국학중앙연구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해방 직후 남북의 공산주의자들은 부르주아민주주의혁명론을 공식 채택하여 부르주아와의 통일전선을 구축하려했다. 그러나 1946년 후반기 이후 남의 공산주의자들은 박헌영이 신전술을 채택하는 것을 계기로 부르주아와의 연립을 포기했으며, 미국(과 그와 결탁한 자본가)에 대항하면서 대중정당인 남조선로동당을 결성하는 합법ㆍ비합법의 ‘배합투쟁’에 나섰다. 이에 비하여 북의 김일성은 1946년 8월 북조선로동당 결성으로 인해 조직적으로는 남으로부터 독립하였지만, 이론적으로는 여전히 부르주아민주주의혁명론을 1946년 9월 개진하는 입장을 취했다. 그러나 실제로 대다수 민족자본가와 지주들은 이미 1946년 상반기 토지개혁 추진과정에서 스스로 북을 떠나 연립에 참여할 수 없었고, 동질적 계급적 기반 위에서 소련의 후원을 받아 편한 개혁을 추진할 수 있었다. 반면 남의 남로당은 조직을 미국에 노출시켜 1948년 4ㆍ3사건과 10월 여순사건, 유격대 활동 등으로 인해 단계적으로 무장해제당하는 고난의 행군을 자초했다. 남로당이 남조선혁명의 주체가 되어야 한다는 무장봉기 혁명론에 대해 친김일성파인 강건ㆍ최용건과 연안파 등은 미군정이 엄존하는 상황에서 혁명역량을 낭비하지 말고 북의 혁명기지가 주동이 되고 남조선 혁명 역량이 배합되는 남북 배합작전에 의해 이룩되어야 한다고 비판했다. 그 후 남의 공산주의자들은 북의 공산주의자들에게 압도당했다. 1948년 8월 3일 슈티코프는 김일성을 만나 남북 노동당 연합 중앙위원회 구성에 대해 논의하면서 박헌영을 위원장으로 할 것을 권고했으나 1949년 6월 남북로동당이 합당했을 때는 김일성이 위원장에 박헌영과 허가이가 부위원장에 선임되었던 것이다. 마침내 박헌영 등 남로당 지도부는 종파주의자로 낙인찍혀 6ㆍ25전쟁의 와중에서 제거당하는 운명을 감내해야 했다. 결국 헤게모니를 틀어 쥔 북의 공산주의자들은 해방 직후 시기를 반제ㆍ반봉건 인민민주주의혁명의 시기로 포장하여 박헌영 계열이 주장한 부르주아민주주의혁명론의 흔적을 1950년대 중반 이후 지워버리려고 노력했다.

keywords
박헌영(Park Hun-Young), 김일성(Kim Il-sung), 혁명론(revolutionary ideas), 현단계논쟁(current stage debates), 부르주아민주주의혁명(bourgeois democratic revolution), 프롤레타리아혁명(proletarian revolution), 인민민주주의혁명(people's democratic revolution)

Abstract

Direct after the Liberation of Korea in 1945, the Communists in south and north carried forward the bourgeois democratic revolution scheme to make a coalition with bourgeoisie. In fall of 1946, South Korean Communists headed by Park Hun-Young who had taken a refugee in North Korea adopted a new policy not to unite bourgeoisie. But North Korean Communists headed by Kim Il-sung didn't accept the new policy yet. From that time, Kim Il-sung began to hold hegemony in strife with South Korean Labor Party leaded by Park. This party under the United States Military Government was destined to disarm his force step by step. So Kim Il-sung's North Korean Labor Party merged Park's party on June 1949. After the Korean War, Kim purged Park with a suspicion of a spy of the United States. After late 1950s, historian under the control of Kim's autocracy described immediately after period of Liberation as the stage of anti-imperialistic and anti-feudal people's democratic revolution to liquidate Park's interpretation of bourgeois democratic revolution.

keywords
박헌영(Park Hun-Young), 김일성(Kim Il-sung), 혁명론(revolutionary ideas), 현단계논쟁(current stage debates), 부르주아민주주의혁명(bourgeois democratic revolution), 프롤레타리아혁명(proletarian revolution), 인민민주주의혁명(people's democratic revolution)


참고문헌

1

(1946) 民主主義十二講, 文友印書館

2

(1947) 朝鮮人民은 人民委員會政權形態를 要求한다, 北朝鮮人民委員會宣傳部

3

(2004) 여운형-로마넨꼬 회담록, 국사편찬위원회

4

(1945) 정권 수립과 민족통일전선에 관한 결정, 戰線

5

(1945) 左傾的 傾向과 그 分派行動에 對한 批判: 西北五道黨代表者及熱誠者大會에서, 1945年 9月 13日, 해방일보

6

高峻石, (1979) 朝鮮革命テゼ, 植書房

7

權泰燮, (1946) 朝鮮革命의 性格(朝鮮의 現段階에 關한 討論), 朝鮮經濟

8

權泰燮, (1947) 朝鮮經濟의 基本構造: 불죠아民主主義的 變革의 經濟的 基礎, 同心社

9

金光植, (1987) 8ㆍ15 직후의 사회성격 연구: 변혁단계론을 중심으로, 산업사회연구

10

金南天, (1946) 白南雲氏 ?朝鮮民族의 進路?批判, 朝鮮人民報

11

김남식, (1975) 실록 남로당, 신현실사

12

김남식, (1986) 박헌영노선비판, 세계

13

김인식, (2008) 8월 테제의 진보적 민주주의 국가론, 한국민족운동사학회 월례발표회

14

김학준, (2008) 북한의 역사(1), 서울대학교 출판부

15

民主主義民族戰線, (1946) 朝鮮解放年報, 文友印書館

16

朴憲永, (1945) 일반[적] 정치노선에 대한 결정,

17

박헌영, (1945) 조선공산당의 주장: 조선민족통일전선에 대해, 해방일보

18

朴憲永, (1945) 현정세와 우리의 임무: 정치노선에 대한 결정(잠정적),

19

白南雲, (1947) 朝鮮民族의 進路再論, 獨立新報

20

白南雲, (1946) 朝鮮民族의 進路, 新建社

21

서울대 인문대학 현대사연구회, (1988) 해방정국과 민족통일전선, 세계

22

심지연, (1995) 박헌영의 부르주아 민주주의혁명론과 프롤레타리아 독재국가 건설운동, 한국사시민강좌

23

심지연, (1987) 해방후 좌익진영 내부의 노선투쟁 분석: ‘조선혁명단계론’을 중심으로, 실천문학사

24

呂運亨, (1946) 우리나라의 政治的 進路, 學兵

25

呂運亨, (1946) 人民黨의 信念, 1945年 12月 7日, 新文化硏究所出版部

26

여현덕, (1987) 8ㆍ15직후의 민주주의논쟁, 한길사

27

李基洙, (1946) 白南雲氏의 ?聯合性新民主主義?를 駁함, 新天地

28

而丁, (1946) 民主獨立을 爲한 鬪爭의 南朝鮮의 現段階와 우리의 任務, 出版社缺

29

이정박헌영전집출간위원회, (2004) 이정박헌영전집(전9권), 역사비평사

30

이정식, (2006) 대한민국의 기원, 일조각

31

이지수, (2008) 2차대전과 소련의 한반도 정책,

32

이지수, (2001) 북한체제 형성과 소련의 영향,

33

임해, (1945) 조선의 독립과 공산주의자의 긴급임무,

34

임해, (1946) 朝鮮革命의 段階方向 及 展望: 프롤레타리아트의 窮極的 勝利를 위하여, 産業勞動時報

35

전현수, (1995) 소련군의 북한 진주와 대북한정책, 한국독립운동사연구

36

정백, (1993) 경애하는 동무들의 건투를 축한다, 翰林大學校 出版部

37

조선공산당 서울위원회 선전부, (1946) 民主主義 朝鮮의 現段階, 朝共 서울委員會 宣傳部

38

朝鮮共産黨 平南地區擴大委員會, (1945) 政治路線에 關하야, 解放日報

39

조선민주주의 인민공화국 과학원 력사연구소, (1958) 조선통사(하), 학우서방

40

朝鮮産業勞動調査所, (1945) 옳은 路線을 爲하야, 우리文化社

41

朝鮮産業勞動調査所, (1945) 옳은 路線, 民衆新聞社

42

崔益翰, (1945) 현계단의 정세와 우리들의 임무,

43

崔昌益, (1946) 民主的民族統一戰線의 歷史性에 對하야, 獨立新報

44

해방3년사연구회, (1988) 해방정국과 조선혁명론, 대야

45

許允九, (1946) 朝鮮民族進路?에 對한 ?批判?의 再批判(5), 獨立新報

46

Ree, Erik van, (1989) Socialism in One Zone:Stalin’s Policy in Korea, 1945~1947, Oxford: Berg

47

Scalapino, Robert, (1986) Communism in Korea, Part I: Movement, Berkele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상단으로 이동

한국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