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논문 상세

Home > 논문 상세
  • P-ISSN 2671-8197
  • E-ISSN 2733-936X

식민지 조선경제의 제도적 유산

Japan’s Colonial Legacy to Korea with Special Reference to Economic Institutions

한국학 / Korean Studies Quarterly, (P)2671-8197; (E)2733-936X
2010, v.33 no.4, pp.359-393
https://doi.org/10.25024/ksq.33.4.201012.359
김낙년 (동국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이 글은 일제의 조선경제에 대한 지배가 남긴 제도적 유산을 고찰한다. 이때 식민지 경제체제가 중일전쟁을 계기로 하여 시장경제에서 전시 통제경제로 이행했다는 점과, 남한과 북한이 각각 계승한 제도가 다르다는 점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 해방 후 북한은 식민지기에 시행되었던 법령을 모두 폐지하였다는 점에서 남한과 달리 법적 단절이 뚜렷하다. 그렇지만 경제체제 면에서 보면 전시 통제경제를 계승 또는 강화하였다. 시장과 사유재산 제도에 대한 제약이나 부정은 경제의 운영을 계속 통제에 의존하지 않을 수 없게 하였다. 이에 대해 남한은 전시 통제경제에서 시장경제로 복귀하고자 하였으며, 중일전쟁 이전의 법제도와 시장경제 체제를 제도적 유산으로 계승하였다. 식민지기에 상실했던 통화 및 관세 자주권이 회복되었지만, 그 과정에서 인플레의 급격한 진행과 개방으로부터 후퇴가 나타났다. 또한 전시 통제의 경험은 해방 후 외환 및 금융 시장에 대한 정부개입을 강화하는 형태로 산업정책의 전개에 영향을 미쳤다. 1960년대 중엽 이후 개방이 확대되고 정부개입도 시장 친화적인 방향으로 순치되는 정책 전환이 이루어지면서 한국경제의 고도성장이 본격적으로 전개되었다.

keywords
식민지 유산, 연속과 단절, 시장경제, 통제경제, 민법, 경제적 지대, colonial legacy, continuity and discontinuity, market economy, command economy, civil law, economic rent

Abstract

This paper elucidates the continuity and discontinuity of economic institutions before and after liberation from Japanese colonial rule. In this case, it needs to be noted that the colonial economic regime shifted from a market economy to a command economy after the Sino-Japanese War; and after liberation, Korea divided into North and South, and the new countries each inherited a different colonial legacy. North Korea abolished the colonial legal system, including civil and commercial laws. However, the country inherited and strengthened a wartime command economy. Regardless of wartime demand or socialist ideology, restriction on or abolition of a market and private property system makes it inevitable that the economy depend on command. In spite of political differences, that is why the two economies seem similar. On the contrary, however, South Korea returned to a market economy from a wartime command economy, and inherited a legal system and market regime before the Sino-Japanese War. The country regained monetary and tariff autonomy at the price of rapid inflation and retreat from an open economy. Experiences during the wartime command economy have also affected South Korea and caused government interventions in foreign exchange and financial markets. After policy shifts in the 1960s, which made the country’s economy more open and with less government intervention, South Korea was able to head into rapid economic growth.

keywords
식민지 유산, 연속과 단절, 시장경제, 통제경제, 민법, 경제적 지대, colonial legacy, continuity and discontinuity, market economy, command economy, civil law, economic rent


참고문헌

1

국가법령정보센터(http://www.law.go.kr)

2

내무부 치안국내무부, 미군정법령집 1945-1948 . 1956.

3

일본의 법령(http://hourei.hounavi.jp).

4

朝鮮總督府, 朝鮮法令輯覽 . 1928.

5

朝鮮總督府 法務局, 朝鮮時局經濟關係法令例規集 . 司法協會, 1940.

6

한국관세협회, 한국관세사 . 1969.

7

한국무역협회, 한국무역사 . 1972.

8

한국법제연구회, 미군정법령총람 국문판, 1971.

9

김광석ㆍ웨스트팔, 한국의 외환 무역정책 . 서울: 한국개발연구원, 1976.

10

김낙년, 「1960년대 한국의 경제성장과 정부의 역할」. 경제사학 제27호, 1999,115-150쪽.

11

김낙년, 「1950년대 외환배정과 경제적 지대」. 경제사학 제33호, 2002, 63-122쪽.

12

김낙년, 일제하 한국경제 . 서울: 도서출판 해남, 2003.

13

김낙년, 「일제시기 우리나라 GDP의 도별 분할」. 경제사학 제45호, 2008, 3-43쪽.

14

김낙년, 「한국의 국민계정 1911-2007」. 경제분석 제15권 제2호, 2009a, 55-95쪽.

15

김낙년, 「한국 GDP의 장기추이와 국제비교」. 경제발전연구 제15권 제2호, 2009b,79-108쪽.

16

김낙년ㆍ박기주, 「해방 전후(1936-1956년) 서울의 물가와 임금」, 경제사학 제42호,2007, 71-105쪽.

17

김낙년 편, 한국의 경제성장 1910-1945 . 서울: 서울대출판부, 2006.

18

정재정, 「1980년대 일제시기 경제사 연구의 성과와 과제」. 역사문제연구소 편, 한국의 ‘근대’와 ‘근대성’ 비판 . 서울: 역사비평사, 1996.

19

정종휴, 역사 속의 민법 . 서울: 교육과학사, 1994.

20

크루거, A. 저, 전영학 역, 무역 外援과 경제개발 . 서울: 한국개발연구원, 1980.

21

한인섭, 「식민지 형사법제의 구조와 유산, 그 청산의 문제」. 광복50주년 기념논문집 (과거청산), 1995, 47-118쪽.

22

허수열, 개발 없는 개발 . 서울: 은행나무, 2005.

23

岡崎哲二ㆍ奥野正寛, 現代日本經濟システムの源流 . 東京: 日本經濟評論社, 1993.

24

木村光彦, 北朝鮮の經濟: 起源ㆍ形成ㆍ崩壊 . 創文社, 1999, 김현숙 역, 북한의경제 . 혜안, 2001.

25

松島菊壽, 「公定價格制度の實証的再檢討(上ㆍ下)」. 朝鮮総督府調査月報 제12권제9-10호, 1941.

26

野口悠紀雄, 1940年体制: さらば戰時經濟 . 東京: 東洋經濟新報社, 2002.

27

柚木馨, 滿洲國民法総論 . 東京: 有斐閣, 1940a.

28

柚木馨, 滿洲國民法讀本 . 東京: 有斐閣, 1940b.

29

李鐘元, 東アジア冷戰と韓米日關係 . 東京: 東京大學出版會, 1996.

30

朝鮮金融組合聯合會, 臨時資金調整法及銀行等資金運用令に關する資料 . 1941.

31

朝鮮銀行史硏究會 編, 朝鮮銀行史 . 東京: 東洋經濟新報社, 1987.

32

Acemoglu, Daron, Simon Johnson, and James Robinson, “The Colonial Origins of Comparative Development: An Empirical Investigation,” American Economic Review , vol. 91, no. 5, 2001, pp. 1369-1401.

33

Acemoglu, Daron, Simon Johnson, and James Robinson, “Reversal of Fortune: Geography and Institutions in the Making of the Modern World Income Distribution,” Quarterly Journal of Economics , vol. 117, no. 4, 2002, pp. 1231-1294.

34

Acemoglu, Daron, Simon Johnson, and James Robinson, “The Rise of Europe: Atlantic Trade, Institutional Change, and Economic Growth,” American Economic Review , vol. 95, no. 3, 2005, pp. 546-579.

35

Amsden, A., Asia’s Next Giant: South Korea and Late Industrialization.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1989.

36

Cho, Yoon Je, “Government Intervention, Rent Distribution, and Economic Development in Korea,” Aoki, Kim and Okuno-Fujiwara, The Role of Government in East Asian Economic Development.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1997.

37

Eckert,J. Carter, Offspring of Empire: The Kochang Kims and the Colonial Origins of Korean Capitalism, 1876-1945. Seatle: University of Washington Press, 1991, 주익종 역, 제국의 후예 . 서울: 푸른역사, 2008.

38

Kimura, Mitsuhiko, “From Fascism to Communism: Continuity and Development of Collectivist Economic Policy in North Korea,” Economic History Review , vol. 52, no. 1, 1999.

39

Kohli, Atul, “Where do High Growth Political Economies Come From? The Japanese Lineage of Korea’s ‘Developmental State’,” World Development, vol. 22, no. 9, 1994.

40

North, Douglass and Robert Thomas, The Rise of the Western World: A New Economic History.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73.

41

Woo, Jung-en, Race to the Swift: State and Finance in Korean Industrialization. New York: Columbia University Press, 1991.

상단으로 이동

한국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