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논문 상세

Home > 논문 상세
  • P-ISSN 2671-8197
  • E-ISSN 2733-936X

18ㆍ19세기 탈춤꾼ㆍ山臺造成匠人 卓文漢 연구

A Study on Tak Muhan as a Mask Dancer and a Maker of Korean Mask Drama in the 18th and 19th Century

한국학 / Korean Studies Quarterly, (P)2671-8197; (E)2733-936X
2010, v.33 no.4, pp.235-260
https://doi.org/10.25024/ksq.33.4.201012.235
안대회 (성균관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이 논문은 18세기 후반에서부터 19세기 전반까지 탈춤꾼과 山臺造成匠人으로 활약한 卓文漢이라는 藝人을 발굴하여 그의 활동을 분석하였다. 주로 천민이 담당하였기에 대중 예술가의 생애와 활동은 거의 보고된 자료가 없다. 趙秀三의 『秋齋紀異』와 沈能淑의 「卓文漢紀實」, 그리고 각종 儀軌와 정부 관련 사료를 조사하여 탁문한의 생애를 재구성하였다. 탁문한은 漢陽의 良民으로 직업군인 가정 출신이었다. 그 자신도 軍營에 소속되어 빼어난 검술실력을 소유한 무인이었다. 그는 젊은 시절부터 천민들이 맡던 연희에 두각을 나타내 최고의 춤꾼으로 인정받았다. 그는 탈춤꾼으로 활동했을 뿐만 아니라 山臺都監에 소속되어 국가적인 연희에 都邊首로 활동하였다. 儺禮와 관련한 각종 국가행사에서 그는 무대장치인 山臺를 비롯하여 도구를 만드는 일을 주도하였다. 특히 그는 1784년 勅使를 영접하기 위해 50년 만에 設行된 나례에서 都邊首로 책임을 졌다가 연이은 사건과 비리로 인해 正祖로부터 문책을 당해 6년 동안 유배를 살았다. 이때의 사건으로 인해 국가적인 나례의 設行은 다시 열리지 않았다. 그는 마지막으로 설행된 나례의 책임자로 기억되었다. 그 이후에도 국왕의 장례행사에서 방상시와 竹散馬를 조성하는 책임자로 활약하였다.

keywords
TakMunhan, Maskdramaassociation, Dobyeonsu, Bangsangsi, Mask dancing, 탁문한, 산대도감, 도변수, 방상시, 탈춤

Abstract

This paper looks into the life history and activities of Tak Munhan who was a mask dancer and a maker of Mask Drama (山臺) in late 18th and early 19th century. There are few researches about the life and activities of popular artisan, who belonged to the lowest class. By researching Chujegii (秋齋紀異) by Jo Susam, Takmunhansilgi (卓文漢紀實) by Sim Neungsuk, various uigwe (records of court banquets) and governmental materials, I reconstructed a life history of Tak Munhan. He was from the middle class with military career and he was a military man with swordsmanship who belonged to military camp. Tak Munhan was approved as the best dancer in the artistic performance field from the youth. He was actively engaged in mask dancing and participated in national performance event as a dobyeonsu (leader) of mask drama association called sandaedogam (山臺都監). He took the lead of making many tools including the stage setting required in the national events or ceremony like rite of exorcism called nare (儺禮). Particularly, he assumed the rite of exorcism held in 1784 to receive envoys from the China (Ching dynasty) and took responsibility of various corruptions involvement with this ceremony, which made him be reprimanded by King Jeongjo and be exiled for six years. Due to this case, the rite of exorcism in national level was not held any more. He was remembered as a person in charge in the last rite of exorcism. Since then, he took an active part in making bangsangsi (one of masks in rite of exorcism) and juksanma (horse) required in King’s funeral.

keywords
TakMunhan, Maskdramaassociation, Dobyeonsu, Bangsangsi, Mask dancing, 탁문한, 산대도감, 도변수, 방상시, 탈춤


참고문헌

1

조선왕조실록 ,

2

승정원일기 ,

3

일성록 ,

4

의궤 .

5

盧尙樞, 盧尙樞日記 4권. 국사편찬위원회, 2004.

6

邊鎬, 儐禮總覽 . 규장각 소장 활자본, 1819.

7

徐宗華, 藥軒遺集 . 국립중앙도서관 소장 목판본.

8

沈能淑, 後吾知可 . 필사본, 개인소장.

9

阿克敦 編繪, 奉使圖 . 北京民族圖書館藏, 遼寧民族出版社, 1999.

10

御營廳, 御營廳謄錄 . 한국학중앙연구원 소장 필사본.

11

柳得恭, 京都雜誌 . 朝鮮古書刊行會, 활인본, 1910.

12

兪晩柱, 欽英 . 규장각자료총서, 서울대 규장각 영인본, 1997.

13

李瀷, 星湖僿說 . 민족문화추진회.

14

趙秀三, 秋齋集 4책. 寶晉齋 刊本, 1939.

15

趙秀三 저, 安大會 옮김, 추재기이 . 한겨레출판, 2010.

16

訓練都監, 訓局謄錄 . 한국학중앙연구원 소장 필사본.

17

김동욱, 한국가요의 연구 . 을유문화사, 1961.

18

김종철, 판소리사 연구 . 역사비평사, 1996.

19

사진실, 한국연극사연구 . 태학사, 1997.

20

사진실, 공연문화의 전통 . 태학사, 2002.

21

사진실, 「광막한 천지에 부는 바람 같은 사내, 광대 달문」. 서대석 엮음, 우리고전 캐릭터의 모든 것 1, 휴머니스트, 2008. 164-183쪽.

22

손태도, 「본산대 탈놀이패에 대한 시각」. 고전희곡연구 제4집, 2002. 135-177쪽.

23

손태도, 광대의 가창문화 . 집문당, 2003.

24

안대회, 고전산문산책 . 휴머니스트, 2008.

25

안대회, 조선을 사로잡은 꾼들 . 한겨레출판, 2010.

26

이호승, 「한국 줄타기의 역사와 연행 양상」. 공연문화연구 제14집, 2007, 387-426쪽.

27

전경욱, 한국가면극 그 역사와 원리 . 열화당, 1988.

28

전경욱, 한국의 전통연희 . 학고재, 2004.

29

차충환, 「상하 경향을 아우른 휴머니즘과 자유인의 형상, 달문」. 김진영 외, 조선후기 소수자의 삶과 형상 . 보고사, 2007, 128-154쪽.

상단으로 이동

한국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