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ticle Detail

Home > Article Detail
  • P-ISSN 2671-8197
  • E-ISSN 2733-936X

The Trade Policy of King Gongmin-wang’s Administration: Environment and Characteristics

Korean Studies Quarterly / Korean Studies Quarterly, (P)2671-8197; (E)2733-936X
2011, v.34 no.4, pp.195-240
https://doi.org/10.25024/ksq.34.4.201112.195

  • Downloaded
  • Viewed

Abstract

공민왕대의 한-중 간(고려-원 간) 교역 여건은 이전의 그것과는 사뭇 달랐다. 강절행성 및 요양행성으로부터의 방문 재개, 그리고 그에 수반된 상인들의 고려 재방문 등은 고려-원 간 교역을 중개할 중국 측 무역주체들의 고려 왕래를 의미했다는 점에서, 분명 공민왕의 교역정책에는 유리한 정황이었다. 그러나 같은 시기 재개된 기황후세력의 고려물자 징발, 그리고 1350년대 전반 원보초의 급격한 가치하락 및 퇴출 등은 공민왕의 무역정책에 심각한 악재가 될 다분히 부정적 정황이었다. 이 두 가지 긍정적·부정적 정황 중 후자가 전자를 압도한 탓에 공민왕은 적극적인 교역정책을 구사할 여력을 상실하게 되었으며, 그 결과 강남행성이든 요양행성이든 중국 측의 적극적인 교류 제의에 상당히 소극적인 자세로 일관하게 된다. 그러나 공민왕이 대원, 대중국 교역의 가능성을 포기한 것은 아니었으며, 그가 확곽첩목아와의 교류를 통해 활로를 타개해나가려 한 모습에서 그를 확인할 수 있다. 확곽첩목아는 공민왕으로서는 기황후세력과의 관계 개선을 도모할 통로였던 동시에, 기황후세력과의 개선된 관계를 기반으로 공민왕이 원내 대도지역 고려인사회의 경제적 번영에 접촉할 창구였다. 한편 이후 원의 몰락으로 그것이 더 이상 가능하지 않게 되자, 공민왕은 명과도 다양한 형태의 접촉을 시도한 것으로 보이는데, 그러한 시도들이 답보상태를 보이는 한편으로, 고려 민간상인들 및 관료, 권세가들의 대원, 대명 사교역이 더욱 활기를 띠게 된다. 공민왕대의 대외교역 정책은 13세기 후반 이래 100여 년 가까이 지속돼온 고려-원 간 제국과의 교류가 정부주도 교역의 영역에서는 어떠한 모습으로 마무리되었는지를 보여주는 중요한 역사적 정황이라 할 수 있다.

keywords
공민왕(Gongmin-wang), 무역정책 및 여건(Trade policy and environment), 중국 강남 및 요동지역(Chinese Jiangnan & Liaodung regions), 물자징발(Exploitation of goods), 원보초 가치추락[Value crash of Yuan Empire’s paper currency(Yuan-bo’cho)], 확곽첩목아(Kokotemur), 기황후(Dowager Queen Gi), 명 왕조(Ming Dynasty)


Reference

1

강호선, 「충렬·충선왕대 臨濟宗 수용과 고려불교의 변화」. 한국사론 46, 2001.

2

김경록, 「공민왕대 국제정세와 대외관계의 전개 양상」. 역사와 현실 64, 2007.

3

김도연, 「元간섭기 화폐유통과 寶鈔」. 한국사학보 18, 2004.

4

김보한, 「中世 麗·日 관계와 倭寇의 발생 원인」. 왜구·위사 문제와 한일관계 , 한일 관계사연구논집 4, 경인문화사, 2005.

5

김순자, 한국중세한중관계사 . 혜안, 2007.

6

김혜원, 「고려후기 瀋(陽)王의 정치·경제적 기반」. 국사관논총 49, 1993.

7

김혜원, 「高麗 恭愍王代 對外政策과 漢人群雄」. 백산학보 51, 1998.

8

김혜원, 고려후기 瀋王 연구 . 이화여자대학교 문학박사학위논문, 1999.

9

위은숙, 「元干涉期 對元交易 老乞大를 中心으로 」. 지역과 역사 4, 1997.

10

위은숙, 「13·14세기 고려와 요동의 경제적 교류」. 민족문화논총 34, 2006.

11

이강한, 「고려후기 원보초의 유입 및 유통 실태」. 한국사론 46, 서울대학교 국사학과, 2001.

12

이강한, 13 14세기 고려 원 교역의 전개와 성격 . 서울대학교 문학박사학위논문, 2007.

13

이강한, 「고려 충선왕·元 武宗의 재정운용 및 ‘정책공유’」. 동방학지 143, 2008.

14

이강한, 「고려 충숙왕의 田民辨定 및 상인등용」. 역사와 현실 72, 2009.

15

이강한, 「고려 충혜왕대 무역정책의 내용 및 의미」. 한국중세사연구 27, 2009.

16

이강한, 「공민왕대 官制改遍의 내용 및 의미」. 역사학보 201, 2009.

17

이강한, 「공민왕대 재정운용 검토 및 충선왕 대 정책지향과의 비교」. 한국사학보 34, 2009.

18

이강한, 「공민왕 5년(1356) ‘反元改革’의 재검토」. 대동문화연구 65, 2009.

19

이강한, 「1270 80년대 고려 내 鷹坊 운영 및 대외무역」. 한국사연구 146, 2009.

20

이강한, 「13세기 말 고려 대외무역선의 활동과 元代 ‘關稅’의 문제」. 도서문화 36, 2010.

21

이강한, 「1270년대 1330년대 외국인들의 고려 방문: 13 14세기 동 서 교역에서의 한반도의 새로운 위상」. 한국중세사연구 30, 2011.

22

장동익, 高麗後期外交史硏究 . 一潮閣, 1994.

23

장동익, 元代麗史資料集錄 . 서울대학교출판부, 1997.

24

정승혜·김양진·장향실·서형국, 박통사, 원나라 대도를 거닐다 , 박문사, 2011.

25

토니노 푸지오니, 「元代 奇皇后의 佛敎後援과 그 政治的인 意義」. 보조사상 17, 2002.

26

토니노 푸지오니, 「忠宣王代의 麗·元 佛敎關係와 抗州 高麗寺」. 한국사상사학 18, 2002.

27

檀上寬, 「明初の海禁と朝貢 明朝專制支配の理解に寄せて」. 森正夫 等著, 明淸時代史の基本問題 (汲古書元, 1997).

28

佐藤圭四郞, 「嘉靖·萬曆年間の南海交通」. イスラ ム商業史の硏究 , 同朋社, 1981.

상단으로 이동

Korean Studies Quarterly